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언 = 4
제1부 마음 다스리기
건상유족(褰裳濡足) - 옷자락을 걷고 발을 담그다 = 12
보과위교(步過危橋) - 아슬아슬 위태로운 다리를 건너는 인생길 = 15
병동지한(甁凍知寒) - 잔머리 얕은꾀로는 안 된다 = 18
우적축은(牛賊丑隱) - ''아'' 다르고 ''어'' 다른 말 = 20
소인인소(笑人人笑) - 내가 남을 비...
더보기
목차 전체
서언 = 4
제1부 마음 다스리기
건상유족(褰裳濡足) - 옷자락을 걷고 발을 담그다 = 12
보과위교(步過危橋) - 아슬아슬 위태로운 다리를 건너는 인생길 = 15
병동지한(甁凍知寒) - 잔머리 얕은꾀로는 안 된다 = 18
우적축은(牛賊丑隱) - ''아'' 다르고 ''어'' 다른 말 = 20
소인인소(笑人人笑) - 내가 남을 비웃으면 남이 나를 비웃는다 = 22
시지인길(尸至人吉) - 부족해야 넉넉하다 = 24
상구작질(爽口作疾) - 맛난 음식은 병을 준다 = 27
취로적낭(就瀘摘囊) - 가라앉는 배 위의 탐욕 = 29
약상불귀(弱喪不歸) -제자리를 떠난 마음 = 31
허착취패(虛着取敗) - 한 수의 패착이 승패를 가른다 = 34
압승득길(壓勝得吉) - 압승의 바른 방법 = 37
명계양지(冥契陽贄) -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 39
고락상평(苦樂常平) - 고통과 기쁨을 나눠 평형을 유지하기 = 42
호식병공(虎食病攻) - 안팎의 균형을 잘 잡아야 = 45
석체소옹(釋滯消壅) - 체증을 뚫어주나 정기를 삭게 한다 = 48
고구만감(苦口晩甘) - 첫맛은 쓰고 뒷맛은 달다 = 50
송무백열(松茂栢悅) - 벗이 잘되니 나도 기쁘다 = 53
이백과포(以帛裹布) - 차고 맵게 키워라 = 55
지영수겸(持盈守謙) - 빈천과 부귀는 쳇바퀴 돌 듯 돈다 = 57
모릉구용(摸稜苟容) - 은근슬쩍 양다리를 걸친다 = 60
엄이투령(掩耳偸鈴) -제 귀 막아 남 못 듣게 하기 = 63
점철미봉(點綴彌縫) - 쓸모로만 따질 수 없는 일 = 66
탐득과수(貪得寡羞) - 얻기만 탐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 = 69
종풍지료(縱風止燎) - 불난 집에 부채질 = 71
단사절영(斷思絶營) - 생각을 끊고 작위함을 멈춰라 = 74
제2부 세간의 흥정
비극태래(否極泰來) - 꽉 막혀 답답하다 시원스레 통하다 = 78
양장음소(陽長陰消) - 귓것들이 날뛰는 세상 = 80
양질호피(羊質虎皮) - 양의 바탕에 범의 껍질 = 82
황공대죄(惶恐待罪) - 황공하옵니다, 죄를 주소서 = 84
세사상반(細四相反) - 반대로만 가는 세상일 = 87
군이부당(羣而不黨) - 어울리되 패거리 짓지 않는다 = 90
궁하필위(窮下必危) - 궁한 쥐가 고양이를 문다 = 92
백재고잠(栢在高岑) - 잣은 높은 산꼭대기에 있습니다 = 94
불인미군(不忍媚君) - 꽃으로 임금께 아첨할 수는 없다 = 97
무덕부귀(無德富貴) - 갖춘 덕 없는 부귀는 재앙이다 = 99
타장지정(打獐之梴) - 노루 잡던 몽둥이 삼 년 우린다 = 102
선담후농(先淡後濃) - 장사꾼의 흥정법에서 배우는 처세 = 105
소인난거(小人難去) - 궁한 선비와 젊은 과부 = 107
사후칭미(死後稱美) - 죽여놓고 칭찬하는 세상 = 109
매륜남비(埋輪攬轡) - 수레바퀴를 파묻고 말고삐를 잡다 = 112
추구목옹(芻狗木翁) - 쓸모가 다해 버려지는 물건 = 114
공이불명(公而不明) - 공정함만 따지고 현명함이 없다면 = 117
파부균분(破釜均分) - 작은 이끗에 목숨을 거는 세상 = 119
근신수마(謹身數馬) - 몸에 밴 신중함이라야 = 121
형제비타(兄弟匪他) - 이겨도 지는 싸움 = 123
기부포비(飢附飽飛) - 배고프면 붙고 배부르면 튄다 = 126
시비이해(是非利害) - 시비와 이해라는 두 가지 저울 = 129
