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제1장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
1. 역사지리학의 본질 ... 20
1) 역사지리학의 정의 ... 20
(1) 역사와 지리의 관계 ... 20
(2) 역사지리학의 정의 ... 23
2) 역사지리학의 구성 ... 26
(1) 시간과 지역ㆍ공간ㆍ장소 ... 27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제1장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
1. 역사지리학의 본질 ... 20
1) 역사지리학의 정의 ... 20
(1) 역사와 지리의 관계 ... 20
(2) 역사지리학의 정의 ... 23
2) 역사지리학의 구성 ... 26
(1) 시간과 지역ㆍ공간ㆍ장소 ... 27
(2) 시ㆍ공간의 접목 ... 34
3) 주제와 방법론 ... 37
(1) 주제 ... 37
(2) 방법론(철학)과 이론적 토대 ... 43
2. 자료와 접근 방법
1) 자료 ... 50
(1) 사료 ... 50
(2) 사료의 유형 ... 52
2) 접근 방법 ... 79
(1) 수평적 방법 ... 79
(2) 수직적 방법 ... 82
(3) 통합적 방법과 대안적 방법 ... 83
3) 기법 ... 87
(1) 답사 ... 87
(2) 사진 촬영 ... 88
(3) 지도화 ... 88
(4) 역사 GIS의 응용 ... 90
(5) 그래프 구축 ... 91
(6) 통계 분석 ... 93
(7) 모델화 ... 95
제2장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1. 민족의 개념에 대한 고찰 ... 102
1) 국민 개념과 구별해야 할 민족 개념 ... 102
2) 영어의 ethnicity에 상응하는 민족에 대한 개념 ... 103
3) 민족의식의 공유와 국민 의식의 확립 ... 105
4) 민족 개념과 구별해야 할 인종 개념 ... 106
2. 고조선을 우리 민족사에 편입하는 과정 ... 108
1) 단군신화가 등장하는 고문헌 ... 108
2) 역사적 실체가 아니라 상징적 실체인 단군조선 ... 110
3) 기자조선의 역사적 실체 ... 113
4) 위씨조선의 역사적 실체 ... 115
5) 고조선의 영역은 어디인가? ... 118
3. 고구려의 형성과 팽창 과정 ... 121
1) 건국 설화 등을 통해 본 고구려의 기원 ... 121
2) 고구려족의 형성과 범위 ... 123
3) 고구려의 영역 확장 과정 ... 125
4. 통일신라의 삼한일통의식과 삼한 개념의 변화 ... 129
1) 통일신라의 삼한일통의식 ... 129
2) 삼한 개념의 변화 ... 131
3) 남북국 시대 용어의 문제 ... 134
5. 고구려 계승 이델올로기의 형성 과정 ... 135
1) 고구려는 우리 한민족이 세운 국가인가? ... 135
2) 고려의 고구려 계승 이데올로기 조성과 확립 ... 137
6. 한민족의 형성 과정에 관한 '과학적인 역사관'
1) 동아시아의 국수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 ... 139
2) 재야 사학자들의 민족주의 사관 비판 ... 140
3) '과학적인 역사관'과 '비과학적인 역사관' ... 142
제3장 영토와 행정 구역
1. 영토와 지방 ... 152
2. 조선 시대 이전 ... 154
1) 강역 ... 154
2) 지방의 분할과 지배 ... 156
(1) 통일신라 ... 156
(2) 고려 ... 158
3. 조선 시대 ... 160
1) 동북아시아와 조선 ... 160
(1) 조선의 북방 정책 ... 160
(2) 청나라와 만주의 봉금 ... 162
(3) 러시아의 동아시아 진출 ... 163
2) 조선의 영토 ... 165
(1) 백두산과『황여전람도』 ... 165
(2) 동해와 독도 ... 167
3) 지방의 분할과 지배 ... 169
(1) 8도제 ... 170
(2) 군현 제도 ... 170
4. 개화기 이후 ... 172
1) 개화기 ... 172
(1) 1895년 23부제 ... 172
(2) 1896년 13도제 ... 173
