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부 국어정책이란 무엇인가?
제1장 국어정책의 의의 = 13
제1절 서론 = 13
제2절 분석의 틀 : 통시성과 체제이론 = 15
제3절 역사적 변천에 따른 언어정책(통시성) = 18
제4절 국가개입주의와 방임주의(어떻게) = 29
제5절 언어정책의 형성에서의 두 방식(누가) = 36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부 국어정책이란 무엇인가?
제1장 국어정책의 의의 = 13
제1절 서론 = 13
제2절 분석의 틀 : 통시성과 체제이론 = 15
제3절 역사적 변천에 따른 언어정책(통시성) = 18
제4절 국가개입주의와 방임주의(어떻게) = 29
제5절 언어정책의 형성에서의 두 방식(누가) = 36
제6절 정책과정에 따른 검토(왜) = 39
제7절 앞으로의 국어정책 = 52
제2장 한국의 지식인으로서의 언어 = 55
제1절 서론 = 55
제2절 의사소통의 이론 = 57
제3절 한국 사회과학자들의 언어인식 :『한국행정학보』의 문장 분석 = 61
제4절 전반적 특징과 그 대책 = 97
제3장 국어정책의 현실 : 국어책임관 제도 = 103
제1절 이론적 논의 = 103
제2절 국어책임관 제도126
제2부 변화하는 사회에 어울리는 국어정책
제4장 다문화 사회와 언어복지 = 189
제1절 서론 = 189
제2절 다문화 사회의 전개와 그 과정에서의 문제 = 191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틀 = 198
제4절 언어복지 전달체계 = 213
제5절 결론과 정책적 함의 = 221
제5장 국어정책의 민간화에 관한 연구 = 223
제1절 서론 = 223
제2절 민간화 논의의 = 225
제3절 언어정책의 흐름 = 231
제4절 국가개입의 재평가 : 역사적 소임은 다 했다 = 240
제5절 민간화 = 243
제6절 제5장의 결론 = 254
제6장 한국어의 UN공용어 가능성에 관한 연구 = 257
제1절 머리말 = 257
제2절 국제의사소통 방식 = 259
제3절 UN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 필요성 = 264
제4절 UN 의사소통 방식의 변화와 한국어의 가능성 = 276
제5절 마무리 = 281
제3부 국어정책의 전개에서의 새로운 제도와 새로운 접근
제7장 국어발전기금제도의 도입 = 295
제1절 머리말 = 295
제2절 국어의 현황과 위기 = 297
제3절 관심의 표출 : 국가의 개입 여부 = 309
제4절 국어발전기금의 창설을 위하여 = 321
제5절 마무리 = 330
제8장 한국어진흥재단의 도입에 관한 연구 = 331
제1절 한국어진흥재단 설립방안 = 331
제2절 정책적 제언 = 350
제9장 도로명 부여사업에서의 도로명 = 357
제1절 서론 = 357
제2절 행정언어의 이론 = 358
제3절 도로명(道路名)에 있어서의 행정언어 = 371
제4절 영국자료와 한국 자료의 비교로 본 주소 체계 = 376
제5절 결론 = 391
제4부 결론
제10장 국어정책의 재인식 = 397
참고문헌 = 403
찾아보기 = 414
인명 찾아보기 = 41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