시비재중(是非在中) - 옳고 그름의 판단은 중간에 있다 = 132
이진지인(易進之人) - 진짜와 가짜를 가려 쓰는 법 = 134
신언불미(信言不美) - 번드르르한 말을 믿지 마라 = 137
제3부 내려놓기의 기쁨
가석세월(可惜歲月) - 문득 돌아보면 곁에 없는 것 = 140
잠시광경(暫時光景) - 잠시의 광경에 기억이 담긴다 = 143
창연체하(愴然涕下) - 삶의 속도와 그리움의 농도 = 146
고태류극(古菭留屐) - 이끼 위에 남은 발자국 = 148
무료불평(無聊不平) - 불평을 돌려 창조적 에너지로 = 151
의재필선(意在筆先) - 붓질보다 뜻이 먼저다 = 154
세간지락(世間至樂) - 세간의 지극한 즐거움 = 157
생사요법(省事要法) - 일을 줄이는 방법 = 160
생사요법(省事事省) - 일 만들기와 일 줄이기 = 163
요생행면(僥生倖免) - 삶은 요행의 연속 = 166
정좌식심(靜坐息心) - 고요히 앉아 마음을 내려놓다 = 168
회근보춘(晦根葆春) - 뿌리에 감춰 봄을 피운다 = 171
과숙체락(瓜熟蒂落) - 외가 익으면 꼭지가 떨어진다 = 174
등고자비(登高自卑) - 높이 오르려면 낮은 데서부터 = 177
작정산밀(斫正刪密) - 병신 매화의 집 = 180
한운불우(閑雲不雨) - 노는 구름은 비를 내리지 못한다 = 182
소심방담(小心放膽) - 대담한 가설에 꼼꼼한 논증 = 185
용서성학(傭書成學) - 베껴 쓰기 품을 팔아 세운 금자탑 = 188
서소묵장(書巢墨莊) - 독서광의 집 이름 = 191
독서일월(牘書日月) - 일생에 책 읽을 날은 너무도 짧다 = 193
중봉직필(中鋒直筆) - 답답해도 듬직한 정공법 = 196
요동백시(遼東白豕) - 요동 땅의 흰 돼지 = 198
은산철벽(銀山鐵壁) - 기필코 넘어서야 할 장벽 = 200
용지허실(用之虛實) - 쓸모없는 것의 쓸모 = 203
장망록어(張網漉魚) - 중생제도의 큰 서원 = 205
제4부 숫자로 세상 읽기
일자문결(一字文訣) - 한 글자의 작문 비결 = 208
일엽지추(一葉知秋) - 잎 하나 지자 가을이 왔다 = 210
쌍미양상(雙美兩傷) - 둘 다 잘되거나 함께 망하거나 = 213
삼심양합(三心兩合) - 독서의 마음가짐과 태도 = 215
위학삼요(爲學三要) - 공부에 필요한 세 덕목 = 217
시유삼건(侍有三愆) - 아랫사람이 삼가야 할 세 가지 허물 = 219
노인삼반(老人三反) - 노인이 젊은이와 다른 점 세 가지 = 222
삼환사실(三患四失) - 세 가지 근심과 네 가지 잃음 = 225
추삼조사(推三阻四) - 사는 일은 장애물과의 전쟁 = 228
사지삼혹(四知三惑) - 몸가짐의 바른 태도 = 230
거가사본(居家四本) - 집안을 다스리는 네 가지 근본 = 233
치옥사요(治獄四要) - 법 집행의 네 원칙 = 235
토굴사관(土窟四關) - 못 견딜 시련을 창조의 시간으로 = 238
작문오법(作文五法) - 좋은 글이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 240
오근독서(五勤讀書) - 독서에서 유념해야 할 다섯 가지 = 242
오형오락(五刑五樂) - 노인의 다섯 가지 형벌과 즐거움 = 244
육회불추(六悔不追) - 돌이킬 수 없는 여섯 가지 후회 = 247
처세육연(處世六然) - 살면서 지켜야 할 여섯 가지 처신 = 250
양생칠결(養生七訣) - 건강한 삶을 가꾸는 일곱 가지 비결 = 253
쟁신칠인(諍臣七人) - 나를 지켜주는 사람들 = 255
칠등팔갈(七藤八葛) - 얽히고설킨 문제를 풀려면 = 258
팔면수적(八面受敵) - 팔면에서 적이 쳐들어와도 = 260
무익십사(無益十事) - 득 될 게 없는 열 가지 일 = 263
각병십법(却病十法) - 질병을 멀리하는 열 가지 방법 = 266
살풍경사(殺風景事) - 세상에 운치 없는 일 열다섯 가지 = 26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