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제1부 무엇이 역사지리학인가
1강 지리와 역사를 함께 요구하는 '경관 연구' ... 17
1. 경관이란 무엇인가 ... 17
2. 관점이 다르면 같은 경관도 다르게 보인다 ... 20
1) 경관에 대한 복원적 연구
2) 상징 경관의 해석에 대한 연구
3) 경관의 텍스트적 재현...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제1부 무엇이 역사지리학인가
1강 지리와 역사를 함께 요구하는 '경관 연구' ... 17
1. 경관이란 무엇인가 ... 17
2. 관점이 다르면 같은 경관도 다르게 보인다 ... 20
1) 경관에 대한 복원적 연구
2) 상징 경관의 해석에 대한 연구
3) 경관의 텍스트적 재현에 관한 연구
3. 과거 경관을 보여주는 자료들로는 무엇이 있나 ... 26
1) 고지도
2) 읍지/지방지
3) 지적도와 토지대장
4) 근대 지도
5) 항공사진
6) 기타
2강 시간과 공간 속의 역사지리학 ... 39
1. 시간 - 지구사 속의 인류사 ... 39
2. 공간 - 분포와 밀도 ... 43
3. 시간과 공간, 역사학과 지리학 ... 47
4. 역사지리학의 성립 ... 51
5. 역사학과 역사지리학 ... 55
6. 공통의 관심사 ... 62
제2부 옛지도 다시 보기
3강 지도는 세계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고 있는가 ... 69
1. 위아래가 뒤집혔다 ... 69
2. 지도와 중심주의 ... 72
3. 지도의 사회적 구성 ... 76
4. 지도와 권력 ... 79
4강 고지도 - 옛사람들의 눈에 비친 공간 세계 ... 85
1. 우리나라는 '고지도의 나라' ... 85
2. 지표 세계를 어떻게 인식했는가 ... 88
1) '권력의 장소'와 '제사 장소'를 중요시하다
2) 도로, 성문, 고개 등 '통로'에 주목하다
3) 중요한 '영역'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다
3. 고지도에 어떤 마음을 드러내려고 했을까 ... 94
1) 행정 중심지의 중요성
2) 산과 하천의 신성성
3) 풍수지리사상
5강 조선시대의 그림식지도 읽기 ... 103
1. 그림식지도, 못난 지도인가 ... 103
2. 현대나 전통사회 모두 다양한 형식의 지도가 공존했다 ... 107
3.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권위 표현 ... 109
4. 낙안군의 그림식지도에 들어 있는 조선의 특징 ... 112
5. 조선시대의 그림식지도에는 조선 사람들의 세계 인식이 담겨 있다 ... 117
제3부 문화경관 읽기
6강 봉수와 문화경관 다시 읽기 ... 123
1. '봉화산'의 탄생 ... 123
2. 봉수의 형성 배경 ... 124
1) 봉수제의 기원
2) 봉수의 설치 목적
3) 봉수군의 역할
3. 봉수제와 파발제의 관계 ... 128
1) 지역별ㆍ시대별 봉수 자료
2) 조선시대 봉수대를 표시한 봉화산악지도
3) 노선별 봉수와 파발제의 비교
4. 봉수대 복원과 문화경관 ... 135
1) 봉수대의 복원
2) 봉수 다시 보기
3) 문화경관 읽기
7강 광주에서 굿은 어디에서 할까 ... 143
1. 굿당은 왜 생겨났을까 ... 143
2. 무등산 주변의 굿당의 형성과 변화 ... 145
1) 굿 의례 장소의 변화
2) 굿당의 형성과 입지
3) 굿당의 운영
3. 무구점의 형성과 입지 ... 152
4. 굿당과 무구점의 미래 ... 155
8강 작고 아담한 무덤으로 권위를 표현하다 ... 159
1. 거대한 전통 건축물에 대한 한국인의 콤플렉스 ... 159
2. 경상도의 거대한 무덤 ... 162
3. 법흥왕이 무덤 - 거대한 무덤에 대한 거부 ... 165
4. 산을 통한 권위의 표현 ... 170
5. 다양한 산악숭배의 형태 ... 173
9강 종족 마을 - 우리나라 촌락의 기본형 ... 177
1. 종족 마을이 전체 촌락의 1/3 ... 177
2. 종족 마을이 출현한 배경은 무엇인가 ... 180
1) 마을 형성의 주인공인 '종족'
2) 종족 마을이 등장한 계기와 배경
3. 마을의 기억과 상징을 담은 경관과 장소들 ... 183
1) 마을 터와 조상 묘역의 풍수지리
2) 종가와 사당과 재실 - 종족 의식을 재생하는 장소
3) 서원과 정자 - 유교적 실천과 정치적 재생산의 장소
4. 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 191
10강 크리스트교의 장소성과 선교 전략 ... 195
1. 종교와 장소성 ... 195
2. 장소 차지하기 - 장소 관성과 장소 전용 ... 200
3. 장소답게 만들기 - 장소 응집성 ... 203
4. 장소의 기대 효과 - 장소 권력 ... 206
5. 종교의 장소성과 선교 전략 ... 208
제4부 서로 다른 장소 말하기
11강 평해로 길가 이야기 ... 217
1. 조선 후기의 간선도로망 ... 217
2. 길의 생명력 ... 221
3. 길가의 느티나무 ... 227
4. 평해로 도로망의 분포 ... 231
5. 옛길의 역사ㆍ문화지리적 의미 ... 233
12강 골품제와 화랑도의 지역 차별성 ... 241
1. 골품제 - 신분제적 보편성과 신라의 특성 ... 241
2. 골품제의 지역 차별성 - 가장 큰 신라의 특징 ... 245
3. 신라의 고분 - 지방 차별의 또 다른 증거 ... 250
4. 고려는 신라와 정반대의 정책을 통해 후삼국을 통일했다 ... 253
13강 풍수와 장소의 정치 ... 257
1. 수도 이전과 정치 ... 257
2. 조선의 개국과 '신도(新都)'의 등장 ... 259
3. 텍스트로서의 장소와 코드로서의 풍수 ... 262
4. 왜 신도인가 - 개성으로부터의 천도 ... 264
5. 그런데 왜 신도를 폐기하는가 - 한양으로의 천도 ... 268
14강 일제의 조선 신사 네트워크 ... 275
1. 식민지 지배 수단으로서의 조선 신사 ... 275
2. 메이지유신과 국가신도 ... 277
3. 지배 기호로서의 조선 신사 ... 280
1) 공간적 지배 기호로서의 조선 신사
2) 시각적 지배 기호로서의 조선 신사
4. 조선 신사 네트워크의 해체 ... 288
15강 도시 뒷골목에 담긴 '장소 기억'- 종로 피맛골 ... 295
1. 서울 종로의 뒷골목 '피맛골' ... 295
2. 문헌과 고지도에 보이는 피맛골 ... 297
1) 문헌 속의 피맛골
2) 고지도에 묘사된 피맛골
3. 피맛골의 '장소 기억들' ... 303
1) 서발턴의 공간 vs 탈주의 공간
2) 망각의 공간 vs 회상과 생성의 공간
3) 화석의 공간 vs 삶의 공간
4. 다양한 뒷골목들, 그리고 도시의 숨은 이면들 ... 312
도판목록 ... 317
표목록 ... 319
찾아보기 ... 32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