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추천사 : 21세기형 중학교 교육의 비전과 실천 = 4
시작하며 : 탐구하는 공동체의 창조 = 13
1부 탐구하는 공동체에 접근하기
1장 새로운 배움의 세계로 떠나는 여정
1학년의 봄 - 배움의 공동체를 향한 첫걸음 = 26
1. 수학과의 오리엔테이션 = 26
2. 그리거나 만드는 활동 속에서 발견하는 과제 =...
더보기
목차 전체
추천사 : 21세기형 중학교 교육의 비전과 실천 = 4
시작하며 : 탐구하는 공동체의 창조 = 13
1부 탐구하는 공동체에 접근하기
1장 새로운 배움의 세계로 떠나는 여정
1학년의 봄 - 배움의 공동체를 향한 첫걸음 = 26
1. 수학과의 오리엔테이션 = 26
2. 그리거나 만드는 활동 속에서 발견하는 과제 = 29
3. 모두가 함께 느끼는 문제해결의 기쁨 = 32
2장 탐구하는 공동체의 배양
2학년의 봄 - 빛나는 샤프심의 수수께끼 = 48
1. 대화에 대화를 거듭하는 탐구 공동체 = 48
2. 다양한 가설을 지지하는 공동체 = 52
3장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수업
3학년의 여름 - 연극을 준비하는 아이들과 함께 읽는 소설 = 60
1. 생각과 바람에서 떠올리는 아이디어 = 60
2. 서로의 감상을 엮어가는 수업 = 63
4장 발전을 거듭해가는 음악 프로젝트
세대를 연결하다 - 독창적인 음악극을 만들고 싶다는 갈망 = 74
1. 감동에서 시작되는 탐구 = 74
2. 아이들과 교사가 함께 만드는 수업 = 75
3. 음악하는 즐거움을 발견한 프로젝트 = 83
5장 탐구를 디자인하는 교육과정
중학교 3년 - 수업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 = 88
1. 탐구의 시작 = 89
2. 스트리와 스파이럴에 의한 단원의 구성 = 91
3. 탐구와 함께 발전해가는 단원 배치 = 97
4. ''핵이 되는 배움''을 중심으로 3년을 디자인 = 99
2부 탐구와 대화의 전개
1장 탐구의 사이클
1.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는 지역적 특색 = 106
1. 기존의 지역구분도를 수정하는 활동 = 106
2. 조사활동에서 파악한 지역 개념 = 108
3. 독자적인 관점에서 포착한 지역적 특색 = 111
4. 서로의 생각을 살펴보는 데서 심화되는 인식 = 116
2. 친구의 탐구활동을 지원하며 얻게 된 배움 = 118
1. 코치에 의한 자체적인 교구 개발 = 118
2. 아이들의 배움이 깊어지려면 = 119
3. 코치의 배움 = 124
3. 반성을 통해 심화되는 탐구 = 129
1. 탐구를 심화하는 아이들 = 129
2. 모방도 훌륭한 탐구의 방법 = 131
3. 친구들의 글을 돌아보며 배우기 = 134
4. 자신의 배움을 되돌아보기 = 137
2장 나선형의 탐구
1. 또 다른 탐구를 불러오는 탐구의 감동 = 144
1. 유원지의 놀이기구를 활용한 속도의 변화 탐구 = 144
2. 스스로 생각해서 진행하는 실험 = 146
3. 다른 모둠과 의견을 교환하며 음미하는 결과 = 149
4. 각기 다른 실험에서 얻어 낸 일련의 규칙 = 150
2. 자유로운 발상에서 시작되는 배움의 연결 = 154
1. ''식사''에 대한 탐구 = 154
2. 문제점에 대한 조사와 발표 = 159
3. 추후 학습에 대한 기대 = 162
3. 의식까지 바꿔준 팸플릿 만들기 = 166
1. 심포지엄의 시작 1 = 166
2. 심포지엄에 이르기까지 = 168
3. 개별적인 탐구가 심화된 심포지엄 = 176
4. 계속해서 쌓여가는 탐구활동 = 177
3장 교과의 재구성
1. 사고과정을 중시하는 사회과의 탐구 = 182
1. 중요한 건 탐구의 과정 그 자체 = 182
2. 도쿄의 지역적 특색을 밝히는 사고회로도 = 183
3. 관점을 성장시키는 협동적 탐구 = 190
2. ''보는 것''과 ''만드는 것''을 연결하는 미술과의 탐구 = 192
1. 시작은 보는 것부터 = 192
2. ''만드는 것''으로의 연결 = 195
3. 연결하면 보이는 것 = 200
3. 풍부한 대화의 세계를 여는 영어과의 탐구 = 202
1. ''자기 자신''을 말하면서 익히는 문법과 대화능력 = 202
2. 자신의 일을 자세하게 말하기(1학년의 6월 단계) = 204
3. 주인공의 삶의 방식에 대한 자신의 생각 말하기(3학년의 6월 단계) = 212
4. 대화능력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해 = 220
4장 협동 프로젝트
1. 학교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제작활동 = 224
1. 생활공간인 학교에서의 구상 = 224
2. 구상에서 구체적인 설계도로 = 227
3. 거듭된 수정으로 끌어올리는 완성도 = 234
2. 3년에 걸쳐 다듬어간 신체표현활동 = 237
1. 즉흥표현으로 창작댄스에 도전(1학년) = 237
2. YOSAKOI 잇쵸라이 참가 선언(2학년) = 240
3. 독창적인 춤의 창조(3학년) = 246
3. 다양한 배움을 육성하는 학년 프로젝트 = 255
1. 적극적인 현장학습을 활용한 조사활동 = 255
2. 조사활동에 이은 보고서의 작성 = 259
3. 또 다른 탐구의 잉태 = 265
4. 교과의 배움과 어우러진 연극활동 = 270
1. 연극이라는 스토리 = 270
2. 여러 가지 스토리가 서로 얽히도록 = 278
5장 탐구하는 공동체의 디자인
1. 대화와 탐구의 디자인 = 282
1. 탐구하는 공동체를 위한 모둠 편성 = 282
2. 모둠 편성을 위한 아이디어 = 284
3. 연결과 확장을 부르는 탐구 = 285
4. 대상자를 의식한 표현양식의 변화 = 286
5. 탐구의 과정 속에 녹아드는 교육과정 = 287
2. 3년에 걸친 탐구의 전개와 세대를 초월한 배움 = 288
1. 공동표현 프로젝트 = 289
2. 학년 프로젝트의 협동탐구 = 294
3. 세대계승의 양상 = 298
3부 성찰적 실천자들의 탐구하는 공동체
1장 교사들의 발자취
1. 참구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사들의 노력 = 304
1. 아이들의 배움에 대한 다면적 촉진 = 304
2. 아이들의 탐구활동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 = 309
3. 교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연구활동 = 313
2장 협동적 탐구의 디자인
1. 연간계획과 협동연구 조직의 핵심사항 = 316
1. 연간계획에 편성한 수업연구 = 316
2. 협력연구 조직의 핵심내용 = 320
3장 새로운 협동의 전개
1. 협동연구의 조직화를 통한 배움의 질 전환과 학교개혁 = 336
1. 대학원 야간 학교개혁 실천연구과정 설치의 취지와 교육과정 = 336
2. 연구과정을 통한 대학과의 새로운 협동연구 전재 = 338
3. 과정 설치에 의한 대학에서의 교사교육 개혁과 조직의 재구성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