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姜瑋의 燕行詩 小考 / 이혜순
Ⅰ. 문제 제기 ... 1
Ⅱ. 우리 역사에 대한 인식과 중국관의 동요 ... 5
Ⅲ. 새로운 정치윤리의 모색 ... 14
Ⅳ. 연행시에 드러난 강위의 자기확인과 한계 ... 21
Ⅴ. 결론 ... 30
敬亭 李民宬의 詩文學 / 朴瓊恩
Ⅰ. 序論 ... 33
Ⅱ. 不泥于古 能通于今의 文學...
더보기
목차 전체
姜瑋의 燕行詩 小考 / 이혜순
Ⅰ. 문제 제기 ... 1
Ⅱ. 우리 역사에 대한 인식과 중국관의 동요 ... 5
Ⅲ. 새로운 정치윤리의 모색 ... 14
Ⅳ. 연행시에 드러난 강위의 자기확인과 한계 ... 21
Ⅴ. 결론 ... 30
敬亭 李民宬의 詩文學 / 朴瓊恩
Ⅰ. 序論 ... 33
Ⅱ. 不泥于古 能通于今의 文學觀 ... 36
Ⅲ. 日常事를 反映한 詩 ... 42
Ⅳ. 燕行에서의 새로운 體驗을 읊은 시 ... 55
Ⅴ. 結論 ... 62
경험의 재구성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 최미숙
Ⅰ. 머리말 ... 65
Ⅱ. 경험과 글쓰기 ... 69
Ⅲ. 경험적 자아와 서술적 자아의 분리를 통한 경험의 재구성 ... 72
Ⅳ. 자기 반성적 글쓰기와 국어교육 ... 83
Ⅴ. 맺음말 ... 86
權近의 使行詩 硏究 / 주경열
Ⅰ. 序言 ... 91
Ⅱ. 本論 ... 93
Ⅲ. 結言 ... 124
글쓰기 發想法으로서의 聯想 / 이지호
Ⅰ. 글쓰기에서의 發想의 문제 ... 127
Ⅱ. 聯想에 의한 글쓰기 ... 131
Ⅲ. 結論 ... 152
金昌業 『燕行日記』 中的中國形象 / 全美子
Ⅰ. 引言 ... 155
Ⅱ. 正負交錯的整體形象 ... 157
Ⅲ. 統治者形象向正面轉化 ... 167
Ⅳ. 結語 ... 179
老稼齋燕行日記 小考 / 이경자
Ⅰ. 序 ... 182
Ⅱ. 作者와 年代 ... 184
Ⅲ. 內容 ... 185
Ⅳ. 紀行文學과의 연관성 ... 188
Ⅴ. 結 ... 197
『老稼齋燕行日記』의 글쓰기 방식 / 김아리
Ⅰ. 序 ... 201
Ⅱ. 『老稼齋燕行日記』의 전대 산문전통과의 상호텍스트성 ... 205
Ⅲ. 『老稼齋燕行日記』 서술방식에서의 상호텍스트성 ... 220
Ⅳ. 후대 사행록의 『老稼齋燕行日記』와의 상호텍스트성 ... 246
Ⅴ. 結 ... 257
盧以漸의 『隨樣錄』에 관한 연구 / 金東錫
Ⅰ. 문제의 제기 ... 261
Ⅱ. 盧以漸과 『隨사錄』 ... 264
Ⅲ. 『수사록』과 『열하일기』의 내용 비교 ... 277
Ⅳ. 맺음말 ... 308
路程記 文學 硏究 / 李成厚
Ⅰ. 序言 ... 311
Ⅱ. 路程記 文學의 槪念 ... 312
Ⅲ. 路程記 文學의 槪觀 ... 315
Ⅳ. 老稼齋의 燕行日記 ... 327
Ⅴ. 遯窩의 東사日記 ... 330
Ⅵ. 作者 意識의 比較 ... 332
Ⅶ. 結言 ... 353
동아시아적 글쓰기론 시고 / 김태준
Ⅰ. 〈열하일기 서문〉 다시 읽기 ... 357
Ⅱ. 글쓰기의 두 가지 방식① - 《역경》에서 〈우언〉까지 ... 360
Ⅲ. 글쓰기의 두 가지 방식② - 《춘추》에서 〈외전〉까지 ... 369
Ⅳ. 《열하일기》의 글쓰기 - 통합적 글쓰기론 ... 376