(3) 연안 도서 지방의 설읍 ... 174
2) 일제 강점기 ... 174
제4장 전통적 자연관
1. 역사지리ㆍ문화ㆍ자연관 ... 180
2. 원형적 지리 인식과 자연관의 문화적 차이 ... 183
1) 원형적 지리 인식 ... 183
2) 상징적 공간 구조화 ... 184
3) 동ㆍ서 문화권의 자연관 차이 ... 185
3.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 보는 서구적 자연관 ... 187
4. 자연을 본받고자 하는 동아시아 자연관 ... 191
1) 생명계로서 자연 ... 191
2) 음양오행설과 천인우주론 도식 ... 193
3) 심성수양론의 심미적 천인합일 전통 ... 196
5. 한국의 전통 자연관 ... 199
1) 산을 중심으로 하는 지리 인식 ... 199
2) 재이설과 도참사상 ... 202
3) 풍수 사상 ... 205
4) 유교의 천인감응 사상과 풍수 ... 206
6. 한국 땅에 새겨진 전통적 자연관 ... 209
1) 천인합일의 장소 동천과 구곡 ... 209
2) 조선 시대 도시와 건축물 ... 211
3) 지명 ... 214
7. 역사지리학 연구에서 전통 자연관의 의의 ... 217
제5장 공간의 표상, 고지도
1. 한국 고지도의 사회ㆍ문화사 ... 228
1) 지도 제작의 사회사 ... 228
(1) 제작의 주체 ... 228
(2) 지도의 제작과 이용의 목적 ... 231
(3) 지도의 유통과 관리 ... 233
2) 지도 제작의 문화사 ... 237
(1) 지도 제작의 정량적, 기술적 특성 ... 237
(2) 지도 제작의 정성적, 예술적 특성 ... 245
2. 전통적 세계관과 세계지도 ... 253
1) 중화적 세계관과 세계지도 ... 253
2) 원형『천하도』와 세계관 ... 257
3) 서구식 세계지도와 세계관의 변하 ... 258
3. 국토 인식과 조선전도 ... 260
1) 조선 전기 국토의 표현 ... 260
2) 조선 후기 국토 인식의 진전과 정상기의『동국지도』 ... 263
3) 조선 지도학의 금자탑: 김정호의『대동여지도』 ... 269
4. 도성도와 군현지도 ... 274
1) 왕권의 상징과 도성도 ... 274
2) 생활 공간과 군현지도 ... 276
5. 다양한 유형의 고지도 ... 279
1) 조선 시대 국방 정책과 관방지도 ... 279
2) 천문의 기능과 천문도 ... 281
3) 명당도와 특수지도 ... 282
제6장 지역 정보의 보고, 지리지
1. 국토의 이력서, 지리지 ... 290
1) 지리지의 의의 ... 29
2) 지리지의 유형 ... 291
2. 조선 전기 전국지리지의 편찬과 국가의 지역 파악 ... 294
3. 읍지의 편찬과 지리 정보의 종합 ... 297
4. 주제별 지리서의 편찬과 지역 파악의 체계화 ... 300
5. 고산자 김정호의 전국지리지 ... 302
6. 실학적 지리서와 지리학 지평의 확대 ... 306
1) 공간과 사회 유기적 파악: 유형원 ... 308
2) 종합적, 실천적 지리학의 구현: 신경준 ... 311
3)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체계화: 이중환 ... 316
4) 하천 중심의 국토 인식의 체계화: 정약용 ... 320
5) 세계에 대한 파악과 세계지리의 중시: 최한기 ... 323
6) 조선 후기의 역사지리학과 윤정기의『동환록』 ... 329
제7장 인구의 역사지리
1. 인구와 역사지리학 ... 338
2. 인구 연구의 자료 ... 340
1) 인구 연구와 문헌 자료 ... 340
2) 고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인구 관련 자료 ... 341
3) 조선 시대의 인구 관련 자료 ... 342
4) 일제 강점기의 인구 관련 자료 ... 346
5) 해방 이후의 인구 관련 자료 ... 347
3. 인구의 변천 ... 349
1) 고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인구 성장 ... 349
2) 조선 시대의 인구 성장 ... 350
3) 일제 강점기의 인구 성장 ... 353
4) 해방 이후의 인구 성장 ... 355
