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총론
제1장. 고전문학 작품의 교육 내용 범주 ... 15
1. 언억육의 모델과 내용 범주의 상관성 ... 17
2. 고전산문 작품의 교육 내용 범주 ... 21
1) 지식 범주 ... 22
2) 경험 범주 ... 23
3) 태도 범주 ... 25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총론
제1장. 고전문학 작품의 교육 내용 범주 ... 15
1. 언억육의 모델과 내용 범주의 상관성 ... 17
2. 고전산문 작품의 교육 내용 범주 ... 21
1) 지식 범주 ... 22
2) 경험 범주 ... 23
3) 태도 범주 ... 25
4) 수행 범주 ... 27
3. 맺음말 ... 28
제2장. 고전산문 교육의 몇 가지 문제 ... 31
1. 서론 ... 31
2. 고전산문 교육의 범위와 수준 ... 33
3. 고전산문 교육의 방향 ... 37
4. 결론 ... 43
제3장. 고전소설사의 이해 ... 47
1. 서사 문학의 개관 ... 47
1) 古代의 建國神話 ... 47
2) 삼국ㆍ통일신라 시대의 설화 ... 48
3) 고려시대의 서사 문학 ... 50
4) 조선 전기 서사 문학 ... 51
5) 조선 후기 서사 문학 ... 56
2. 고전산문의 이해와 감상 ... 74
1) 신화ㆍ전설ㆍ민담 ... 74
2) 가전체 문학 ... 77
3) 조선 전기소설 - 김시습의 금오신화 ... 79
4) 조선 후기 소설 ... 81
제4장. 판소리계 작품의 문학교육적 성찰 ... 97
1. 머리말 ... 97
2. 판소리계 작품에 대한 문화교육적 전제 비판 ... 100
1) 전통 문화 유산으로서의 판소리 ... 100
2) 판소리의 서사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들 ... 102
3. 인간 탐구 제재로서의 접근 ... 107
4. 맺음말 ... 114
제5장. 고전문학 작품의 정체성과 그 현대적 변용 ... 117
1. 서론 ... 117
2. 고전문학 작품 활용을 위한 전제 ... 119
1) 캐릭터 관련 자료 ... 119
2) 배경 ... 121
3. 서사의 활용 ... 121
1) 원작의 서사 단락 분석 ... 122
2) 캐릭터 선정 ... 123
3) 배경 설정 ... 123
4) 필요한 서사 단락의 새로운 조합 ... 123
5) 주제의 설정 ... 124
4. 작품의 재해석과 정체성의 문제 ... 125
5. 결론 ... 129
제2부 서사무가ㆍ설화ㆍ가전체
제1장. 바리공주 ... 135
제2장. 서동설화 ... 143
제3장. 아기장수 ... 151
제4장. 공방전(孔方傳) ... 163
제5장. 국선생전(麴先生傳) ... 171
제3부 몽유록ㆍ몽자류
제1장.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 181
제2장. 운영전 ... 191
제3장. 구운몽(九雲夢) ... 199
제4부 애정전기류
제1장.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211
제2장. 숙향전(淑香傳) ... 221
제5부 가정ㆍ가문소설
제1장.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229
제2장. 창선감의록 ... 237
제3장. 장화홍련전 ... 247
제6부 우화소설
제1장. 장끼전 ... 257
제2장. 황새결송 ... 265
제7부 판소리계소설
제1장. 심청전 ... 275
제2장. 춘향전 ... 283
제3장. 토끼전 ... 291
제4장. 흥부전 ... 299
제8부 군담소설
제1장. 홍길동전 ... 309
제2장. 유충렬전 ... 317
제3장. 조웅전 ... 325
제9부 세태소설
제1장. 옥단춘전 ... 333
제2장. 이춘풍전 ... 341
제10부 전계소설
제1장. 광문자전(廣文者傳) ... 351
제2장. 열녀함양박씨전 병서(烈女咸陽朴氏轉幷序) ... 365
제11부 실기류ㆍ기타
제1장. 한중록(閑中錄) ... 381
제2장. 계축일기(癸丑日己) ... 389
제3장. 봉산 탈춤 ... 395
제4장. 파한집 ... 40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