Ⅴ. 마무리 ... 392
東華 李海應의 『계山紀程』硏究 / 金美京
Ⅰ. 序論 ... 395
Ⅱ. 『계山紀程』의 硏究를 위한 豫備的 檢討 ... 399
Ⅲ. 『계山紀程』의 作者 李海應 ... 406
Ⅳ. 『계山紀程』의 構成과 敍述方式 ... 428
Ⅴ. 『계山紀程』의 特徵的 面貌 ... 438
Ⅵ. 結論 ... 480
明ㆍ淸 교체기 조선文士의 사행체험 / 최윤정
Ⅰ. 서론 ... 492
Ⅱ. 명ㆍ청 교체기의 海路使行 ... 495
Ⅲ. 〈朝天航海錄〉의 특징적 면모 ... 505
Ⅳ. 對明인식의 의미와 한계 ... 524
Ⅴ. 결론 ... 527
찾아보기 ... 533
<B>권호명 : < / B>1
姜瑋의 燕行詩 小考 / 이혜순
Ⅰ. 문제 제기 ... 1
Ⅱ. 우리 역사에 대한 인식과 중국관의 동요 ... 5
Ⅲ. 새로운 정치윤리의 모색 ... 14
Ⅳ. 연행시에 드러난 강위의 자기확인과 한계 ... 21
Ⅴ. 결론 ... 30
敬亭 李民宬의 詩文學 / 朴瓊恩
Ⅰ. 序論 ... 33
Ⅱ. '不泥于古 能通于今'의 文學觀 ... 36
Ⅲ. 日常事를 反映한 詩 ... 42
Ⅳ. 燕行에서의 새로운 體驗을 읊은 시 ... 55
Ⅴ. 結論 ... 62
경험의 재구성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 최미숙
Ⅰ. 머리말 ... 65
Ⅱ. 경험과 글쓰기 ... 69
Ⅲ. 경험적 자아와 서술적 자아의 분리를 통한 경험의 재구성 ... 72
Ⅳ. 자기 반성적 글쓰기와 국어교육 ... 83
Ⅴ. 맺음말 ... 86
權近의 使行詩 硏究 / 주경열
Ⅰ. 序言 ... 91
Ⅱ. 本論 ... 93
Ⅲ. 結言 ... 124
글쓰기 發想法으로서의 聯想 / 이지호
Ⅰ. 글쓰기에서의 發想의 문제 ... 127
Ⅱ. 聯想에 의한 글쓰기 ... 131
Ⅲ. 結論 ... 152
金昌業 『燕行日記』 中的中國形象 / 全美子
Ⅰ. 引言 ... 155
Ⅱ. 正負交錯的整體形象 ... 157
Ⅲ. 統治者形象向正面轉化 ... 167
Ⅳ. 結語 ... 179
老稼齋燕行日記 小考 / 이경자
Ⅰ. 序 ... 182
Ⅱ. 作者와 年代 ... 184
Ⅲ. 內容 ... 185
Ⅳ. 紀行文學과의 연관성 ... 188
Ⅴ. 結 ... 197
『老稼齋燕行日記』의 글쓰기 방식 / 김아리
Ⅰ. 序 ... 201
Ⅱ. 『老稼齋燕行日記』의 전대 산문전통과의 상호텍스트성 ... 205
Ⅲ. 『老稼齋燕行日記』 서술방식에서의 상호텍스트성 ... 220
Ⅳ. 후대 사행록의 『老稼齋燕行日記』와의 상호텍스트성 ... 246
Ⅴ. 結 ... 257
盧以漸의 『隨樣錄』에 관한 연구 / 金東錫
Ⅰ. 문제의 제기 ... 261
Ⅱ. 盧以漸과 『隨사錄』 ... 264
Ⅲ. 『수사록』과 『열하일기』의 내용 비교 ... 277
Ⅳ. 맺음말 ... 308
路程記 文學 硏究 / 李成厚
Ⅰ. 序言 ... 311
Ⅱ. 路程記 文學의 槪念 ... 312
Ⅲ. 路程記 文學의 槪觀 ... 315
Ⅳ. 老稼齋의 燕行日記 ... 327
Ⅴ. 遯窩의 東사日記 ... 330
Ⅵ. 作者 意識의 比較 ... 332
Ⅶ. 結言 ... 353
동아시아적 글쓰기론 시고 / 김태준
Ⅰ. 〈열하일기 서문〉 다시 읽기 ... 357
