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경호의 의의 ... 13
1. 협의(狹義)적 개념과 광의(廣義)적 개념 ... 13
2. 실질적 의미의 경호와 형식적 의미의 경호 ... 14
3. 공경호와 민간경호 ... 16
4. 경호의 특성과 중요성 ... 18
Ⅱ. 경호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의의 ... 21
1. 역사(歷史)의 의의 ... 21
2. 역사 연구...
더보기
목차 전체
Ⅰ. 경호의 의의 ... 13
1. 협의(狹義)적 개념과 광의(廣義)적 개념 ... 13
2. 실질적 의미의 경호와 형식적 의미의 경호 ... 14
3. 공경호와 민간경호 ... 16
4. 경호의 특성과 중요성 ... 18
Ⅱ. 경호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의의 ... 21
1. 역사(歷史)의 의의 ... 21
2. 역사 연구의 방법 ... 23
3. 경호사(警護史) 연구의 의의 ... 24
Ⅲ. 고대국가 이전의 경호 ... 27
1. 선사시대 ... 27
2. 고조선 ... 29
Ⅳ. 삼국시대의 경호 ... 31
1. 고구려의 군사제도와 경호 ... 31
2. 백제의 군사제도와 경호 ... 33
3. 신라의 경호제도 ... 35
Ⅴ. 고려 전기의 경호제도 ... 39
1. 고려 전기 군사제도와 경호조직 ... 39
2. 견룡군(牽龍軍) ... 42
Ⅵ. 고려 무신정권기의 경호 ... 51
1. 무신 집권 ... 51
2. 경대승(慶大升)의 도방(都房) ... 52
3. 최씨 무인 정권과 경호조직 ... 54
4. 최씨 정권의 특수경호조직 ... 58
Ⅶ. 고려 후기 경호제도 ... 63
1. 원(元) 시위군제(侍衛軍制)의 수용 ... 63
2. 2군6위의 복구와 충용위(忠勇衛) ... 66
3. 성중애마(成衆愛馬) ... 67
Ⅷ. 조선 전기 군사제도와 경호 ... 71
1.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와 10위(衛) ... 71
2. 금군(禁軍) ... 72
3. 조선 초기 왕권 강화와 금군(禁軍) ... 77
Ⅸ. 조선 후기 군사제도와 경호 ... 82
1. 5군영(五軍營) ... 83
2. 금군(禁軍) ... 88
Ⅹ. 구한말 경호조직 ... 94
XI. 대통령 경호 변천 ... 109
1. 제1ㆍ2공화국 ... 109
2. 제3ㆍ4공화국 ... 111
3. 제5공화국 ... 112
4. 문민정부 이후 ... 113
XII. 현대 민간경호의 발달 ... 114
1. 민간경호의 사회적 배경 ... 114
2. 민간경호의 발전 ... 116
3. 민간경호의 법제화 ... 119
4. 현대 민간경호의 발전 방향 ... 120
부록 ... 131
1. 한국 공경비(경찰)제도 약사(略史) ... 131
2. 대통령 경호 약사 ... 136
3. 현행 경호 관련 법제 ... 140
4. 경호 관련 사례 ... 162
5. 북한의 경호조직 ... 170
경호사 연구의 가치와 향후 연구 과제 ... 173
참고문헌 ... 20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