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4
제1부 황석우의 생애와 문학 - 전기적 접근
1. 황석우, 그는 언제 어디서 태어나서 성장했을까? - 유ㆍ소년기 = 20
1) 황석우는 언제 어디서 태어났을까? - 출생 연도와 출생지의 불확실성 = 20
2) 망모(亡母)에 대한 그리움과 진경 누님에 대한 고마움 = 24
2. 보성전문 시절과 일본동경에서의 유...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4
제1부 황석우의 생애와 문학 - 전기적 접근
1. 황석우, 그는 언제 어디서 태어나서 성장했을까? - 유ㆍ소년기 = 20
1) 황석우는 언제 어디서 태어났을까? - 출생 연도와 출생지의 불확실성 = 20
2) 망모(亡母)에 대한 그리움과 진경 누님에 대한 고마움 = 24
2. 보성전문 시절과 일본동경에서의 유학생활 - 청ㆍ소년기 = 26
1) 보성전문학교 입학과 법학 전공 = 26
2) 모표의장(帽標意匠) 변경의 문제와 출교(黜敎) 조치 = 28
3) 와세다(早稻田) 대학 입학과 졸업의 문제 = 29
3. 잡지 발간과 습작기의 문필활동 - 청년기 1 = 32
1)《근대사조》발간과 문필활동의 시작 = 32
2) 기타 잡지의 발간과 시와 산문의 발표 = 35
3) ''신아(新我)'', 곧 주체성의 자각과 습작기의 한계 = 37
4) 정치가의 꿈에서 시인의 길로 - 그 전환의 의미 = 40
4. 폐허동인과 장미촌동인으로서의 시작 활동 - 청년기 2 = 43
1) 극예술협회의 창립과 각종 강연회 활동 = 43
2) 폐허동인의 결성과 ''이탈(離脫)''의 의미 = 46
3) 시 전문지 ''장미촌''의 발간과 자유시의 선구 = 49
4) 신시(新詩)와 그 형식의 문제 - 현철(玄哲)과의 치열한 논쟁 = 52
5) 흑도회(黑濤會)의 결성과 아나키스트로서의 사회운동 = 54
5. 조선시단사의 개설과 첫 시집『자연송』의 출간 - 청ㆍ장년기 = 57
1) 신진시인(新進詩人)의 발굴과 그 영역의 확대 - 《조선시단》의 창간 = 58
2) 첫 시집『자연송』의 출간과 그 반향 = 62
3) ''반송(伴頌)''의 시편들과 동시적 서정성 = 66
4) 새 부인 윤덕상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진위 문제 = 69
6. 8ㆍ15 해방과 또다시 문단으로의 회귀 - 장ㆍ노년기 = 71
1) 대동신문사 주간의 취임과 시작 활동의 재개 = 72
2) 국민대학 교수의 취임과 안정된 가정생활 = 75
3) 혜화동 수도여의대 병원에서의 외로운 죽음 = 77
에필로그 = 82
제2부 퇴폐적 경향과 ''자연시''의 한계 - 시작 세계의 통시적 고찰
1. ''신아(新我)''의 발견과 습작기의 시작 활동 = 87
1) ''신아(新我)'', 곧 ''참나(眞我)''의 발견 = 88
2) 회화적 기법과 감각미(感覺美)의 추구 = 94
2. ''저녁''의 심상과 퇴폐적 경향 = 99
1) ''파란 털의 고양이''와 ''애정''의 모티프 = 100
2) ''태양''과 ''저녁''의 심상과 모티프 = 103
3) 원초적 관능과 원색적 표현 = 106
3.《장미촌》의 발간과 자유시 운동 = 109
1) 미소(微笑)의 꽃가마(花輿)와 영적 방황 = 110
2) 이상향인 장미촌과 자유시 선언 = 112
3) 자연의 종신적 왕과 어린아이 박사들 = 121
4. 천체의 운행질서와 만유(萬有)의 생성 원리 = 123
1) ''우주(宇宙)'', 곧 천체의 운행과 허무사상 = 124
2) ''봄''의 시편들과 ''나비''ㆍ''미풍''ㆍ''꽃''의 심상 = 138
3) ''가을''과 대자연의 무도회 = 149
5. 정감적 속성과 경향적 사상시의 시도 = 154
1) ''반송(伴頌)''의 시편들과 서정성의 문제 = 156
2) ''빈곤(貧困)''의 심상과 경향시의 시도 = 162
6. 자연과의 일체화와 죽음의 문제 = 170
1) 조국 해방의 기쁨과 자유의 종소리 = 170
2) ''우주(宇宙)'', 곧 자연과의 일체화와 죽음의 징후 = 173
제3부 황석우 시의 주요 심상과 모티프
''태양''의 심상과 모티프 = 184
1. ''태양의 침몰''과 ''저녁''의 상징성 - 세기말과 퇴폐적 경향 = 185
2. ''해'', 곧 ''태양''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 187
1) 만유(萬有)의 아버지로서의 ''태양'' = 187
2) ''태양''의 죽음과 환생 - 황금불과 보석불 = 190
3) 혼령(魂靈)의 덩어리와 두 남매의 아버지 = 192
4) ''내 동무''로서의 의인화 과정과 환호의 대상 = 194
5) ''달''과 ''별''과 ''지구''와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 197