Ⅱ. 글쓰기의 두 가지 방식① - 《역경》에서 〈우언〉까지 ... 360
Ⅲ. 글쓰기의 두 가지 방식② - 《춘추》에서 〈외전〉까지 ... 369
Ⅳ. 《열하일기》의 글쓰기 - 통합적 글쓰기론 ... 376
Ⅴ. 마무리 ... 392
東華 李海應의 『계山紀程』硏究 / 金美京
Ⅰ. 序論 ... 395
Ⅱ. 『계山紀程』의 硏究를 위한 豫備的 檢討 ... 399
Ⅲ. 『계山紀程』의 作者 李海應 ... 406
Ⅳ. 『계山紀程』의 構成과 敍述方式 ... 428
Ⅴ. 『계山紀程』의 特徵的 面貌 ... 438
Ⅵ. 結論 ... 480
明ㆍ淸 교체기 조선文士의 사행체험 / 최윤정
Ⅰ. 서론 ... 492
Ⅱ. 명ㆍ청 교체기의 海路使行 ... 495
Ⅲ. 〈朝天航海錄〉의 특징적 면모 ... 505
Ⅳ. 對明인식의 의미와 한계 ... 524
Ⅴ. 결론 ... 527
찾아보기 ... 533
<B>권호명: < / B>2
明淸 小品文과 北學派 散文의 世界認識과 敍事 樣式 / 이종주
Ⅰ. 序 ... 2
Ⅱ. 비교대상의 선정과 그 문제점 ... 3
Ⅲ. 明末 淸初 小品家 傳의 서사양식 ... 7
Ⅳ. 明末 淸初 小品家의 遊記와 小品 樣式 ... 33
Ⅴ. 結論 ... 58
『夢遊燕行錄』 硏究 / 洪性南
Ⅰ. 序論 ... 63
Ⅱ. 李遇駿과 『夢遊燕行錄』 ... 67
Ⅲ. 『夢遊燕行錄』의 特性 ... 71
Ⅳ. 結論 ... 94
戊午燕行錄과 燕行歌의 비교 고찰 / 蘇在英
Ⅰ. 紀行文學으로서의 燕行錄 ... 97
Ⅱ. 徐有聞의 『戊午燕行錄』 ... 100
Ⅲ. 洪淳學의 〈燕行歌〉 ... 105
Ⅳ. 燕行文學, 두 작품의 比較論 ... 111
朴趾源의 글을 통해 본 사유와 표현의 관계 / 노진한
Ⅰ. 序論 ... 119
Ⅱ. 사실주의에 바탕한 개방적 사유 ... 121
Ⅲ. 燕巖 글의 두 유형 ... 124
Ⅳ. 燕巖의 글쓰기의 원리 ... 132
Ⅴ. 結論 ... 141
白沙의 『戊戌朝天錄』考 / 季鍾健
Ⅰ. 序論 ... 145
Ⅱ. 使行의 目的과 旅程 ... 147
Ⅲ. 詩의 內容 ... 157
Ⅳ. 結論 ... 172
法古創新과 朴趾源의 燕行詩 / 강혜선
Ⅰ. 서론 ... 175
Ⅱ. 法古創新의 詩文學論-『熱河日記』에 나타난 詩評을 중심으로 ... 177
Ⅲ. 燕行의 체험과 燕行詩의 세계-'白頭書生'의 感慨와 諧笑 ... 180
Ⅳ. 결론 ... 195
北行歌에 對하여 / 權寧徹
Ⅰ. 序論 ... 197
Ⅱ. 本論 ... 199
Ⅲ. 結論 ... 235
使行綠 『燕轅直指』 硏究 / 田逸宇
Ⅰ. 서론 ... 237
Ⅱ. 『연원직지』와 역사 문헌적 고증을 통한 집대성 ... 239
Ⅲ. 결론 ... 264
서유문의 『무오연행록』 연구 / 장경남
Ⅰ. 머리말 ... 267
Ⅱ. 『무오연행록』의 체재 및 구성 ... 271
Ⅲ. 前代 燕行錄의 수용 양상과 의미 ... 274
Ⅳ. 『무오연행록』의 주제 의식 ... 282
Ⅴ. 맺음말 ... 297
〈셔행녹〉에 드러난 문화충격의 실상과 의미 / 이동찬
Ⅰ. 들머리 ... 301
Ⅱ. 문화 우월의식의 허상과 실상 ... 305
Ⅲ. 선진문물에의 충격과 그 반응 ... 322
Ⅳ. 마무리 ... 336
〈續北征詩〉, 李時秀가 詩로 쓴 燕行紀 / 김동준
Ⅰ. 자료 소개 ... 339
