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프롤로그 ... 5
제1장 조선왕조 건국사에 대한 과거의 연구 ... 19
1. 1980년대의 연구 경향 ... 22
2. 양반 연구 ... 23
3. 사림 연구 ... 29
4. 농업사 연구 ... 37
5.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연구들 ... 42
제2장 조선 초기 정치사에 대한 역사소설과 TV 드라마 ... 65
...
더보기
목차 전체
프롤로그 ... 5
제1장 조선왕조 건국사에 대한 과거의 연구 ... 19
1. 1980년대의 연구 경향 ... 22
2. 양반 연구 ... 23
3. 사림 연구 ... 29
4. 농업사 연구 ... 37
5. 1990년대 이후의 새로운 연구들 ... 42
제2장 조선 초기 정치사에 대한 역사소설과 TV 드라마 ... 65
단종과 세조에 대한 역사소설: 이광수의『단종애사』,『세조대왕』과 김동인의『대수양』 ... 69
1.『단종애사』와『세조대왕』에 나타난 역사관 ... 72
2.『대수양』에 나타난 김동인의 역사관 ... 79
3. 세조대 역사에 대한 평가가 지니는 현재성 ... 83
4. 이광수와 김동인의 역사를 보는 눈 ... 90
5. 과거의 긴 그림자 ... 100
TV 사극「용의 눈물」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 역사적 해석과 문학적 상상력 ... 102
1.『조선왕조실록』의 대중화와 전통적 역사학 ... 104
2. 태종 초의 '조사의 난'과「용의 눈물」 ... 106
3. 역사적 해석과 문학적 상상력 ... 108
제3장 건국 이후 태종의 정치개혁과 새로운 통치체제의 성립 ... 113
1. 왕조의 건국과 도평의사사 체제의 성립(1392년 7월) ... 117
2. 도평의사사ㆍ중추원의 해체와 의정부의 신설 ... 120
3. 문하부의 혁파 ... 125
4. 육조의 정치적 기능 강화 ... 131
5. 의정부 서사권의 축소 ... 136
6. 육조직계제의 성립 ... 140
7. 성종대의 유교적 통치체제 확립 ... 146
제4장 통치 영역의 확정과 그 지배권의 천명 : 조선 초기 지리지 편찬의 역사적 의미 ... 153
1.『세종실록지리지』의 편찬 ... 157
2.『팔도지리지』의 편찬 ... 193
3.『동국여지승람』의 편찬 ... 209
4. 지리지 편찬의 역사적 의의 ... 233
제5장『용비어천가』와 조선왕조 건국사 ... 239
1.『태조실록』(太祖實錄) '총서'(總書)와의 관계 ... 244
2.『고려사』기록과의 관계 ... 252
3.『용비어천가』편찬의 역사적 의미 ... 259
4. 나머지 말 ... 266
제6장 14∼16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조선왕조 ... 271
『해동제국기』를 통해 본 조선 초기 지배층의 일본관 ... 277
1. 조선에 온 왜(倭)의 사신은 누구인가? ... 279
2. 왜의 사신에 대한 조선의 대책 ... 292
3. 새로운 전망 ... 300
조선왕조와 명ㆍ청대의 중국: 유교이념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303
1. '중국'과 명(明) ... 303
2. 병자호란 이후의 '중국'과 청(淸) ... 308
3. 명과 청: 이념과 현실 ... 312
에필로그 : 조선왕조의 건국사와 대한민국의 건국사 ... 319
찾아보기 ... 33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