3. ''시뻘건 염통(心腸)''과 ''생명의 빛'' = 202
1) 태양의 의붓딸과 ''시뻘건 염통덩이'' = 203
2) 눈 위를 걷는 발자취와 생명의 빛 = 204
''달''의 심상과 모티프 = 208
1. ''달''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 209
1) ''태양''과 ''별''과 ''지구''와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 210
2) ''물''속의 달과 ''물 위의 달빛'' = 211
3) 구름 속에 들고 나는 ''달''의 상징성 = 215
4) 많은 사람들을 울린 ''달''의 아픔 = 217
2. ''달''의 의인화와 ''병든 허파'' = 220
1) ''태양''과 ''별''과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 220
2) 달아나고 싶고 붉게 물들이고 싶은 마음 = 222
3) 스포츠 걸과 포환처럼 떠오르는 달 = 223
''별''의 심상과 모티프 = 226
1. 아기별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 227
1) 아기별의 천진성과 신비성 = 227
2) 별의 정령화(精靈化)와 신비성 = 230
3) 쪽배에 실려오는 ''달''과 가을밤의 서정 = 232
4) 이단자로서의 ''혜성''과 허무의 방랑자 = 234
2. 세민향(細民鄕)과 신비의 빛나는 서문 = 235
1) 별들의 세민향(世民鄕)향과 셈이 빠른 여자의 눈동자 = 235
2) ''우주'', 곧 신비의 서고(書庫)와 그 서문의 글자 = 237
''꽃''의 심상과 모티프 = 240
1. ''꽃''의 범칭성과 개별성 - 그 상징성 = 241
1) 사랑의 불꽃과 마음의 향기 = 242
2) ''바람''과 ''아침이슬''과 사랑의 꽃들 = 245
3) ''꽃''의 개별성과 그 상징적 의미 = 247
4) 꽃 곁에서의 합주악(合奏樂)과 사랑의 은인(恩人) = 252
2. 중ㆍ말기 ''꽃''의 시편들과 그 상징성 = 258
1) ''사랑의 응어리''와 꽃 마음의 모든 것 = 259
2) 꽃의 사랑을 통한 ''내 혼''과 ''우주 혼'' = 263
3) ''꽃''의 개별화 과정과 그 상징성 = 266
제4부 ''영율(靈律)''의 시학과 실지비평, 그리고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1. ''신인(神人)''의 접촉과 ''영율(靈律)''의 시학 = 276
1) 시와 시인의 정의와 ''영율(靈律)'' 및 시적 기교의 문제 -「시화(詩話)」 = 276
2) 일상적 ''인어(人語)''와 시적 ''영어(靈語)'' - 공기와 액체 = 279
3) 명상과 영감 - 인간 혼(魂)의 정(淨)한 육감 = 281
4) 기분과 예지, 그리고 말(語)의 저장 = 282
5) 시의 ''내재율''과 자유시의 관념 = 285
2. 일본시단의 경향과 상징주의 시론의 도입 = 288
1) 상징시파와 민중시파의 운동 = 288
2) 시론으로서의 상징주의 - 광의의 상징주의와 협의의 상징주의 = 290
3. 시의 본질로서의 표현기교와 감상 및 제작의 문제 = 293
1) 시의 본질과 표현기교 및 효용의 문제 = 294
2) 시의 제작과 감상법의 문제 = 298
4. 시단의 월평(月評)과 실지비평의 문제 = 303
1) 시단월평(月評)과 실지비평의 문제 = 304
2) 시단월평과 개별적 논평 = 308
3) 문단과 사상계의 회고와 문단적 발심의 검핵(檢覈) = 311
5. 시어의 훈독화(訓讀化)의 문제 - 그 실지의 용례들 = 314
제5부 황석우의 시와 산문 - 서지적 접근
1. 작품 활동의 단계화 - 시기별 구분 = 320
1) 습작기의 시와 시론 = 321
2) 폐허와 장미촌동인으로서의 활동 = 324
3)《조선시단》의 창간 - 문단에로의 회귀 = 326
4) 시집『자연송(自然頌)』의 출간 = 331
5) 8ㆍ15 해방과 그 이후의 작품 활동 = 332
2. 산문의 유형별 분류 = 335
1) 시 원론의 문제와 시단 개평 = 335
2) 문단 개평과 문학 일반론 및 문학논쟁의 문제 = 345
3) 일본의 정치현상과 사상, 그리고 기타의 문제 = 353
4) 일본 유학시절의 회고와 그 시대의 인물론 = 358
5) 잡지 및 시집의 간행사와 편집후기, 그리고 기타 산문과 설문답 = 366
부록: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용례와 생애 및 작품 연보
부록 1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용례 = 378
부록 2 황석우의 생애 연보 = 386
부록 3 황석우의 작품 연보 = 400
찾아보기 = 41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