Ⅱ. 작품의 제작 동기 및 諸家의 평가 ... 344
Ⅲ. 작품의 구성방법 ... 348
Ⅳ. 작품의 존재적 의의 ... 359
19세기 연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 김유경
Ⅰ. 머리말 ... 363
Ⅱ. 조선 선비의 중국 체험에 대한 열망 ... 366
Ⅲ. 조선의 사상적 추이와 중국의 대외 상황 ... 372
Ⅳ. 조선 선비의 자부심 확인 ... 377
Ⅴ. 실용적 관찰과 비판적ㆍ반성적 시각 ... 389
Ⅵ. 맺음말 ... 397
15세기 조선 문사와 명 사신의 시문수창 / 김남이
Ⅰ. 서론 ... 403
Ⅱ. 명나라 사신의 조선 인식 ... 407
Ⅲ. 조선의 문화적 위상과 개별성 표현 ... 412
Ⅳ. 문학적 역량 대결과 조선의 승경(勝景) 인식 ... 422
Ⅴ. 결론 ... 431
18세기를 전후한 조선조 문학작품에 나타난 문명의식 / 강동엽
Ⅰ. 서론 ... 437
Ⅱ. 18세기를 전후한 시대적 양상 ... 440
Ⅲ. 18세기 동아시아 문학의 서술방식과 문학정신 ... 445
Ⅳ. 연행록의 세계 ... 453
Ⅴ. 역사 발전에 대한 시각과 미래지향의식 ... 498
Ⅵ. 결론 ... 505
18세기 繪畵論과 文學論의 접점 / 박수밀
Ⅰ. 서론 ... 511
Ⅱ. 寫意와 형상화 ... 513
Ⅲ. 形似와 핍진성 추구 ... 528
Ⅳ. 文學論과 繪畵論의 접점 ... 537
Ⅴ. 燕巖 繪畵論의 의미 ... 544
찾아보기 ... 549
<B>권호명: < / B>3
18世紀韓國游記文學中的中國形象 / 全美子
Ⅰ. 引言 ... 1
Ⅱ. 18世紀韓中文化交流槪述 ... 9
Ⅲ. 初期 : 從負面形象到正面形象 ... 32
Ⅳ. 中期 : 趨于理想的中國形象 ... 71
Ⅴ. 晩期 : 中國幻象 ... 110
Ⅵ. 中國形象與韓國對中國的社會集體想象 ... 154
Ⅶ. 結語 : 中國形象的實踐意義 ... 177
[附錄 : "燕行錄" 目錄) ... 180
麗末鮮初 사대부의 雲南 유배와 流配詩의 미적 특질 / 하정승
Ⅰ. 문제제기 ... 199
Ⅱ. 金九容과 鄭摠의 雲南 유배 경위 ... 202
Ⅲ. 유배시에 나타난 意境과 品格 ... 221
Ⅳ. 訣語 ... 252
연암 『열하일기』의 발상법 연구 / 최인자
Ⅰ. 서론-글쓰기 연구에서 '발상법'이라는 문제틀 ... 257
Ⅱ. '차이성(差異性)의 재구성'에 의한 문제 발견 ... 263
Ⅲ. 서술에 나타난 '차이성(差異性) 재구성'의 방식 ... 272
Ⅳ. 연암 발상법의 기능 ... 275
Ⅴ. 결론 ... 279
燕巖 朴趾源의 「好哭場記」 硏究 / 신연우
Ⅰ. 머리말 ... 281
Ⅱ. 「好哭場記」의 구조 ... 284
Ⅲ. 寓言으로서의 「好哭場記」 ... 290
Ⅳ. 七情의 전면적 긍정의 근대적 의의 ... 296
Ⅴ. 맺음말 ... 302
燕巖 硏究史에 대한 考察 / 杜창球
Ⅰ. 緖論 ... 305
Ⅱ. 燕巖作品 飜譯實態 ... 308
Ⅲ. 硏究論文 現況分析 ... 312
Ⅳ. 學位論文 ... 353
Ⅴ. 著書 編著 ... 357
Ⅵ. 特輯, 講演, 其他 ... 358
Ⅶ. 結論 ... 366
燕行錄과 韓國學 硏究 / 林基中
Ⅰ. 머리말 ... 369
Ⅱ. 燕行錄의 蒐集과 整理 現況 ... 370
