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상세정보

부가기능

의료사회사업론 [전자책]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의료사회사업론 [전자책]// 한인영.
개인저자한인영
발행사항서울:: 학문사,, 2000; (주)블루마운틴소프트.
형태사항5,136k: 천연색.
총서사항복지학총서;31.
ISBN9788946732926:
요약대학에서 의료사회사업을 가르치면서 적절한 교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왔다. 특히 새 천년을 맞이하는 준비를 하는 시점에서 의료와 관련하여 시대적으로 요청되는 여러 주제를 포함한 교재가 없는 것이 불편하였다. 이러한 실제적인 요구에 의하여 교재를 개발하기로 하고서도 해가 바뀌었다. 어느덧 21세기를 바로 앞에 둔 시점에서 탈고를 하면서 본래 원했던 대로 이상적인 모습은 아니지만, 이 책을 사용하는 학부생들이 새 시대에 알맞게 의료사회사업가로 훈련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왜냐하면 21세기는 어느 때보다도 의료체계에 있어서 서비스 대상에 대한 개별화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어서 이에 대비하는 의료사회사업가의 훈련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의료사회사업가의 업무와 기능을 비롯하여 의료사회사업 실천이론을 다루었고, 의료 세팅에서 발생되는 도덕과 가치의 문제를 언급하였다. 여기에서는 안락사의 문제를 비롯하여 의료사고에 이르기까지 가치와 도덕의 문제에 혼란을 경험할 때가 많아 이에 대해 피교육자에게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함을 느껴 포함시켰다. 우리는 또한 한국이 개인의 인권을 중시하고 폭력의 피해에서 보호받는 사회로 발돋음 하면서 가정폭력 방지법이나 개정된 아동복지법에 의한 아동학대방지법, 성폭력방지법 등으로 부부폭력이나 아동학대의 발생빈도가 줄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실제로 그 심각성은 지대하며 의료사회사업가는 병원에 이러한 피해자가 내원하였을 때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지금까지의 훈련이 적절하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본 교재에서는 이 주제에 대하여 충실한 안내서가 되고자 하였다. 팀 접근에 대한 이론과 실제가 다루어졌는데 이는 다양한 전문직이 함께 환자나 가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협동하는 체제는 사회사업 실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의사, 간호사, 심리학자, 영양사, 직업재활사, 레크리에이션 치료자 등과 함께 환자에 대한 생리ㆍ심리ㆍ사회ㆍ환경적 요소를 모두 다루는 총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체계에서 전문가들이 서로 협동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체계를 유지하는 일은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중 하나이며 교육되어야 할 주제이다. 우리는 이 교재에서 특히 의료사회사업가의 개입 과정에 충실하였다. 왜냐하면, 사회사업의 한 분야로서 의료사회사업이 가지는 특수한 전문성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개입과정은 초기단계, 진행단계, 종결단계로 나누어 각 과정 시에 필요한 전문적 개입의 맥락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례는 한국의 종합병원에서 의료사회사업가들이 직접 다룬 사례를 실었고 앞에서 제시한 이론과 실천이 실 사례에 적용되는 모습을 보이고자 노력하였다. 사례를 제공하여 준 원주기독병원의 송자경 선생님, 서울대 병원의 김경희 선생님, 강동성심병원의 추정인 선생님, 영동세브란스 병원의 김연수 선생님, 세브란스병원에서 인턴을 마친 정현주 선생님, 미국에 유학중인 한지은 선생님들께 각각 깊이 감사드린다. 또한 원고 수정을 맡아준 이화여대 대학원생 박소영 양의 수고에 감사드린다. 우리는 또한 이 교재가 앞으로 더욱 유익한 교재로 수정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하며 실무자들과 학생들이 많은 제언을 해 주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비통제주제어사회복지
언어한국어
바로가기URL

서평(리뷰)

  • 서평(리뷰)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로그인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