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의 독자들에게 ... 5
옮긴이의 글 ... 9
시작하며 ... 18
제1장 한문맥이란 무엇인가 : 문체와 사고의 양극
일본의 한문맥 ... 29
문체와 사고라는 양극단 ... 32
한문맥의 윤곽 : 지역성과 시대성 ... 35
교양이 아닌 소양이었던 한문 ... 38
간세이 개혁 ... 40
사인 의식의 형성 ... 4...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의 독자들에게 ... 5
옮긴이의 글 ... 9
시작하며 ... 18
제1장 한문맥이란 무엇인가 : 문체와 사고의 양극
일본의 한문맥 ... 29
문체와 사고라는 양극단 ... 32
한문맥의 윤곽 : 지역성과 시대성 ... 35
교양이 아닌 소양이었던 한문 ... 38
간세이 개혁 ... 40
사인 의식의 형성 ... 43
무사와 사인의 공통점 ... 46
한문 학습의 양태 ... 49
천하국가를 논하는 문제 ... 53
강개하는 막부 말기의 지사 ... 55
곤도 이사미가 남긴 '사세의 시' ... 57
제2장 한문의 읽고 쓰기는 왜 널리 퍼졌는가 :『일본외사』와 훈독의 목소리
문장어로서의 한문 ... 63
학자 집안에서 태어난 라이 산요 ... 66
주자학이라는 체제론 ... 69
'이학의 금지'로 촉발된 학문의 제도화 ... 72
학문과 치세에 대한 지향 ... 75
역사 서술이라는 라이 산요의 원대한 꿈 ... 78
『일본외사』의 완성 ... 82
당대의 베스트셀러가 된『일본외사』 ... 84
낭송을 염두에 두었던『일본외사』의 한문 ... 86
'와슈'에 대한 비판 ... 88
일상언어와는 다른 훈독의 리듬 ... 92
훈독과 음독 ... 93
당대를 풍미한 가락 ... 96
시음의 유행 ... 97
기우장대한 한시의 매력 ... 101
국민화된 한문맥 ... 105
제3장 '국민의 문체'는 어떻게 성립된 것인가 : 문명개화와 훈독문
한문과 훈독문의 분리 ... 109
메이지 시대의 라이 산요 평가 ... 110
세 사람의 평가와 그 차이점 ... 114
보통문이란 무엇인가 ... 117
두 가지 초점 : 기능성과 정신성 ... 120
보편과 보통 ... 122
문체가 된 훈독 ... 124
엷어져가는 한문의 정신세계 ... 126
번역에 적합한 문체 ... 128
실용성이 요구된 시대 ... 131
현대문으로서의 금체문 ... 133
'국민의 문장'이 성립되다 ... 134
신한어의 대량 출현 ... 138
계몽의 문체 ... 142
수사를 갖춘 훈독문,『미구회람실기』 ... 146
풍격을 갖춘 금체문 ... 150
제4장 문학의 '근대'는 언제 시작된 것인가 : 반정치로서의 연애
'근대문학사'를 다시 묻는다 ... 155
메이지 시대의 한시단 ... 157
한시 융성의 주역, 모리 슌토 ... 160
정신 세계를 구성하는 '공(公)'과 '사(私)' ... 163
'사'의 세계에 충실한다는 것 ... 165
시문을 즐기는 문인적 에토스 ... 167
문인의 세계를 살다간 오누마 진잔 ... 170
정치의 '공'과 문학의 '사' ... 174
학문과 문학의 분리 ... 177
모리 오가이의『항서일기』 ... 180
모리 오가이의 자의식 ... 183
'사(仕)'와 '은(隱)'이라는 틀 ... 186
과장된 수사 ... 188
「무희」의 모티프 ... 191
'공명'과 '공부'의 연원 ... 194
반(反)정치로서의 연애 ... 196
'문학'의 재편 ... 199
제5장 소설가는 동경하던 이국땅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 염정과 혁명의 땅
근세 일본과 소설의 위상 ... 203
시와 소설의 배치 ... 205
'정(情)'이라는 테마 ... 207
정치소설과 연애 ... 211
연애소설 대전 ... 213
소설의 주안점, '인정(人情)'의 모사 ... 217
사대부 관료의 아들, 나가이 가후 ... 218
정반대였던 부자지간 ... 220
반발과 계승 ... 223
청나라가 가져다준 일본의 이국의식 ... 225
상해에 도취된 남자 ... 228
'리얼리티'를 얻은 한시문 ... 231
한문맥 안에 있었던 나가이 가후 ... 233
상인 집안 출신의 다나자키 준이치로 ... 235
미(美)를 탐닉하다 ... 237
중국, 염정의 땅 ... 240
아쿠타가와 류노스케가 본 진짜 중국 ... 243
다니자키 준이치로 대(對)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245
다이쇼 교양주의란 무엇인가 ... 247
제6장 한문맥의 지평 : 또 하나의 일본어를 향해
언문일치제의 특징 ... 253
한문맥의 외부 ... 255
에크리튀르의 중심 ... 257
새로운 문맥과 격투하는 나쓰메 소세키 ... 259
서양에 대한 대항원리로서의 한문맥 ... 260
나쓰메 소세키의 한시에서 나타난 선(禪) ... 263
지적 유희로서의 한문맥 ... 266
오늘날의 한시문 ... 269
또 하나의 일본어 ... 272
취미와 교양 ... 274
후기 ... 277
인명정보 ... 280
작품정보 ... 292
참고문헌 ... 29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