Ⅲ. 燕行錄과 韓國學 硏究 ... 372
Ⅳ. 맺음말 ... 405
연행록에 반영된 千山ㆍ靈巫閭山ㆍ首陽山의 내재적 의미 / 조규익
Ⅰ. 서론 ... 435
Ⅱ. 연행노정과 삼산 ... 440
Ⅲ. 삼산의 외연과 내포 ... 451
Ⅳ. 결론 ... 478
燕行錄에 실린 中國戱曲 관련 記事의 내용과 가치 / 이창숙
Ⅰ. 연행록과 중국희곡 ... 483
Ⅱ. 연행록에 보이는 중국희곡 ... 487
Ⅲ. 연행록 중 희곡 관련 기사의 가치 ... 520
찾아보기 ... 523
<B>권호명: < / B>4
연행록의 교과서 『노가재연행일기』 / 김태준
Ⅰ. 연행록의 삼가(三家) ... 1
Ⅱ. 노가재 연행록의 체재 ... 5
Ⅲ. 동경의 연행 길, 천애지기서(天涯知己書) ... 9
Ⅳ. 중국 이해의 방식, 풍금과 백두산 정계 ... 18
Ⅴ. 의무려산과 천산 유람기 ... 25
Ⅵ. 마무리 ... 30
燕行錄의 傳統과 『熱河日記』 / 金明昊
Ⅰ. 주요 연행록들 ... 33
Ⅱ. 對淸觀의 비교 ... 36
Ⅲ. 서술방식의 비교 ... 41
Ⅳ. 『열하일기』의 思惟基底 ... 45
燕行長詩 〈續北征〉의 序ㆍ跋의 내용과 그 검토 / 박우훈
Ⅰ. 머리말 ... 49
Ⅱ. 〈續北征〉 序跋의 진술 내용 ... 52
Ⅲ. 〈續北征〉 序跋의 진술에 대한 검토 ... 67
Ⅳ. 맺음말 ... 76
『열하일기』에 나타난 상대적 사유 방식 / 허왕욱
Ⅰ. 서론 ... 81
Ⅱ. 『열하일기』에 나타난 상대적 사유 방식 ... 86
Ⅲ. 결론 ... 120
『熱河日記』의 表現方式과 그 意圖 / 崔千集
Ⅰ. 서론 ... 131
Ⅱ. -少초, -紀略, -退述, -記의 표현방식 ... 134
Ⅲ. -涉筆의 표현방식 ... 140
Ⅳ. -野話의 표현방식 ... 144
Ⅴ. 문학적 형상화의 의도 ... 150
Ⅵ. 결론 ... 158
『熱河日記ㆍ渡江錄』의 康世爵 삽화와 『藥泉集』의 「康世爵傳」의 비교 / 정일남
1 ... 165
2 ... 167
3 ... 170
4 ... 174
5 ... 177
6 ... 181
熱河日記 所載 揷入詩의 性格과 機能 / 全在康
Ⅰ. 서론 ... 185
Ⅱ. 삽입시의 성격 ... 186
Ⅲ. 삽입시의 기능 ... 198
Ⅳ. 시 삽입에 나타난 연암의 의도 ... 205
Ⅴ. 결론 ... 215
『熱河日記』 所載의 공후引 記錄檢證 / 陳甲坤
Ⅰ. 序論 ... 219
Ⅱ. 原典引用의 誤記 ... 221
Ⅲ. 東國詩歌로서의 인식여부 ... 224
Ⅳ. 記寫原文의 檢討 ... 231
Ⅴ. 結論 ... 237
『열하일기』의 서술양상에 관한 일 고찰 / 서현경
Ⅰ. 서론 ... 239
Ⅱ. 본론 ... 242
Ⅲ. 결론 ... 262
熱河日記의 인식 논리와 서술방식 / 李鐘周
Ⅰ. 머리말 ... 265
Ⅱ. 선입견의 거부와 冥心無私 ... 267
Ⅲ. 입체적 인식 논리와 자아의 객관화 ... 271
Ⅳ. 허구적 자아의 상정과 세계관 확대 ... 274
Ⅴ. 서술의 입체성과 허구적 세계의 창출 ... 278
Ⅵ. 허구적 삽화와 사실적 삽화의 조합 원리 ... 283
Ⅶ. 사실과 허구의 공존: 작품 사례 ... 287
Ⅷ. 결론 ... 294
『熱河日記』를 통해 본 燕巖의 對淸意識과 〈虎叱〉의 主題 / 朴箕錫