4. 인구의 지역적 분포 ... 358
1) 조선 시대의 인구 분포 ... 358
2) 일제 강점기의 인구 분포 ... 365
3) 해방 이후의 인구 분포 ... 366
5. 인구의 이동 ... 369
1) 고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인구 이동 ... 369
2) 조선 시대의 인구 이동 ... 370
3) 일제 강점기의 인구 이동 ... 374
4) 해방 이후의 인구 이동 ... 375
제8장 농업과 농업 공간의 변천 과정
1. 농법과 수전 농업의 발전 과정 ... 382
1) 고려 중기 이전 ... 383
(1) 재배 곡물의 변천과 농경지의 분화 ... 383
(2) 농법의 변천과 수전 농업의 비중
2) 고려 후기∼조선 전기 ... 389
(1) 집약적 농법으로의 저환과 한국적 농법의 형성 ... 389
(2) 군ㆍ현별 수전 면적의 비율과 그 분포 ... 392
3) 조선 중기∼후기 ... 397
(1) 수전 이앙법의 보급과 도ㆍ맥 이모작의 성립 ... 397
(2) 번전의 조성과 새로운 관개 수단의 개발 ... 399
(3) 군ㆍ현별 수전 면적의 비율과 그 분포 ... 401
4) 일제 강점기 ... 405
(1) 일제의 산미증식계획과 수전의 확대 ... 405
(2) 부ㆍ군별 수전 면적의 비율과 그 분포 ... 406
5) 광복 이후 ... 409
(1) 공업화ㆍ도시화의 진전과 전통적 농업 문명의 변화 ... 409
(2) 시ㆍ군별 수전 면적의 비율과 그 분포 ... 410
2. 수전 농업 발전의 지역적 차이 ... 414
1) 15세기 전기∼18세기 중기 ... 414
2) 18세기 중기∼20세기 초기 ... 418
3) 20세기 초기∼20세기 후기 ... 420
3. 수전 농업의 발전 요인과 입지 확대
1) 수전 농업의 발전 요인 ... 423
2) 수전 농업 입지의 확대 과정 ... 425
제9장 촌락의 형성 과정과 발달
1. 촌락이란 무엇인가? ... 436
2. 촌락을 보는 역사지리적 관점 ... 438
1) 촌락의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438
2) 어떤 자료들이 전하는가? ... 439
3. 고려 시대 이전의 촌락 ... 443
1) 신라 시대의 촌락 ... 443
2) 고려 시대이 지역촌: '촌'의 두 가지 의미 ... 446
3) 고려 후기 이후 농법의 발달과 촌락의 확산 ... 448
4. 조선 시대의 촌락 발달과 분화 ... 450
1) 면리 제도의 실시와 '리' 명칭의 보편화 ... 450
2) 자연 촌락의 성장: '모촌-분촌'의 분화 ... 451
3) 종족 의식의 성장과 종족 마을의 발달 ... 454
5. 근ㆍ현대 이후의 간척 촌락과 산촌 ... 460
1) 20세기 초 해안 저지대 개척과 간척 촌락의 발달 ... 460
2) 구릉성 삼림 지대 개간과 산촌 경관의 형성 ... 463
제10장 도시의 입지와 구조의 변천
1. 백제의 도성 ... 474
1) 백제 전기 도성 한성의 위치 ... 475
(1) 유적ㆍ도로ㆍ지명에서 본 한성의 위치 ... 478
(2) 한성 시대의 '제언' 흔적 ... 481
(3) 항공 사진을 이용한 왕궁지 비정 ... 484
2) 백제 중기 웅진도성의 내부 구조 ... 486
3) 백제 후기 사비도성의 토지 구획 ... 488
2. 신라의 수도 ... 495
1) 최초 입지의 특징 : 소국 신라의 중심지 ... 495
2) 도시의 상징 경관과 기본 구조 ... 497
3) 도시의 행정 구역과 규모 ... 504
3. 고려의 수도 ... 512
1) 후삼국 시대 개성의 건설 ... 512
2) 도시의 상징 경관과 기본 구조 ... 515
3) 도시의 행정 규역과 규모 ... 521
4. 신라와 고려의 지방 도시 ... 526
5. 조선의 수도 ... 531
1) 풍수적 계획 입지 ... 531
2) 도시의 상징 경관과 기본 구조 ... 533
3) 도시의 행정 규역과 규모 ... 541
6. 조선의 지방 도시 ... 544
1) 입지와 구조 및 상징 경관 ... 544
2) 도시의 성격과 규모 ... 5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