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강과 바다, 그리고 해로 ... 1
신라 말∼고려시대 서남해지역의 한ㆍ중 해상교통로와 거점포구 / 강봉룡
1. 머리말 ... 3
2. 한ㆍ중 해상교통로 ... 5
3. 거점포구 ... 11
4. 맺음말 ... 19
한국 서남해 도서ㆍ연안지역의 鐵馬信仰 / 강봉룡
1. 머리말 ... ...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강과 바다, 그리고 해로 ... 1
신라 말∼고려시대 서남해지역의 한ㆍ중 해상교통로와 거점포구 / 강봉룡
1. 머리말 ... 3
2. 한ㆍ중 해상교통로 ... 5
3. 거점포구 ... 11
4. 맺음말 ... 19
한국 서남해 도서ㆍ연안지역의 鐵馬信仰 / 강봉룡
1. 머리말 ... 21
2. 철마신앙의 역사적 연원 ... 22
3. 철마신앙의 사상적 배경 : 天馬思想 ... 25
4. 서남해 도서ㆍ연안지역의 철마신앙과 해양신앙 ... 32
5. 맺음말 ... 36
조선초기 서남해 지방 읍성의 축조와 도시화 요소 / 고석규
1. 머리말 ... 39
2. 연해 읍성의 축조 ... 41
3. 읍성 축조의 실태 ... 54
4. 읍성의 공간구조 ... 66
5. 읍성의 도시화 요소와 그 한계 ... 70
6. 맺음말 ... 77
조선후기 태안 안흥진의 설치와 성안마을의 공간구조 / 김경옥
1. 머리말 ... 81
2. 安興梁의 입지환경과 漕運路 ... 84
3. 安興鎭의 설치와 鎭城의 축조 ... 91
4. 성안마을의 공간구조 ... 99
5. 맺음말 ... 105
제2장 표류와 인간 ... 109
조선시기 표류경험의 기록과 활용 / 고석규
1. 머리말 ... 111
2. 표류인 송환의 추이 ... 112
3. 표류 경험의 기록 ... 120
4. 표류 기록의 활용과 한계 ... 127
5. 맺음말 ... 133
18∼19세기 서남해 도서지역 漂到民들의 추이 -『備邊司騰錄』『問情別單』을 중심으로 / 김경옥
1. 머리말 ... 137
2. 異國人이 표착한 서남해 도서지역의 실태 ... 140
3. 서남해 도서지역 漂到民들의 현황과 추이 ... 145
4. 표도민들의 출항지와 표착지를 연계한 海路 ... 158
5. 맺음말 ... 161
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생활에 대하여 / 고석규
1. 머리말 ... 167
2. 유배여정 ... 170
3. 유배생활 ... 174
4. 임자도와 맺은 인연 ... 187
5. 해배 ... 201
6. 맺음말 ... 203
암태도 소작쟁의 주역의 세 가지 길 : 서태석, 박복영, 문재철 / 정병준
1. 머리말 ... 207
2. 서태석의 길: 면장에서 공산주의자로 ... 210
3. 박복영의 길: 임정에서 국민회까지 ... 219
4. 문재철의 길: 친일 지주와 학교설립자의 간극 ... 232
5. 맺음말 ... 243
강화도에서 이동휘의 계몽운동 / 이기훈
1. 머리말 ... 247
2. 강화도와 이동휘 ... 248
3. 강화도 시기(103∼1908) 이동휘의 정치 사회 활동 ... 251
4. 강화도 시기(1903∼1908) 이동휘의 계몽운동의 성격 ... 259
5. 맺음말 ... 270
제3장 포구와 생활 ... 273
금강하구역의 패총 성격 / 김건수
1. 머리말 ... 275
2. 금강유역의 패총현황 ... 276
3. 자연유물로 본 패총 성격 ... 278
4. 맺음말 ... 280
포구와 마을숲 / 홍선기 ; 김재은
1. 서론 ... 285
2. 마을숲의 종류 ... 287
3. 전통숲의 생태문화적 특성 ... 290
4. 포구 전통 마을숲의 보전을 위한 논의 ... 298
5. 생태경관요소로서의 포구 마을의 자연숲과 전통숲 ... 300
6. 포구 숲의 기본관리방향 ... 301
섬의 생태적 특성 활용과 지역 활성화 / 홍선기
1. 서론 ... 309
2. 도서연안자원을 이용한 생태관광의 필요성 ... 311
3. 생태관광자원의 개발 ... 313
4. 사례 연구 ... 320
5. 결론 ... 327
영산강 하류지역에 있어서 포구의 기능과 역할 - 무안 옹기마을(석정포)를 중심으로 / 문병채
1. 들어가며 ... 333
2. 영산강 본류(지류)의 역할과 기능 ... 334
3. 포구(나루)의 역할과 기능 ... 336
4. 간척과 자연경관의 변화 ... 338
5. 사례연구 : 무안 옹기마을(석정포)의 기능과 역할 ... 340
찾아보기 ... 3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