Ⅰ. 머리말 ... 299
Ⅱ. 『열하일기』에 나타난 연암의 대청의식 ... 302
Ⅲ. 〈호질〉의 주제 ... 322
Ⅳ. 맺음말 ... 330
『을병연행록』 연구 / 조규익
Ⅰ. 서론 ... 333
Ⅱ. 담헌의 사상적 바탕과 연행의 의미 ... 336
Ⅲ. 서지적 성격 ... 345
Ⅳ. 내용적 성격 ... 352
Ⅴ. 문학사적 위상 ... 390
Ⅵ. 결론 ... 395
乙丙燕行錄의 硏究 / 蘇在英
Ⅰ. 머리말 ... 399
Ⅱ. 湛軒 洪大容의 生涯 ... 401
Ⅲ. 한글본 〈을병연행록〉 ... 406
Ⅳ. 乾淨동 이야기 ... 412
Ⅴ. 國境과 世代를 초월한 友道 ... 425
Ⅵ. 〈熱河日記〉에 비친 湛軒 洪大容 ... 431
Ⅶ. 맺음말 ... 440
李德懋의 「入燕記」 小考 / 이혜순
Ⅰ. 서론 ... 443
Ⅱ. 청나라 비판 ... 445
Ⅲ. 청나라 문사와의 交遊 ... 453
Ⅳ. 문화적 자존의식 ... 458
Ⅴ. 결론 ... 463
李時秀의 燕行長詩 〈續北征〉 硏究 / 박우훈
Ⅰ. 머리말 ... 467
Ⅱ. 창작배경 ... 469
Ⅲ. 구성과 표현 ... 481
Ⅳ. 작품의 내용 ... 490
Ⅴ. 작자의 對淸意識 ... 502
Ⅵ. 맺음말-文學史的 意義를 겸하여 ... 505
이헌묵(李憲默)의 〈연행일록(燕行日錄)〉에 대하여 / 金宗鎭
Ⅰ. 출처 ... 509
Ⅱ. 서지 ... 510
Ⅲ. 작자 ... 510
Ⅳ. 연행 기간 ... 511
Ⅴ. 연행 목적 ... 511
Ⅵ. 연행사 구성 ... 511
Ⅶ. 형식 ... 511
Ⅷ. 내용 개요 ... 512
Ⅸ. 내용 세목 (날짜별) ... 515
Ⅹ. 주요 사안 ... 527
찾아보기 ... 529
<B>권호명: < / B>5
익재 연행시(1320년) 연구 / 지영재
Ⅰ. 서론 ... 1
Ⅱ. 연행 여정과 작시 ... 4
Ⅲ. 1320년 연행시 ... 12
Ⅳ. 기타 연행시 ... 71
Ⅴ. 연행시의 세계 ... 81
Ⅵ. 결론 ... 88
鄭元容의 《燕사錄(詩)》 小考 / 金宗鎭
Ⅰ. 서론-책과 저자에 대하여- ... 99
Ⅱ. 본론 ... 101
Ⅲ. 결론 ... 116
霽峯의 使行詩에 드러난 意識世界 / 李權宰
Ⅰ. 머리말 ... 119
Ⅱ. 使行詩에 드러난 意識世界 ... 122
Ⅲ. 맺음말 ... 141
朝鮮 申緯의 『奏請行卷』 硏究 / 琴知雅
Ⅰ. 序論 ... 143
Ⅱ. 申緯의 燕行과 『奏請行卷』 簡介 ... 145
Ⅲ. 翁方綱과의 初識과 文墨綠 ... 150
Ⅳ. 結論 ... 167
朝天錄과 燕行錄의 和答詩 / 林基中
Ⅰ. 머리말 ... 169
Ⅱ. 16세기 조천록의 화답시 ... 171
Ⅲ. 17-18세기 연행록의 화답시 ... 174
Ⅳ. 19세기 연행록의 화답시 ... 192
Ⅴ. 맺음말 ... 207
『죽천행록』 연구 / 조규익
Ⅰ. 서론 ... 211
Ⅱ. 『죽천행록』ㆍ『됴텬녹』ㆍ『슈로됴텬녹』ㆍ『항해록』 등과의 관계 ... 217
Ⅲ. 기록자 및 기록시기 ... 239
Ⅳ. 구성 및 내용 ... 254
Ⅴ. 서사적 성격 ... 265
Ⅵ. 『화포항해록』과의 차이 ... 296
Ⅶ. 결론 ... 310
芝峯 使行詩의 一考察 / 김원준
Ⅰ. 序論 ... 315
Ⅱ. 異風景의 陳情 ... 318
