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장 훈민공론장과 서구의 부르주아 공론장 = 13
1. 왜 훈민공론장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가 = 13
2. 훈민공론장의 이론적 구성 = 30
3. 소결 = 42
제2장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훈민공론장 - 계몽과 자유, 훈민의 토대 = 45
1. 일본에서 공론장 논의의 전개 = 45
2. 중국 근대...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장 훈민공론장과 서구의 부르주아 공론장 = 13
1. 왜 훈민공론장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가 = 13
2. 훈민공론장의 이론적 구성 = 30
3. 소결 = 42
제2장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훈민공론장 - 계몽과 자유, 훈민의 토대 = 45
1. 일본에서 공론장 논의의 전개 = 45
2. 중국 근대 시기 계몽운동과 공론장의 형성 = 70
제3장 조선조 왕도정치와 훈민공론장의 형성 = 91
1. 한국 유교철학에서 ''공론''에 대한 논의 = 92
2. 조선조 공론장의 구조와 유형 = 99
3. 조선조 공론장의 주체 = 117
4. 소결 : 조선조 훈민적 언론질서의 형성 = 123
제4장 애국계몽운동과 식민 시기ㆍ독립운동 시기 훈민공론장의 전개 = 127
1. 근대 언론 초기의 훈민공론장과 지사로서의 기자 = 127
2. 지사적 지식인/기자의 사례 = 138
3. 지식인/기자들이 꿈꿨던 이상적 국가와 정치체제의 모습 = 161
4. 해방 이후 훈민공론장에서 기자의 위치 : 지사와 전문직 기자 = 179
제5장 근대화 시기 훈민공론장의 성격 - 훈민저널리즘으로서〈사상계〉 = 197
1. 훈민저널리즘의 주체로서 장준하와〈사상계〉 = 200
2.〈사상계〉에서 훈민적 지식인의 역할인식 = 203
3.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결합으로서 훈민저널리즘 = 207
제6장 경제근대화 과정에서의 훈육적 동원 - 도구화된 방송 = 217
1. 박정희 정권 시기 방송구조의 형성과 국가(1961∼1971) : 발전주의 미디어의 형성 = 219
2. 동원형 국가주의의 전개와 확장(1971∼1979) : 유신체제로의 전환과 방송 규율 강화 = 235
3. 동원형 국가주의의 지속과 재편(1980∼1987) : 복점형 방송체제 구축과 방송 권력화 = 252
4. 소결 = 262
제7장 후견적 규율과 순응하는 국민의 구성 - 생활세계 내핍, 순결한 가정 = 267
1. 훈육적 동원에서 후견적 규율로의 이행 = 269
2. 소비생활에 대한 규율 = 274
3. ''순결한 가정''과 ''건전한 성윤리'' : 가정과 성윤리에 대한 개입과 규율 = 289
4. 소결 = 305
제8장 헤게모니적 담론정치의 장으로서 훈민공론장 - 민주화 이후 경제위기 뉴스담론을 중심으로 = 309
1. "샴페인을 너무 빨리 터뜨렸다" : 민주화 이후 헤게모니적 담론정치 = 311
2. 경제위기 담론 구성양식의 변화 : 연대기적 기술 = 317
3. 경제위기와 과소비 담론의 접합 = 334
4. 제2근대화론의 담론구성체 : "우리도 다시 뛰자"의 담론 = 347
5. 소결 = 358
제9장 ''신한국''에서 ''세계화''까지 - 보수적 담론 동맹과 여론동원의 정치 = 361
1. 문민정부 집권기 : 국가주의적 동원에서 헤게모니적 담론정치로 = 361
2. 문민정부 집권기 담론정치의 구성과 변화 = 365
3. 지배담론의 성격과 정치적 지지동원의 양식 = 386
4. 소결 : 문민정부 시기 헤게모니적 담론정치와 국가 중심성의 강화 = 396
제10장 민주화 이후 언론의 구조변동과 훈민공론장의 왜곡 = 399
1. 지배블록의 헤게모니와 언론의 구조변동 : 하나의 역사적 관점 = 401
2. 언론산업, 조직, 기자정체성의 위기 : 제도와 조직적 수준 = 419
3. 소결 = 437
제11장 훈민공론장에서 공공성의 의미형성 = 439
1. 신자유주의가 주도한 국가 : 국민사회 안에서 언론 공공성의 위상 = 442
2.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공화주의에서 본 언론의 공공성 = 446
3. 민주화 이후 언론 공공성의 위기 = 456
4. 파워엘리트의 과두지배 : 누가 사회적 결정의 내용과 형식을 주도하는가 = 472
5. 소결 = 478
맺는말 = 481
참고문헌 = 489
찾아보기 = 50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