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익재 연행시(1320년) 연구 / 지영재
Ⅰ. 서론 ... 1
Ⅱ. 연행 여정과 작시 ... 4
Ⅲ. 1320년 연행시 ... 12
Ⅳ. 기타 연행시 ... 71
Ⅴ. 연행시의 세계 ... 81
Ⅵ. 결론 ... 88
鄭元容의 《燕사錄(詩)》 小考 / 金宗鎭
Ⅰ. 서론-책과 저자에 대하여- ... 99
Ⅱ. 본론...
더보기
목차 전체
익재 연행시(1320년) 연구 / 지영재
Ⅰ. 서론 ... 1
Ⅱ. 연행 여정과 작시 ... 4
Ⅲ. 1320년 연행시 ... 12
Ⅳ. 기타 연행시 ... 71
Ⅴ. 연행시의 세계 ... 81
Ⅵ. 결론 ... 88
鄭元容의 《燕사錄(詩)》 小考 / 金宗鎭
Ⅰ. 서론-책과 저자에 대하여- ... 99
Ⅱ. 본론 ... 101
Ⅲ. 결론 ... 116
霽峯의 使行詩에 드러난 意識世界 / 李權宰
Ⅰ. 머리말 ... 119
Ⅱ. 使行詩에 드러난 意識世界 ... 122
Ⅲ. 맺음말 ... 141
朝鮮 申緯의 『奏請行卷』 硏究 / 琴知雅
Ⅰ. 序論 ... 143
Ⅱ. 申緯의 燕行과 『奏請行卷』 簡介 ... 145
Ⅲ. 翁方綱과의 初識과 文墨綠 ... 150
Ⅳ. 結論 ... 167
朝天錄과 燕行錄의 和答詩 / 林基中
Ⅰ. 머리말 ... 169
Ⅱ. 16세기 조천록의 화답시 ... 171
Ⅲ. 17-18세기 연행록의 화답시 ... 174
Ⅳ. 19세기 연행록의 화답시 ... 192
Ⅴ. 맺음말 ... 207
『죽천행록』 연구 / 조규익
Ⅰ. 서론 ... 211
Ⅱ. 『죽천행록』ㆍ『됴텬녹』ㆍ『슈로됴텬녹』ㆍ『항해록』 등과의 관계 ... 217
Ⅲ. 기록자 및 기록시기 ... 239
Ⅳ. 구성 및 내용 ... 254
Ⅴ. 서사적 성격 ... 265
Ⅵ. 『화포항해록』과의 차이 ... 296
Ⅶ. 결론 ... 310
芝峯 使行詩의 一考察 / 김원준
Ⅰ. 序論 ... 315
Ⅱ. 異風景의 陳情 ... 318
Ⅲ. 邊塞意象의 두 모습 ... 338
Ⅳ. 異景에 담긴 芝峯意識 ... 350
Ⅴ. 小結 ... 357
靑莊館 李德懋의 「入燕記」에 관한 硏究 / 朴文烈
Ⅰ. 緖言 ... 361
Ⅱ. 結論 ... 397
筆談을 통해 살펴본 朝鮮後期 韓ㆍ中間 文化交流 樣相 / 權政媛
Ⅰ. 머리말 ... 401
Ⅱ. 書籍流入 樣相 ... 404
Ⅲ. 繪畵交流 樣相 ... 418
Ⅳ. 文化交流에서의 筆談의 役割 ... 430
Ⅴ. 맺음말 ... 436
韓ㆍ中 使行文學에 관한 硏究 / 崔康賢
Ⅰ. 머리말 ... 441
Ⅱ. 양촌의 기행시 개관 ... 443
Ⅲ. 봉사록에 나타난 노정 ... 451
Ⅳ. 봉사록에 나타난 견문(見聞) ... 454
Ⅴ. 봉사록에 나타난 지은이의 의식세계 ... 459
Ⅵ. 맺음말 ... 467
한중 사행문학 연구사 / 田逸宇
Ⅰ. 들어가는 말 ... 471
Ⅱ. 대상과 관점의 다양성 ... 473
Ⅲ. 맺음말 ... 489
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 / 정훈식
Ⅰ. 들머리 ... 491
Ⅱ. 텍스트 구성방식과 성격 ... 494
Ⅲ. 마무리 ... 517
홍순학의 『燕行歌』 硏究 / 정영문
Ⅰ. 서론 ... 521
Ⅱ. 본론 ... 525
Ⅲ. 결론 ... 549
「黃金臺記」를 통해 본 연암 산문의 글쓰기 방식 / 정민
Ⅰ. 머리말 ... 551
Ⅱ. 황금대의 공간 의미 ... 553
Ⅲ. 「황금대」 기사의 분석 ... 558
Ⅳ. 「황금대기」 분석과 황금의 의미 ... 567
Ⅴ. 글의 행간과 글쓰기 방식 ... 578
Ⅵ. 맺음말 ... 584
休堂 李繼祜의 "연행록"을 살핌 / 최강현
Ⅰ. 머리말 ... 587
Ⅱ. 문헌 개관 ... 588
Ⅲ. 지은이 고증 ... 598
Ⅳ. 맺음말 ... 611
찾아보기 ... 6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