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어판 서문 ... 5
머리말 ... 9
1. 유교는 과거의 유물인가 ... 9
2. 유교 현상의 지역차 ... 14
Ⅰ. 유교란 무엇인가 ... 27
1. '유교'와 '유학' ... 27
2. '유'의 의미 ... 29
3. 협의의 유교와 광의의 유교 ... 34
1) 협의의 유교 ... 34
2) 도가 ...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어판 서문 ... 5
머리말 ... 9
1. 유교는 과거의 유물인가 ... 9
2. 유교 현상의 지역차 ... 14
Ⅰ. 유교란 무엇인가 ... 27
1. '유교'와 '유학' ... 27
2. '유'의 의미 ... 29
3. 협의의 유교와 광의의 유교 ... 34
1) 협의의 유교 ... 34
2) 도가 대 유가 ... 36
3) 묵가 대 유가 ... 37
4) 법가 대 유가 ... 38
5) 불교 대 유교 ... 39
6) 도가 대 유교 ... 40
7) 서구 근대 사상 대 유교 ... 41
8) 광의의 유교 ... 42
Ⅱ. 유교 도덕 ... 45
1. 유교 도덕의 중층성 ... 45
2. 삼강오상 ... 46
1) 삼강(三綱) ... 46
2) 오상(五常) ... 47
3) 사유(四維) ... 49
3. 인(仁)과 의(義) 등 ... 52
1) 인(仁) ... 52
2) 의(義) ... 58
3) 신(信) ... 59
4) 용(勇) ... 60
4. 충(忠)과 효(孝) ... 62
1) 충과 효의 근거 ... 62
2) 충의 중요성 ... 63
3) 효에서 충으로 ... 64
4) 충과 효의 방향성 ... 67
5) 충과 효의 상극과 일치 ... 69
6) 간언(諫言) ... 74
7) 충의 대상 - 개인인가 조직인가 ... 76
5. 제(悌), 정(貞), 신(信) ... 80
1) 제 ... 81
2) 정(貞) ... 81
3) 실천 도덕으로서의 '신' ... 85
6. 여러 도덕의 상극 ... 86
7. 경(經)과 권(權) ... 88
Ⅲ. 유교에서 하늘[天]의 의성 ... 91
1. 하늘[天] 개념의 다양성 ... 91
2. 정치적 하늘과 내면적 하늘 ... 96
3. 유교는 종교인가 ... 99
1) 종교와 비종교 ... 99
2) 제사 ... 101
3) 개인에게서의 '하늘' ... 105
4. 죽음에 대한 대처 ... 106
1) 장례(葬禮) ... 106
2) 제례(祭禮) ... 110
3) 양자의 부정 ... 111
4) 죽음에 대한 물리적 설명 ... 112
5) 죽음에 대한 심리적 초극(超克) ... 115
Ⅳ. 유교 사상의 기본형 ... 119
1. 음양과 오행 ... 119
2. 천인론(天人論) ... 122
3. 성설(性說) ... 124
4. 정(情)과 욕(欲) ... 129
Ⅴ. 유교적 인격 ... 133
1. 인격의 도야와 타자에 대한 감화 ... 133
2. 성인(聖人)과 현인(賢人) ... 135
1) 성인 ... 135
2) 현인 ... 137
3) 성인은 선천적인 것인가 ... 138
3. 학문과 수양 ... 140
Ⅵ. 유교의 규범 ... 143
1. 경서(經書) ... 143
1) 경서군(經書群) ... 143
2) 대표적인 경서 ... 145
3) 경서 사용법 ... 153
4) 경서의 기능 ... 155
5) 경서와 한문 ... 156
2. 예(禮) ... 158
1) 예의 본질 ... 158
2) 집단의 의례와 개인의 예법 ... 160
3) 삼년상(三年喪) ... 162
4) 예의 전제 ... 164
5) 예와 법 ... 165
3. 유교와 습속(習俗) ... 167
4. 유교의 계몽 ... 169
5. 유교와 예술 ... 171
Ⅶ. 유교의 사회관과 정치관 ... 175
1. 덕치주의 ... 175
2. 가정, 나라, 천하 ... 178
1) 가정 ... 178
2) 나라와 천하 ... 180
3. 공과 사 ... 182
4. 봉건과 군현 ... 184
5. 세습, 선양(禪讓), 혁명 ... 187
6. 정통론 ... 191
7. 화이(華夷) ... 196
8. 유교와 사회활동 ... 200
Ⅷ. 유교의 지역적 시대적 변용 ... 203
1. 유교의 폭 ... 203
2. 일본 유교도 유교인가 ... 205
1) 일본에 유교는 들어오지 않았던 것인가 ... 205
2) '삼년상'의 변용 ... 207
3) '유형의 공유'와 '내용의 분기' ... 210
4) 가(家) 개념의 차이 ... 211
5) 유가신도 ... 214
3. 유교가 일본에 제공한 것 ... 216
1) 유교 이전의 효와 유교 이후의 효 ... 216
2) 황통론(皇統論) ... 217
3) 사상 표현의 수단 제공 ... 221
4) '자각된 유교'와 '자각되지 않은 유교' ... 221
4. 한국 유교 등 ... 222
Ⅸ. 현대에서의 유교 ... 227
1. 근현대에서의 유교 비판의 다양한 모습 ... 227
1) 중국 근대에서의 유교 비판 ... 227
2) 일본 근대에서의 유교 비판 ... 229
3) 평등 사상에서의 유교 비판 ... 231
4) 자유 사상에서의 유교 비판 ... 234
2. 유교와 근대화 ... 235
1) 근대화에로의 공헌 문제 ... 235
2) 유교와 경제 활동 ... 237
3) 유교와 교육 ... 239
4) 한자의 효용 ... 241
3. 유교 존립의 전제의 소멸 ... 243
4. 유교의 현대적 의의 ... 248
맺음말 ... 255
후기 ... 261
참고문헌 ... 263
찾아보기 ... 26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