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明淸 小品文과 北學派 散文의 世界認識과 敍事 樣式 / 이종주
Ⅰ. 序 ... 2
Ⅱ. 비교대상의 선정과 그 문제점 ... 3
Ⅲ. 明末 淸初 小品家 傳의 서사양식 ... 7
Ⅳ. 明末 淸初 小品家의 遊記와 小品 樣式 ... 33
Ⅴ. 結論 ... 58
『夢遊燕行錄』 硏究 / 洪性南
Ⅰ. 序論 ... 63
Ⅱ. 李遇駿과...
더보기
목차 전체
明淸 小品文과 北學派 散文의 世界認識과 敍事 樣式 / 이종주
Ⅰ. 序 ... 2
Ⅱ. 비교대상의 선정과 그 문제점 ... 3
Ⅲ. 明末 淸初 小品家 傳의 서사양식 ... 7
Ⅳ. 明末 淸初 小品家의 遊記와 小品 樣式 ... 33
Ⅴ. 結論 ... 58
『夢遊燕行錄』 硏究 / 洪性南
Ⅰ. 序論 ... 63
Ⅱ. 李遇駿과 『夢遊燕行錄』 ... 67
Ⅲ. 『夢遊燕行錄』의 特性 ... 71
Ⅳ. 結論 ... 94
戊午燕行錄과 燕行歌의 비교 고찰 / 蘇在英
Ⅰ. 紀行文學으로서의 燕行錄 ... 97
Ⅱ. 徐有聞의 『戊午燕行錄』 ... 100
Ⅲ. 洪淳學의 〈燕行歌〉 ... 105
Ⅳ. 燕行文學, 두 작품의 比較論 ... 111
朴趾源의 글을 통해 본 사유와 표현의 관계 / 노진한
Ⅰ. 序論 ... 119
Ⅱ. 사실주의에 바탕한 개방적 사유 ... 121
Ⅲ. 燕巖 글의 두 유형 ... 124
Ⅳ. 燕巖의 글쓰기의 원리 ... 132
Ⅴ. 結論 ... 141
白沙의 『戊戌朝天錄』考 / 季鍾健
Ⅰ. 序論 ... 145
Ⅱ. 使行의 目的과 旅程 ... 147
Ⅲ. 詩의 內容 ... 157
Ⅳ. 結論 ... 172
法古創新과 朴趾源의 燕行詩 / 강혜선
Ⅰ. 서론 ... 175
Ⅱ. 法古創新의 詩文學論-『熱河日記』에 나타난 詩評을 중심으로 ... 177
Ⅲ. 燕行의 체험과 燕行詩의 세계-白頭書生의 感慨와 諧笑 ... 180
Ⅳ. 결론 ... 195
北行歌에 對하여 / 權寧徹
Ⅰ. 序論 ... 197
Ⅱ. 本論 ... 199
Ⅲ. 結論 ... 235
使行綠 『燕轅直指』 硏究 / 田逸宇
Ⅰ. 서론 ... 237
Ⅱ. 『연원직지』와 역사 문헌적 고증을 통한 집대성 ... 239
Ⅲ. 결론 ... 264
서유문의 『무오연행록』 연구 / 장경남
Ⅰ. 머리말 ... 267
Ⅱ. 『무오연행록』의 체재 및 구성 ... 271
Ⅲ. 前代 燕行錄의 수용 양상과 의미 ... 274
Ⅳ. 『무오연행록』의 주제 의식 ... 282
Ⅴ. 맺음말 ... 297
〈셔행녹〉에 드러난 문화충격의 실상과 의미 / 이동찬
Ⅰ. 들머리 ... 301
Ⅱ. 문화 우월의식의 허상과 실상 ... 305
Ⅲ. 선진문물에의 충격과 그 반응 ... 322
Ⅳ. 마무리 ... 336
〈續北征詩〉, 李時秀가 詩로 쓴 燕行紀 / 김동준
Ⅰ. 자료 소개 ... 339
Ⅱ. 작품의 제작 동기 및 諸家의 평가 ... 344
Ⅲ. 작품의 구성방법 ... 348
Ⅳ. 작품의 존재적 의의 ... 359
19세기 연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 김유경
Ⅰ. 머리말 ... 363
Ⅱ. 조선 선비의 중국 체험에 대한 열망 ... 366
Ⅲ. 조선의 사상적 추이와 중국의 대외 상황 ... 372
Ⅳ. 조선 선비의 자부심 확인 ... 377
Ⅴ. 실용적 관찰과 비판적ㆍ반성적 시각 ... 389
Ⅵ. 맺음말 ... 397
15세기 조선 문사와 명 사신의 시문수창 / 김남이
Ⅰ. 서론 ... 403
Ⅱ. 명나라 사신의 조선 인식 ... 407
Ⅲ. 조선의 문화적 위상과 개별성 표현 ... 412
Ⅳ. 문학적 역량 대결과 조선의 승경(勝景) 인식 ... 422
Ⅴ. 결론 ... 431
18세기를 전후한 조선조 문학작품에 나타난 문명의식 / 강동엽
Ⅰ. 서론 ... 437
Ⅱ. 18세기를 전후한 시대적 양상 ... 440
Ⅲ. 18세기 동아시아 문학의 서술방식과 문학정신 ... 445
Ⅳ. 연행록의 세계 ... 453
Ⅴ. 역사 발전에 대한 시각과 미래지향의식 ... 498
Ⅵ. 결론 ... 505
18세기 繪畵論과 文學論의 접점 / 박수밀
Ⅰ. 서론 ... 511
