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상세정보

부가기능

심혈관계 간호 [전자책]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심혈관계 간호 [전자책]/ 강윤희.
개인저자강윤희
발행사항서울: 대한간호협회, 2011; (주)블루마운틴소프트.
형태사항13,614k: 천연색.
총서사항보수교육교재.
ISBN9788958820611:
초록심장의 방들은 4개의 심장판막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데, 판막은 혈액이 심장 방실을 통과할 때 심장 방실의 압력과 혈액량의 변화에 반응하여 열리고 닫힘으로써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방실판막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과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유두근(papillary muscle)에 의해 당겨져 있다. 반월형 판막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의 폐동맥 판막과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대동맥 판막이 있다. 하루에 9∼10만 번의 박동을 지속하는 심장 자체의 혈액 공급은 관상순환계에 의해 조달되는데 수축하는 심근에 적절한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관상혈관의 저항이 감소되는 시기인 심실 이완기에 혈액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관상동맥은 크게 우관상 동맥과 좌관상 동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관상 동맥은 전방 하행동맥과 좌회선동맥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주요 관상동맥은 심방·심실 간의 구와 심실 간의 구라는 고랑과 같은 구조물에 위치하여 심장근육의 수축에 의한 눌림을 최소화하고 있다.
언어한국어
바로가기URL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심장의 방들은 4개의 심장판막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데, 판막은 혈액이 심장 방실을 통과할 때 심장 방실의 압력과 혈액량의 변화에 반응하여 열리고 닫힘으로써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방실판막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과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유두근(papillary muscle)에 의해 당겨져 있다. 반월형 판막은 우심실과 ...

more더보기

초록 전체


서평(리뷰)

  • 서평(리뷰)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로그인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