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ⅴ
제1부 문학 교과의 본질 ... 1
Ⅰ. 문학 교과의 성격과 위상 ... 3
1.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문학교육 ... 3
2. 언어교육과 문학교육의 존재상 ... 6
3. 문학교육의 교과론적 검토 ... 25
4. 문학 교과의 지정학 ... 34
Ⅱ. 문학교육과 문학 능력 ...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ⅴ
제1부 문학 교과의 본질 ... 1
Ⅰ. 문학 교과의 성격과 위상 ... 3
1.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문학교육 ... 3
2. 언어교육과 문학교육의 존재상 ... 6
3. 문학교육의 교과론적 검토 ... 25
4. 문학 교과의 지정학 ... 34
Ⅱ. 문학교육과 문학 능력 ... 39
1. 문학교육 주체로서의 학습자 ... 39
2. 문학 능력의 본질과 발달성 ... 43
3. 문학교육의 발달적 통합 ... 52
Ⅲ. 문학교육과 문학 문화 ... 54
1. 문학 문화론의 필요성 ... 54
2. 학교 교육과정의 문화 요소 ... 56
3. 문학 문화의 개념과 범주 ... 63
4. 문학교육의 문화론적 조율 ... 79
Ⅳ. 국가 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 83
1. 근대 국가와 교육 ... 83
2. 문학교육과 국가 이데올로기 ... 85
3. 문학교육에 대한 국가 통제의 양상 ... 98
4. 문학교육과 국가 교육의 길항 ... 108
제2부 문학교육과 교육과정 ... 111
Ⅰ. 문학 교육과정의 구조 ... 113
1. 문학 교육과정 구조화의 철학 ... 113
2. 문학 교육과정 구조화의 체계 ... 121
3. 문학 교육과정 구조론의 의의와 과제 ... 132
Ⅱ. 문학 교육과정의 구성 ... 137
1. 문학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 137
2. 문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 143
3. 문학 교육과정 구성의 반성과 방향 ... 173
Ⅲ. 문학 교육과정 발전의 논리 ... 177
1. 문학 교육과정 논의의 층위 ... 177
2. 문학 교육과정 개정의 심층 논리 ... 178
3. 문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186
4. 문학교육과정 현상의 재개념화 ... 195
Ⅳ.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개념과 지향 ... 197
1.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필요성 ... 197
2.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의미와 의의 ... 199
3.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개발 준거와 원리 ... 202
4.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틀 ... 206
5.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구체화 방안 ... 209
6. 문학 교육과정 표준의 지향점 ... 211
제3부 문학교육의 실천 ... 215
Ⅰ. 문학교육의 본질과 교과서 ... 217
1. 문학 교재론의 필요성 ... 217
2. 문학 교과서의 이념태 ... 219
3. 문학 교과서의 현실태 ... 226
4. 문학 교과서의 가능태 ... 237
5. 문학 교과서의 개선 방향 ... 244
* 사례 분석 : 제7차 고등학교『문학』교과서 ... 249
Ⅱ. 문학교육 평가의 특성과 방향 ... 260
1. 문학교육 평가의 점검 ... 260
2. 문학교육 평가의 방향 ... 265
3. 문학교육 평가의 지향 ... 271
Ⅲ. 문학 경험의 평가 방법 ... 273
1. 문학 경험 평가의 필요성 ... 273
2. 문학 경험의 위상과 경험 평가 ... 275
3. 문학 경험의 평가의 내용과 방법 ... 281
4. 문학 경험의 평가의 과정 점검 ... 289
5. 문학 경험의 평가의 정교화를 위한 과제 ... 296
제4부 문학교육의 내포와 외연 ... 299
Ⅰ. 문학교육과 상상력 ... 301
1. 문학교육과 상상력의 문제 ... 301
2. 문학 상상력 교육을 위한 기초 ... 303
3. 문학 상상력의 교수-학습 원리 ... 310
4. 상상력 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 319
Ⅱ. 문학교육과 창작 ... 321
1. 창작교육 논의의 출발 ... 321
2. '述'과 '作'의 창작관과 창작교육 ... 328
3. 창작교육 교육과정을 위한 사고 틀 ... 335
4. 창작교육 논의의 의의 ... 340
Ⅲ. 문학교육과 대안 문학 ... 342
1.〈진달래꽃〉과〈홀로서기〉 ... 342
2. 우리 시교육이 외면한 것 ... 346
3. 시교육, 분열인가 통합인가 ... 357
4. 새로운 대안 문학을 위하여 ... 367
Ⅳ. 문학교육과 매체 ... 372
1. 다매체 시대의 문학 능력 ... 372
2. 4∼7차 교육과정 목표에 담긴 문학 능력관 ... 375
3. 문학 능력과 매체의 관점에서 본 2007/2009년 교육과정 ... 384
4. 매체의 확산과 문학교육의 대응, 그리고 문학 능력의 재개념화 ... 391
제5부 문학교육 연구의 방향 ... 393
Ⅰ.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 연구 ... 395
1. 문학과 문학교육, 그리고 연구 ... 395
2. 문학 연구의 문학교육에 대한 비판과 응답 ... 397
3. 문학 연구와 문학교육의 관계 ... 400
4. 문학교육 연구에 대한 문학 연구의 오해와 그 맥락 ... 404
5. 문학교육 연구의 지형도와 역할 ... 408
Ⅱ. 문학교육 연구 방법론 검토 ... 412
1. 연구 방법론에 대한 문제 제기 ... 412
2. 방법론으로 본 문학교육 연구사 ... 413
3. 문학교육 연구의 전제들 ... 418
4. 문학교육 연구의 성과와 방법적 한계 ... 425
5. 문학교육 연구 방법론에의 기대 ... 432
Ⅲ. 문학교육 연구 방법론의 내적 체계 ... 434
1. 문학교육 연구에서의 방법론 ... 434
2. 문학교육 연구 방법론의 지정학 ... 437
3. 문학교육 연구의 방법론적 범주 ... 442
4. 문학교육 연구 방법론의 체계 모형 ... 454
참고 문헌 ... 457
1차 텍스트의 제목과 발표지 ... 471
찾아보기 ... 47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