Ⅱ. 寫意와 형상화 ... 513
Ⅲ. 形似와 핍진성 추구 ... 528
Ⅳ. 文學論과 繪畵論의 접점 ... 537
Ⅴ. 燕巖 繪畵論의 의미 ... 544
찾아보기 ... 549
明淸 小品文과 北學派 散文의 世界認識과 敍事 樣式 / 이종주
Ⅰ. 序 ... 2
Ⅱ. 비교대상의 선정과 그 문제점 ... 3
Ⅲ. 明末 淸初 小品家 傳의 서사양식 ... 7
Ⅳ. 明末 淸初 小品家의 遊記와 小品 樣式 ... 33
Ⅴ. 結論 ... 58
『夢遊燕行錄』 硏究 / 洪性南
Ⅰ. 序論 ... 63
Ⅱ. 李遇駿과 『夢遊燕行錄』 ... 67
Ⅲ. 『夢遊燕行錄』의 特性 ... 71
Ⅳ. 結論 ... 94
戊午燕行錄과 燕行歌의 비교 고찰 / 蘇在英
Ⅰ. 紀行文學으로서의 燕行錄 ... 97
Ⅱ. 徐有聞의 『戊午燕行錄』 ... 100
Ⅲ. 洪淳學의 〈燕行歌〉 ... 105
Ⅳ. 燕行文學, 두 작품의 比較論 ... 111
朴趾源의 글을 통해 본 사유와 표현의 관계 / 노진한
Ⅰ. 序論 ... 119
Ⅱ. 사실주의에 바탕한 개방적 사유 ... 121
Ⅲ. 燕巖 글의 두 유형 ... 124
Ⅳ. 燕巖의 글쓰기의 원리 ... 132
Ⅴ. 結論 ... 141
白沙의 『戊戌朝天錄』考 / 季鍾健
Ⅰ. 序論 ... 145
Ⅱ. 使行의 目的과 旅程 ... 147
Ⅲ. 詩의 內容 ... 157
Ⅳ. 結論 ... 172
法古創新과 朴趾源의 燕行詩 / 강혜선
Ⅰ. 서론 ... 175
Ⅱ. 法古創新의 詩文學論-『熱河日記』에 나타난 詩評을 중심으로 ... 177
Ⅲ. 燕行의 체험과 燕行詩의 세계-白頭書生의 感慨와 諧笑 ... 180
Ⅳ. 결론 ... 195
北行歌에 對하여 / 權寧徹
Ⅰ. 序論 ... 197
Ⅱ. 本論 ... 199
Ⅲ. 結論 ... 235
使行綠 『燕轅直指』 硏究 / 田逸宇
Ⅰ. 서론 ... 237
Ⅱ. 『연원직지』와 역사 문헌적 고증을 통한 집대성 ... 239
Ⅲ. 결론 ... 264
서유문의 『무오연행록』 연구 / 장경남
Ⅰ. 머리말 ... 267
Ⅱ. 『무오연행록』의 체재 및 구성 ... 271
Ⅲ. 前代 燕行錄의 수용 양상과 의미 ... 274
Ⅳ. 『무오연행록』의 주제 의식 ... 282
Ⅴ. 맺음말 ... 297
〈셔행녹〉에 드러난 문화충격의 실상과 의미 / 이동찬
Ⅰ. 들머리 ... 301
Ⅱ. 문화 우월의식의 허상과 실상 ... 305
Ⅲ. 선진문물에의 충격과 그 반응 ... 322
Ⅳ. 마무리 ... 336
〈續北征詩〉, 李時秀가 詩로 쓴 燕行紀 / 김동준
Ⅰ. 자료 소개 ... 339
Ⅱ. 작품의 제작 동기 및 諸家의 평가 ... 344
Ⅲ. 작품의 구성방법 ... 348
Ⅳ. 작품의 존재적 의의 ... 359
19세기 연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 김유경
Ⅰ. 머리말 ... 363
Ⅱ. 조선 선비의 중국 체험에 대한 열망 ... 366
Ⅲ. 조선의 사상적 추이와 중국의 대외 상황 ... 372
Ⅳ. 조선 선비의 자부심 확인 ... 377
Ⅴ. 실용적 관찰과 비판적ㆍ반성적 시각 ... 389
Ⅵ. 맺음말 ... 397
15세기 조선 문사와 명 사신의 시문수창 / 김남이
Ⅰ. 서론 ... 403
Ⅱ. 명나라 사신의 조선 인식 ... 407
Ⅲ. 조선의 문화적 위상과 개별성 표현 ... 412
Ⅳ. 문학적 역량 대결과 조선의 승경(勝景) 인식 ... 422
Ⅴ. 결론 ... 431
18세기를 전후한 조선조 문학작품에 나타난 문명의식 / 강동엽
Ⅰ. 서론 ... 437
Ⅱ. 18세기를 전후한 시대적 양상 ... 440
Ⅲ. 18세기 동아시아 문학의 서술방식과 문학정신 ... 445
Ⅳ. 연행록의 세계 ... 453
Ⅴ. 역사 발전에 대한 시각과 미래지향의식 ... 498
Ⅵ. 결론 ... 505
18세기 繪畵論과 文學論의 접점 / 박수밀
Ⅰ. 서론 ... 511
Ⅱ. 寫意와 형상화 ... 513
Ⅲ. 形似와 핍진성 추구 ... 528
Ⅳ. 文學論과 繪畵論의 접점 ... 537
Ⅴ. 燕巖 繪畵論의 의미 ... 544
찾아보기 ... 54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