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담론 ... 19
제1장 상실과 애도의 무대:「웨딩드레스」와「운상각」 ... 23
1. 상실의 무대,「웨딩드레스」 ... 25
2. 기억과 애도의 무대,「운상각」 ... 31
3. 아버지의 상실과 초혼 ... 51
제2장 집단적 상처에 다가가는 극작술:「자전거」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오태석 연극의 역사적 담론 ... 19
제1장 상실과 애도의 무대:「웨딩드레스」와「운상각」 ... 23
1. 상실의 무대,「웨딩드레스」 ... 25
2. 기억과 애도의 무대,「운상각」 ... 31
3. 아버지의 상실과 초혼 ... 51
제2장 집단적 상처에 다가가는 극작술:「자전거」 ... 54
1.「자전거」의 개방성 ... 55
2. 극적 공간과 인물 ... 67
3. 무대화 ... 74
제3장 담론 통제와 연극적 상상력:「태」 ... 87
1. 공연의 외부적 조적과 극적 사건 ... 89
2. 인물구도와 공간개념 ... 92
3.「태」의 수용과 담론 통제 ... 106
제4장 보이지 않는 참호와 대항 담론:「비닐하우스」 ... 110
1. 보이지 않는 참호로서의 비닐하우스 ... 111
2. 정상성과 탈규범성 ... 118
3. 자연의 법칙: 대항 담론 ... 121
4. 오태석과 이윤택의 담론의 위치 ... 126
제5장 아버지 이마고와 통일 담론:「만파식적」 ... 131
1. 아버지 이마고의 신화화 ... 134
2. 남북통합의 연극적 제안 ... 152
3. 민족주의적 연극 담론의 경계 ... 157
제2부 오태석 연극의 여성성과 생태적 상상력 ... 161
제1장 생태적 상상력의 무대화:「갈머리」 ... 166
1. 비생태적 현실 ... 166
2. 생태적 삶의 가능성 ... 175
3. 유기적 생명공동체 ... 182
4. 생태연극을 향하여 ... 193
제2장 확장된 생태적 자아:「용호상박」 ... 196
1. 큰 생명공동체의 무대화 ... 196
2. 생명의 욕망과 갈등 ... 198
3. 생태적 자아로서의 남성 ... 205
제3장 생명과 살림의 주체로서의 여성:「초분」부터「갈머리」까지 ... 211
1. 어머니 대지, 가이아 ... 215
2. 유교적 담론과 저항하는 여성 ... 224
3. 살림의 주체 ... 238
4. 자아의 해방과 타자에 대한 사랑을 실현하는 여성 주체 ... 243
제4장 통일과 생태 담론:「내 사랑DMZ」와「백년언약」 ... 245
1. 분단현실의 무대화 ... 247
2. 정서적 통합 ... 249
3. 유기체로서의 한반도 ... 263
4. 통일과 생명을 향한 대안 연극 ... 265
제3부 오태석 연극의 연행성 ... 269
제1장 공연의 생성 과정:「내 사랑 DMZ」 ... 277
1. 수용자의 위치 ... 280
2. 기본 골격 ... 283
3. 1차 대본 창작 과정 ... 287
4. 구체화 과정 ... 288
5. 무대진과 관객의 기대 지평의 융합 ... 299
제2장 연극화된 축제:「춘풍의 처」 ... 304
1. 무대와 객석을 잇는 문화적 기억 ... 307
2. 죽음과 생명의 축제적 퍼포먼스 ... 316
3. 극적 환상과 축제의 경계 ... 338
제3장 꿈과 문화적 기억의 기능:「백마강 달밤에」 ... 341
1. 꿈과 문화적 기억의 놀이 ... 343
2. 명부(冥府): 집단 트라우마 ... 353
3. 시각의 다층성 ... 359
4. 일치의 유토피아 ... 365
5. 분열을 청산하는 대동굿 ... 372
제4장 죽음과 삶을 넘는 사랑의 퍼포먼스:「로미오와 줄리엣」 ... 375
1. 현실과 공연의 '문지방'에서 ... 378
2. 폭력과 집단죽음 ... 381
3. 생명의 에너지 ... 387
4. 증오 속에서 태어난 사랑: 에로스와 타나토스 ... 394
5. 자가생성적 피드백 고리의 형성 ... 400
6. 극장의 '문지방'에서 ... 406
결론: 오태석 연극의 문화적 공동체 ... 411
참고문헌 ... 417
찾아보기 ... 42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