Ⅲ. 邊塞意象의 두 모습 ... 338
Ⅳ. 異景에 담긴 芝峯意識 ... 350
Ⅴ. 小結 ... 357
靑莊館 李德懋의 「入燕記」에 관한 硏究 / 朴文烈
Ⅰ. 緖言 ... 361
Ⅱ. 結論 ... 397
筆談을 통해 살펴본 朝鮮後期 韓ㆍ中間 文化交流 樣相 / 權政媛
Ⅰ. 머리말 ... 401
Ⅱ. 書籍流入 樣相 ... 404
Ⅲ. 繪畵交流 樣相 ... 418
Ⅳ. 文化交流에서의 筆談의 役割 ... 430
Ⅴ. 맺음말 ... 436
韓ㆍ中 使行文學에 관한 硏究 / 崔康賢
Ⅰ. 머리말 ... 441
Ⅱ. 양촌의 기행시 개관 ... 443
Ⅲ. 봉사록에 나타난 노정 ... 451
Ⅳ. 봉사록에 나타난 견문(見聞) ... 454
Ⅴ. 봉사록에 나타난 지은이의 의식세계 ... 459
Ⅵ. 맺음말 ... 467
한중 사행문학 연구사 / 田逸宇
Ⅰ. 들어가는 말 ... 471
Ⅱ. 대상과 관점의 다양성 ... 473
Ⅲ. 맺음말 ... 489
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 / 정훈식
Ⅰ. 들머리 ... 491
Ⅱ. 텍스트 구성방식과 성격 ... 494
Ⅲ. 마무리 ... 517
홍순학의 『燕行歌』 硏究 / 정영문
Ⅰ. 서론 ... 521
Ⅱ. 본론 ... 525
Ⅲ. 결론 ... 549
「黃金臺記」를 통해 본 연암 산문의 글쓰기 방식 / 정민
Ⅰ. 머리말 ... 551
Ⅱ. 황금대의 공간 의미 ... 553
Ⅲ. 「황금대」 기사의 분석 ... 558
Ⅳ. 「황금대기」 분석과 황금의 의미 ... 567
Ⅴ. 글의 행간과 글쓰기 방식 ... 578
Ⅵ. 맺음말 ... 584
休堂 李繼祜의 "연행록"을 살핌 / 최강현
Ⅰ. 머리말 ... 587
Ⅱ. 문헌 개관 ... 588
Ⅲ. 지은이 고증 ... 598
Ⅳ. 맺음말 ... 611
찾아보기 ... 615
<B>권호명: < / B>6
明中期 朝鮮의 入明使行 / 權仁溶
Ⅰ. 머리말 ... 1
Ⅱ. 蘇世讓의 生涯 ... 4
Ⅲ. 皇子의 出生과 進賀使의 派遣 ... 8
Ⅳ. 蘇世讓의 入明活動과 그 限界 ... 15
Ⅴ. 맺음말 ... 31
『昭顯沈陽日記』 與明淸決戰 / 邱瑞中 ; 崔昌源
Ⅰ. 緖論 ... 36
Ⅱ. 『日記』 之體例和用詞敍事之嚴謹 ... 37
Ⅲ. 關外淸國的幾件大事 ... 38
Ⅳ. 淸兵入關之前前后后 ... 48
Ⅴ. 『沈陽日記』的文獻價直 ... 55
Ⅵ. 結論 ... 58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 / 김현미
Ⅰ. 서론 ... 61
Ⅱ. 연행록 속의 여성 ... 63
Ⅲ. 소결 ... 84
18세기 朝鮮朝와 淸朝 學人의 학술교류 / 진재교
Ⅰ. 머리말 ... 89
Ⅱ. 耳溪와 紀윤, 그리고 燕京學藝 ... 92
Ⅲ. 紀윤과 耳溪, 그리고 서울學藝 ... 109
Ⅳ. 耳溪家와 紀윤家의 학술교류와 그 의미 - 맺음말을 대신하여 ... 114
燕行小考 / 金聖七
Ⅰ. 序言 ... 119
Ⅱ. 事大使行 ... 127
Ⅲ. 使行의 貿易的 機能 ... 152
Ⅳ. 事大使行과 文化의 交流 ... 178
Ⅴ. 北學議 ... 199
Ⅵ. 結言 ... 211
燕行情報로 보는 太平天國의 이모저모 / 하정식
Ⅰ. 머리말 ... 223
