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서론 : 원주 지방사를 보는 관점과 방법 = 13
Ⅰ. 일방적 관점에서 주체적ㆍ관계적 관점으로의 변화 = 13
Ⅱ. 21세기 지방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 18
Ⅲ. 고ㆍ중세 원주문화 연구 방법의 모색 = 25
제1편 삼국∼고려시대 원주지방사의 전개
제1장 법천리 고분군과 중원고구려비를 통해서 본 삼국시대 원주(原...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서론 : 원주 지방사를 보는 관점과 방법 = 13
Ⅰ. 일방적 관점에서 주체적ㆍ관계적 관점으로의 변화 = 13
Ⅱ. 21세기 지방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 18
Ⅲ. 고ㆍ중세 원주문화 연구 방법의 모색 = 25
제1편 삼국∼고려시대 원주지방사의 전개
제1장 법천리 고분군과 중원고구려비를 통해서 본 삼국시대 원주(原州)와 백제ㆍ고구려와의 관계 = 35
Ⅰ. 문제의 제기 = 35
Ⅱ. 법천리 고분군을 통해 본 마한백제와의 관계 = 45
Ⅲ. 중원 고구려비를 통해본 평원군과 고구려와의 관계 = 68
Ⅳ. 맺음말 = 80
제2장 신라 통일기ㆍ나말여초 북원경과 북원부 = 83
Ⅰ. 머리말 = 83
Ⅱ. 7∼8세기 북원경의 설치와 운영 = 85
Ⅲ. 9∼10세기 후반 북원부 정치세력의 동향과 불교계의 역할 = 93
Ⅳ. 맺음말 = 103
제3장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 105
Ⅰ. 머리말 = 105
Ⅱ. 주군(州郡)의 반부(叛附)와 신라 나마(奈麻) 영기(令奇)의 공포심 = 107
Ⅲ. 사회 변동의 주인공들 : 호족층(豪族層), 호부층(豪富層) = 112
Ⅳ. 미완의 왕조국가 건설자들 : 후백제 견훤 정권과 태봉 궁예 정권 = 128
Ⅴ. 맺음말 = 135
제4장 고려시대 원주의 행정체계와 원주인의 동향 = 136
Ⅰ. 고려 건국기 원주의 역사 지리적 배경 = 136
Ⅱ. 고려 전기 원주의 지배구조와 행정체계 = 140
Ⅲ. 고려 전기 지방지배층의 동향과 문화의 특성 = 155
Ⅳ. 고려 후기 원주의 지배구조와 행정체계 = 165
제5장 1291년 카단(哈丹)의 치악성 침입과 원충갑의 항전 = 169
Ⅰ. 머리말 = 169
Ⅱ. 외적의 침입과 치악성의 항전 = 172
Ⅲ. 카단적의 침입과 원주의 항전 방식 = 184
Ⅳ. 맺음말 = 192
제2편 북원경(북원부)의 불교문화
제6장 비마라사와 세달사 = 197
Ⅰ. 머리말 = 197
Ⅱ. 의상계 화엄사상과 비마라사 = 198
Ⅲ. 세달사(=흥교사)의 유명 승려와 경제력 = 204
Ⅳ. 맺음말 = 212
제7장 나말여초 거돈사 승려의 활동 - 지증 도헌과 원공 지종을 중심으로 - = 213
Ⅰ. 문제의 제기 = 213
Ⅱ. 지증 도헌과 거돈사 = 216
Ⅲ. 원공국사 지종의 생애와 거돈사 = 224
Ⅳ. 맺음말 = 231
제8장 흥법사 선사(禪師) 충담(忠湛, 869∼940)의 생애와 충담비 마멸자(磨滅字) 보완 수용 문제 = 235
Ⅰ. 문제의 제기 = 235
Ⅱ. 충담의 봉림산문 소속 여부 = 239
Ⅲ. 태조 왕건이 충담 비문을 직접 작성한 이유 = 242
Ⅳ. 충담의 생애와 활동 = 248
Ⅴ. 맺음말 = 254
Ⅵ. 원문, 번역문 및 각주 = 255
제9장 고달사 학풍의 불법동류(佛法東流)와 부동선원(不動禪院) = 283
Ⅰ. 머리말 = 283
Ⅱ. 고달원 1기 : 현욱 그리고 심희의 불법동류 = 286
Ⅲ. 고달원 2기 : 찬유와 부동선원(不動禪院) = 293
Ⅳ. 맺음말 = 299
제10장 충주 정토사 현휘(玄暉)와 영월 흥녕사 절중(折中) - 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 302
Ⅰ. 머리말 = 302
Ⅱ. 현휘의 활동과 음기에 실린 세력 = 304
Ⅲ. 절중의 활동과 음기에 실린 세력 = 316
Ⅳ. 맺음말 = 328
제3편 고려전기 대장경연구의 전통과 원주
제11장 선사 긍양(878∼956)의 생애와 대장경 = 333
Ⅰ. 서론 = 333
Ⅱ. 출가와 유학 생활 = 335
Ⅲ. 귀국과 국내 활동 = 341
Ⅳ. 맺음말 = 358
제12장 김부식과 박호ㆍ임존의 의천 평가 = 360
Ⅰ. 머리말 = 360
Ⅱ. 영통사비(靈通寺碑) 사적기(事跡記)의 분석 = 362
Ⅲ. 박호ㆍ김부식ㆍ임존의 의천 평가 = 377
Ⅳ. 맺음말 = 401
제4편 원주문화재 환수운동과 원주 폐사지의 세계유산적 가치
제13장 20세기말∼21세기초 원주지방의 문화재 환수운동과 복원ㆍ재현사업 = 405
Ⅰ. 머리말 = 405
Ⅱ. 환수운동에서 재현ㆍ복원사업까지 = 408
Ⅲ. 환수운동 및 재현ㆍ복원사업이 던진 몇 가지 고려 사항 = 416
Ⅳ. 맺음말 = 428
제14장 원주 폐사지의 세계 유산으로서의 가치 = 430
Ⅰ. 침략전쟁을 평화인문학으로 대처한 세계 유일의 각경사업 = 430
Ⅱ. 각경 사업과 원주폐사지 해린ㆍ지종ㆍ충담의 활동 = 436
Ⅲ. 주체적 세계화의 산실로서의 원주 폐사지 = 453
Ⅳ. 맺음말 : 원주 세 폐사지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 457
참고문헌 = 461
찾아보기 = 473
출전 = 48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