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역사교육의 의의
Ⅰ. 역사교육의 의미 ... 19
1. 역사교육의 개념 ... 20
2. 역사교육의 성격 ... 20
(1) 역사교육의 특성 ... 20
(2) 사회과와 역사교과 ... 22
Ⅱ. 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 ... 24
1. 역사교육학의 개념 ... 24
2...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역사교육의 의의
Ⅰ. 역사교육의 의미 ... 19
1. 역사교육의 개념 ... 20
2. 역사교육의 성격 ... 20
(1) 역사교육의 특성 ... 20
(2) 사회과와 역사교과 ... 22
Ⅱ. 역사교육과 역사교육학 ... 24
1. 역사교육학의 개념 ... 24
2. 역사교육학의 학문적 근거 ... 25
(1) 역사교육학의 학문적 적합성 ... 25
(2) 역사교육학 성립의 필요성 ... 26
3. 역사교육학의 성격 ... 27
(1) 역사교육의 학문적 특성 ... 27
(2) 역사교육학 내용의 특성 ... 30
4. 역사교육학의 연구 범위 ... 31
Ⅲ. 역사교육의 목적 ... 34
1. 역사교육의 내재적 가치 ... 34
2. 역사적 교훈 ... 35
3. 교양으로서 역사 ... 37
4. 민족공동체 의식의 고취 ... 38
5. 역사의식의 함양 ... 39
제2장 역사학과 역사교육
Ⅰ. 역사학의 성격 ... 41
1. 역사의 의미 ... 41
2. 사료와 사료비판 ... 43
(1) 사료의 개념과 종류 ... 43
(2) 사료비판의 방법 ... 45
3. 역사학과 사회과학 ... 47
Ⅱ. 역사철학과 역사교육 ... 49
1. 사변적 역사철학과 역사교육 ... 49
2. 비판적 역사철학과 역사교육 ... 51
(1) 비판적 역사철학의 개념 ... 51
(2) 관념론 ... 52
(3) 실증론 ... 53
Ⅲ. 역사연구의 동향과 역사교육 ... 54
1. 근대 역사학의 성립과 역사교육 ... 54
2. 20세기 새로운 역사학의 등장과 역사교육 ... 56
3. 포스트모던적 역사인식과 역사교육 ... 59
Ⅳ. 역사적 설명과 역사교육 ... 61
1. 설명과 이해 ... 61
2. 역사적 설명 ... 63
(1) 과학적 설명 ... 63
(2) 생략적-부분적 설명 ... 66
(3) 행위설명 ... 67
(4) 총괄적 설명 ... 69
3. 역사적 이해 ... 70
(1) 역사적 이해의 성격 ... 70
(2) 감정이입적 역사이해 ... 71
(3) 역사적 해석 ... 75
제3장 역사교육의 목표
Ⅰ. 역사교육의 목적과 목표 ... 77
Ⅱ. 역사과 목표의 분류 ... 78
1.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 ... 78
(1) 인지적 영역 ... 79
(2) 정의적 영역 ... 79
2. 콜담과 파인즈의 목표 분류 ... 80
3. 국가 교육과정의 목표분류 ... 82
(1) 미국 역사교육의 목표 ... 83
(2) 영국 역사교육의 목표 ... 85
(3)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목표 ... 88
4. 역사교육의 행동영역별 목표 ... 90
(1) 지식·이해 ... 90
(2) 기능 ... 93
(3) 가치·태도 ... 99
Ⅲ. 역사과 교육목표의 위계화 상세화 ... 103
1. 역사과 목표의 위계화 ... 103
2. 역사과 목표의 상세화 ... 105
제4장 역사교육의 내용
Ⅰ. 역사과 내용의 구성요소 ... 109
1. 구체적 사실 ... 109
2. 개념 ... 110
(1) 개념의 의미 ... 110
(2) 개념의 효용성 ... 111
(3) 역사적 개념의 분류 ... 112
3. 일반화 ... 114
4. 탐구방법 ... 116
5. 시대적·사회적 요구와 관련된 내용 ... 118
(1) 현재 문제와 관련된 내용 ... 118
(2) 지구촌교육과 관련된 내용 ... 119
Ⅱ. 역사교육의 내용선정 ... 120
1. 내용선정과 '중요성'의 문제 ... 120
(1) 도구적 중요성과 본질적 중요성 ... 120
