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해제 ... 13
Ⅰ. 미적 개념의 탐구 ... 19
정감(情感)의 발산론(發散論)과 이법(理法)의 발현론(發現論) / 최신호 ... 21
조선중기 유가문학(儒家文學)과 성정미학(性情美學) / 이민홍 ... 31
1. 문제의 제기 ... 31
2. 성리학과 문학의 접맥 ... 32
3. 이관적...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해제 ... 13
Ⅰ. 미적 개념의 탐구 ... 19
정감(情感)의 발산론(發散論)과 이법(理法)의 발현론(發現論) / 최신호 ... 21
조선중기 유가문학(儒家文學)과 성정미학(性情美學) / 이민홍 ... 31
1. 문제의 제기 ... 31
2. 성리학과 문학의 접맥 ... 32
3. 이관적(理觀的) 외물인식 ... 37
4. 성정미학의 시적 현상 ... 43
5. 결언 ... 50
조선후기의 미학사유 '천기론(天機論)'과 그 문예·사상사적 함의 / 이동환 ... 53
1. 머리말 ... 53
2. '천기(天機)'의 우리 나라 문학·예술 이론상의 위상 ... 54
3. 천기의 개념과 미학 이념 ... 61
4. 천기론의 문예·사상사적 함의 ... 69
5. 맺음말 ... 71
조선 후기 문학이론에 있어 신(神)의 범주 / 정우봉 ... 73
1. 머리말 ... 73
2. 신(神)의 함의와 층위 ... 74
3. 조선 후기 시론(時論)에 있어 신(神)의 범주 ... 77
4. 조선 후기 산문론(散文論)에 있어 신(神)의 범주 ... 89
5. 맺음말 ... 101
조선시대 진환론(眞幻論)의 전개 / 고연희 ... 105
1. 진(眞)과 환(幻) ... 105
2. 진(眞)을 빌린 '가(假)'에서 ... 106
3. 진(眞)과 다른 '환(幻)'으로 ... 113
4. 예술인식으로서의 진환론 ... 129
Ⅱ. 시대정신과 문예양식 ... 131
이규보(李奎報)의 신의론(新意論)과 시(時)의 특질(特質) / 김시업 ... 133
1. 머리말 ... 133
2. 신의론(新意論)의 성격 ... 134
3. 새로운 소재(素材)와 표현(表現) ... 148
4. 맺는 말 ... 165
조선 전기 한시의 당풍(唐風)과 송풍(宋風) / 이종묵 ... 169
1. 머리말 ... 169
2. 송풍을 추구한 한시의 특질 ... 171
3. 조선 전기 당풍의 특징과 미학 ... 181
4. 당풍의 의의와 한계 ... 199
5. 맺음말 ... 204
18세기 한시에 나타난 여성정감의 미적 특질 / 박영민 ... 207
1. 출사에 좌절한 사(士)의 광기(狂氣) ... 207
2. 여성정감의 유형과 그 특질 ... 210
3. 여성정감의 표출방식과 그 의미 ... 231
4. 결론 ... 235
한문산문에서의 미학적 특성 / 장원철 ... 239
한문소설의 미적 특성과 그 구현 양상 / 정출헌 ... 267
1. 발상의 전환을 위한 제언 ... 267
2. '소설'의 용례를 통해 읽는 소설의 존재 방식 ... 270
3. 초기 한문소설에서 작동되는 미적 장치의 몇 국면 ... 275
4. 맺음말 ... 295
한문학·고지도(古地圖)·회화의 미적(美的) 교감(交感) / 진재교 ... 297
1. 머리말 ... 297
2. 한문학·고지도·회화의 미적(美的) 교감(交感) 문화적 배경 ... 298
3. 문예양식의 미적 교감 양상 ... 307
4. 맺음말-남는 문제를 겸하여 ... 335
Ⅲ. 미의식의 구현양상 ... 339
신라한시의 중당시 체험과 시풍격 '청(淸)'의 발현 / 호승희 ... 341
1. 『천재가구』 소재 김입지의 작품 ... 341
2. 청징한 경계 추구 ... 344
3. 중당시 체험과 시풍경 '청(淸)'의 발현 ... 353
4. 시사적 의의 ... 361
『정언묘선(精言묘選)』의 풍격 연구 / 정재철 ... 365
1. 머리말 ... 365
2. 『정언묘선』의 선시 방향 ... 367
3. 『정언묘선』의 풍격 연구 ... 374
4. 맺음말 - 문학사적 의의 ... 391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예술론 / 김남형 ... 395
1. 머리말 ... 395
2. 문학론 ... 397
3. 서화론 ... 406
4. 악률론 ... 414
5. 결론 ... 422
실학파의 문학론과 근대 리얼리즘 / 김명호 ... 423
1. 논의의 전제 ... 423
2. 문도합일론(文道合一論)을 넘어서 ... 425
3. 하찮은 것에 '도(道)'가 있다 ... 428
4. '도(道)'의 총체적 인식 ... 431
5. 결론을 대신하여 ... 434
박지원(朴趾源)의 인식론(認識論)과 미의식(美意識) / 임형택 ... 439
1. "눈을 도로 감으라" ... 439
2.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 440
3. "석가여래의 혜안으로……" ... 443
4. 인식방법의 현실성·상대성 ... 447
5. 형상적 인식의 논리 ... 453
6. '진지'와 '실천' ... 460
〈후기〉 ... 463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의 미의식(美意識)과 시론(詩論) / 송재소 ... 467
1. 머리말 ... 467
2. 『북학의』에 나타난 실용과 미(美)의 관계 ... 469
3. 좋은 시(詩)와 그 전제 조건 ... 477
4. 다양성의 인정과 개성의 존중 ... 481
5. 변화와 발전의 논리 ... 485
6. 시인과 자연의 관계 - '제(際)' ... 491
7. 맺는말 ... 498
찾아보기 ... 503
필자 소개 ... 5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