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교육공간에 대한 역사적 성찰
Ⅰ. 교육과 '공간'의 새로운 만남, 새로운 담론 ... 19
Ⅱ. '공간'에 대한 해석과 교육사 ... 29
Ⅲ. 교육공간을 통해서 본 '전근대'와 '근대' ... 37
Ⅳ. 맺음말 ... 49
제2장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Ⅰ. 들어가며: '자연'이라는 교육...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교육공간에 대한 역사적 성찰
Ⅰ. 교육과 '공간'의 새로운 만남, 새로운 담론 ... 19
Ⅱ. '공간'에 대한 해석과 교육사 ... 29
Ⅲ. 교육공간을 통해서 본 '전근대'와 '근대' ... 37
Ⅳ. 맺음말 ... 49
제2장 교육공간으로서의 자연: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山水)
Ⅰ. 들어가며: '자연'이라는 교육공간과 화랑도 전통 ... 53
Ⅱ. 자연을 요청한 화랑도 교육의 정신, '선도(仙道)' ... 56
Ⅲ. 화랑도 교육의 공간, 산수 ... 68
Ⅳ. 화랑도 교육공간관의 역사적 전승 ... 83
Ⅴ. 다시 부활할 교육공간, '자연' ... 91
제3장 전통사회의 교육공간으로서 불교의 사원
Ⅰ. 머리말 ... 97
Ⅱ. 민중 교화의 공간으로서 사원 ... 98
Ⅲ. 학교의 대체공간으로서 사원 ... 114
Ⅳ. 지식인의 독서공간으로서 사원 ... 120
Ⅴ. 맺음말 ... 132
제4장 정치와 교육이 공존하는 궁궐
Ⅰ. 머리말 ... 141
Ⅱ. 한성 건설과 궁궐 건립 ... 142
Ⅲ. 궁궐의 배치 구조와 원리 ... 147
Ⅳ. 의례와 교육 공간으로서 궁궐 ... 158
Ⅴ. 맺음말 ... 181
제5장 교육공간을 향한 퇴계의 시선
Ⅰ. 머리말 ... 187
Ⅱ. 퇴계의 교육공간 ... 189
Ⅲ. 퇴계 교육공간의 특징과 의의 ... 228
제6장 서원 교육공간의 건축적 규범
Ⅰ. 조선시대 교육공간의 성립과 서원 ... 237
Ⅱ. 서원의 위치와 장소성 ... 240
Ⅲ. 서원의 영역 설정 및 교육공간 ... 248
Ⅳ. 서원의 교육시설 ... 257
Ⅴ. 맺음말 ... 263
제7장 조선시대 주택의 교육공간
Ⅰ. 머리말 ... 269
Ⅱ. 조선시대 주택의 역사적 배경 및 공간 구성상 특징 ... 271
Ⅲ. 조선시대 주택과 교육공간 ... 283
Ⅳ. 유자(儒者)의 이상적인 주택계획 ... 312
Ⅴ. 맺음말 ... 334
제8장 교육공간으로서의 전통 마을
Ⅰ. 머리말 ... 341
Ⅱ. 전통 마을의 공간적 구성 요소 ... 344
Ⅲ. 한국 전통 마을의 교육적 특징 ... 375
Ⅳ. 맺음말 ... 396
제9장 근대적 교육공간의 성격과 한국의 근대 학교
Ⅰ. 머리말 ... 405
Ⅱ. 교육공간과 근대교육 ... 407
Ⅲ. 한국의 근대 학교와 교육공간 ... 415
Ⅳ. 근대적 교육공간의 역사적 성찰 ... 430
제10장 학교공간 조성의 교육학적 조건과 문제
Ⅰ. 머리말 ... 437
Ⅱ. 한국의 학교공간 건축의 역사적 정황과 세 가지 국외 사례 ... 441
Ⅲ. 학교공간의 교육학적 조성을 위한 열한 가지 문제 ... 450
Ⅳ. 맺음말 ... 475
제11장 현대 교육공간으로서의 집
Ⅰ. 교육공간의 대상으로서의 집에 대한 정의 ... 486
Ⅱ. 전통주택과 현대주택의 비교 ... 488
Ⅲ. 아파트와 교육공간 ... 494
Ⅳ. 단독주택과 교육공간 ... 503
Ⅴ. 맺음말 ... 512
제12장 교육공간으로서의 박물관: 한국 박물관을 중심으로
Ⅰ. 박물관과 박물관 교육 ... 517
Ⅱ. 박물관이라는 공간 ... 521
Ⅲ. 우리나라 박물관의 교육공간 ... 525
Ⅳ. 교육공간으로서 박물관의 변화 ... 537
찾아보기 ... 55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