(2) 과거의 가치와 현재의 가치 ... 121
(3) 중요성에 대한 종합적 견해 ... 122
2. 내용선정 기준과 적용 ... 123
Ⅲ. 역사교육의 내용조직 ... 126
1. 내용조직의 일반적 원칙 ... 126
(1) 계속성의 원칙 ... 126
(2) 계열성의 원칙 ... 126
(3) 통합성의 원칙 ... 127
2. 내용의 범위와 계열 ... 127
(1) 역사과 학습내용의 범위 ... 127
(2) 역사과 학습내용의 계열 ... 128
(3) 나선형 교육과정의 원리 ... 128
3. 역사과 내용조직의 방법 ... 130
(1) 연대기적 방법 ... 131
(2) 역연대기적 방법 ... 131
(3) 분야사적 방법 ... 132
(4) 주제중심적 방법 ... 132
(5) 문화권적 방법 ... 133
(6) 분절적 방법 ... 134
(7) 사회과학적 방법 ... 136
4. 우리나라 역사과 교육과정의 내용조직 ... 137
(1) 내용조직의 원칙 ... 137
(2) 내용진술의 방식 ... 138
제5장 역사수업의 교재
Ⅰ. 역사교재의 의의 ... 141
1. 역사교재의 개념 ... 141
2. 역사교재의 선정원리 ... 142
Ⅱ. 역사교재의 종류 ... 144
1. 교과서 ... 145
2. 시각자료 ... 147
(1) 역사지도 ... 148
(2) 연표 ... 149
(3) 시진·그림 ... 151
3. 사료 ... 151
4. 문학작품·시사자료 ... 154
5. 박물관자료 ... 156
6. 영상자료 ... 159
7. 컴퓨터자료 ... 161
제6장 역사수업의 방법
Ⅰ. 역사수업의 설계 ... 163
1. 수업설계의 개념 ... 163
2. 역사수업 설계의 유의점 ... 164
3. 역사수업 설계와 교실의 대화구조 ... 166
Ⅱ. 역사수업 모형 ... 168
1. 교수-학습 활동 유형 ... 168
(1) 강의식 수업 ... 168
(2) 문답식 수업 ... 170
(3) 탐구식 수업 ... 173
(4) 토론식 수업 ... 175
(5) 역할극 ... 179
(6) 시뮬레이션 ... 182
(7) 제작학습 ... 184
2. 내용구성 유형 ... 187
(1) 사실학습 ... 187
(2) 개념학습 ... 188
(3) 주제학습 ... 190
(4) 시대학습 ... 192
(5) 인물학습 ... 193
(6) 비교학습 ... 196
Ⅲ. 학습지도안 작성 ... 197
1. 학습지도안의 필요성 ... 197
2. 학습지도안의 실제 ... 198
Ⅳ. 역사수업 방법의 개선과제 ... 208
1. 교사의 실천적 의지 ... 208
2. 효과적 교수법의 개발 ... 209
제7장 역사학습의 평가
Ⅰ. 역사학습평가의 원리 ... 213
1. 학습평가의 개념 ... 213
2. 역사학습과정의 평가 ... 215
(1) 진단평가 ... 216
(2) 형성평가 ... 217
(3) 총괄평가 ... 219
Ⅱ. 지필평가 ... 220
1. 선택형 평가 ... 220
2. 서술형 평가 ... 225
Ⅲ. 수행평가 ... 229
1. 수행평가의 의미 ... 229
2. 역사과 수행평가의 방법 ... 231
(1) 수행평가 도구 ... 231
(2) 수행평가의 활용 ... 232
3. 역사과 수행평가의 유의점 ... 235
제8장 인지발달과 역사이해
Ⅰ. 삐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학습 ... 239
1. 삐아제의 인지발달론 ... 239
2. 역사학습에서 삐아제 이론의 적용 ... 241
(1) 삐아제-피일-할람 모델 ... 241
(2) 삐아제 이론 적용에 대한 비판 ... 244
3. 역사학습에서 인지발달론의 의의 ... 246
(1) 인지발달론의 공헌과 한계 ... 246
(2) 삐아제 이론의 적용에 대한 포괄적 해석 ... 248
Ⅱ. 역사이해에 대한 새로운 인지이론 ... 252
1. 영역고유의 인지방식 ... 252
2. 내러티브의 역사인식과 역사이해 ... 254
(1) 영역고유의 인식과 내러티브 ... 254
(2) 내러티브의 유용성과 문제점 ... 256
3. 역사학습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 257