Ⅱ. 賊匪는 名目不一 ... 228
Ⅲ. 잦은 승전보, 熾盛해가는 賊匪 ... 254
Ⅳ. 賊匪와 洋夷 ... 272
Ⅴ. 南匪 平定, 憂慮는 如前 ... 290
Ⅵ. 맺음말 ... 298
이흘의 『조천일기』에 나타난 17세기 문화 양상 / 조기영
Ⅰ. 서론 ... 303
Ⅱ. 이흘의 생애와 『조천일기』 ... 306
Ⅲ. 『조천일기』의 내용과 의의 ... 317
Ⅳ. 결론 ... 368
朝鮮時代 使臣接待와 迎接都監 / 김경록
Ⅰ. 머리말 ... 373
Ⅱ. 조선시대 외교절차와 사신접대 ... 377
Ⅲ. 영접도감의 구성과 역할 ... 395
Ⅳ. 맺음말 ... 424
朝鮮初期 對明外交와 外交節次 / 김경록
Ⅰ. 머리말 ... 429
Ⅱ. 朝鮮初期 對明關係의 전개 과정 ... 435
Ⅲ. 朝鮮初期 對明外交의 절차와 성격 ... 454
Ⅳ. 맺음말 ... 483
조선초기 遣明 使節에 대한 일고찰 / 朴成柱
Ⅰ. 머리말 ... 497
Ⅱ. 사절의 구성과 직임 ... 500
Ⅲ. 사절의 종류와 파견 ... 516
Ⅳ. 사절의 활동과 역할 ... 524
Ⅴ. 맺음말 ... 533
朝鮮後期 事大文書의 種類와 性格 / 김경록
Ⅰ. 머리말 ... 563
Ⅱ. 事大文書의 종류와 형식 ... 568
Ⅲ. 事大文書의 작성과 전달 ... 594
Ⅳ. 朝鮮後期 事大文書의 특징 ... 606
Ⅴ. 맺음말 ... 620
許봉의 對明使行과 陽明學辨斥 / 김동진
Ⅰ. 머리말 ... 625
Ⅱ. 허봉의 가계와 학문 ... 629
Ⅲ. 허봉의 양명학 변척활동 ... 638
Ⅳ. 허봉의 사상 ... 653
Ⅴ. 맺음말 ... 666
찾아보기 ... 675
<B>권호명: < / B>7
高麗末 麗ㆍ明간 朝貢冊封關係의 展開와 그 性格 / 朴成柱
Ⅰ. 머리말 ... 1
Ⅱ. 麗ㆍ明간의 交涉과 朝貢冊封關係의 成立 ... 3
Ⅲ. 麗ㆍ明간 朝貢冊封關係의 展開 樣相 ... 10
Ⅳ. 朝貢冊封關係의 再開와 關係의 惡化 ... 24
Ⅴ. 高麗未 麗ㆍ明關係의 性格 ... 29
Ⅵ. 맺음말 ... 32
조선사행록을 통해 본 18세기 동아시아 평화체제로서의 조공체제 / 남궁곤
Ⅰ. 동아시아 평화체제로서의 조공체제 ... 38
Ⅱ. 조선사행의 의의 ... 42
Ⅲ. 대청사행의 중화주의와 개혁주의 ... 46
Ⅳ. 대일사행과 공유된 소중화주의 ... 63
Ⅴ. 맺는말 ... 72
文益漸의 使行과 木棉 傳來 / 문경현
Ⅰ. 머리말 ... 77
Ⅱ. 元나라 使行과 德興君의 亂 ... 79
Ⅲ. 문익점 전래 이전의 棉布 ... 95
Ⅳ. 목면의 전래 ... 102
Ⅴ. 목면 始培地 ... 111
Ⅵ. 文可學의 逆謀 ... 121
Ⅶ. 鄭天益 ... 124
Ⅷ. 문익점의 생년과 졸년 ... 132
Ⅸ. 맺음말 ... 139
北學派의 燕行 經驗과 現實認識의 變化 / 박병욱
Ⅰ. 머리말 ... 141
Ⅱ. 북학파의 성립 ... 143
Ⅲ. 북학파의 연행경험 ... 153
Ⅳ. 현실 인식의 변화 ... 172
Ⅴ. 맺음말 ... 180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平安道의 對淸使行 지원 / 권내현
?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