(1) 구성주의 개념과 학습이론 ... 257
(2) 구성주의 인식론에 따른 역사이해 ... 259
Ⅲ. 인지발달과 지식의 체계 ... 262
1. 인지구조와 학문의 구조 ... 262
2. 역사교육에서 인지발달연구의 방향 ... 263
제9장 한국역사교육의 변천
Ⅰ. 전근대의 역사교육 ... 265
1. 삼국∼조선전기의 역사교육 ... 265
2. 실학자의 역사교육관 ... 267
Ⅱ. 근대의 역사교육 ... 270
1. 개화기·한말의 역사교육 ... 270
2. 일제 통치기 역사교육 ... 273
(1)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 275
(2)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 276
(3)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 ... 278
(4)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 279
Ⅲ. 해방 이후 역사교육의 변천 ... 280
1. 해방∼교수요목기 ... 282
2. 제1차 교육과정 시기 ... 283
3. 제2차 교육과정 시기 ... 285
4. 제3차 교육과정 시기 ... 287
5. 제4차 교육과정 시기 ... 290
6. 제5차 교육과정 시기 ... 293
7. 제6차 교육과정 시기 ... 295
8. 제7차 교육과정 시기 ... 298
제10장 각국의 역사교육
Ⅰ. 미국의 역사교육 ... 303
1. 미국교육의 동향의 역사교육 ... 303
(1) 교육개혁의 움직임과 역사교육강화론 ... 303
(2) 국가표준의 개발과 역사과 국가표준 ... 305
2. 역사교육과정의 편제 ... 307
3. 역사교육의 내용 ... 310
(1) 역사과 국가표준의 내용 ... 310
(2) 역사교과서의 내용 ... 312
Ⅱ. 영국의 역사교육 ... 315
1. 국가교육과정의 도입 ... 315
(1) 국가교육과정의 제정 ... 315
(2) 국가교육과정의 개정 ... 317
2. 역사교육과정의 편제 ... 318
3. 역사교육의 내용 ... 319
(1) 성취목표 ... 319
(2) 학습프로그램 ... 320
Ⅲ. 일본의 역사교육 ... 322
1. 학습지도요령의 개정과 역사교육 ... 322
(1) 사회과 해체논란과 역사교육 ... 322
(2) 신학력관과 학습지도요령 ... 324
2. 역사교육과정 편제 ... 325
3. 역사교육의 내용 ... 327
(1) 중학교 역사 ... 327
(2) 고등학교 일본사 ... 329
(3) 고등학교 세계사 ... 331
Ⅳ. 북한의 역사교육 ... 334
1. 주체사관 ... 334
2.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 336
3. 북한 역사교육의 내용 ... 338
(1) 『조선력사』의 내용과 그 특징 ... 338
(2) 『세계력사』의 내용과 구성 ... 344
4. 역사교수방법 ... 347
제11장 역사교육의 연구방법론
Ⅰ. 역사교육 연구의 의미 ... 351
1. 탐구와 방법론 ... 351
2. 연구의 주제와 방법 ... 352
Ⅱ. 역사교육의 연구방법 ... 356
1. 역사교육의 방법론적 성격 ... 356
2. 역사교육 연구방법의 유형 ... 357
Ⅲ. 역사교육의 현장연구론 ... 359
1. 현장연구의 개념 ... 359
(1) 현장연구의 의미 ... 359
(2) 현장연구의 특성 ... 360
2. 현장연구의 방법 ... 360
(1) 현장연구의 조직 ... 360
(2) 연구의 기법 ... 361
3. 현장연구의 방향 ... 363
Ⅳ. 역사교육에서 연구방법의 의미 ... 364
1. 연구의 기법과 논리 ... 364
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 365
3. 방법론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 ... 368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7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