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서장 : 루쉰 문학 수용의 기원과 계보 = 14
제1부 1920년대 한국과 루쉰
제1장 오상순의 ''아시아'' 의식과 루쉰의 세계주의 경향 = 25
1. 두 장의 사진과 공초 오상순 = 25
2. 루쉰ㆍ저우쭤런의 일기에 나오는 오상순ㆍ이우관ㆍ류림 = 28
3. 일본 시라카바파(白樺派) 이념의 공유와 아나...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서장 : 루쉰 문학 수용의 기원과 계보 = 14
제1부 1920년대 한국과 루쉰
제1장 오상순의 ''아시아'' 의식과 루쉰의 세계주의 경향 = 25
1. 두 장의 사진과 공초 오상순 = 25
2. 루쉰ㆍ저우쭤런의 일기에 나오는 오상순ㆍ이우관ㆍ류림 = 28
3. 일본 시라카바파(白樺派) 이념의 공유와 아나키즘사상의 수용 = 38
4. 오상순의 ''폐허'' 의식과 ''아시아'' 의식 = 45
5.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상적 공명 = 50
제2장 류수인의 「광인일기」 번역과 한ㆍ중 지식인의 사상적 연대 = 55
1. 공개편지의 ''L'' = 55
2. 문예의 계몽적 효과와 「광인일기」의 번역 = 58
3. 루쉰 방문과 스유헝(時有恒)과의 관계 = 65
4. 문예이론상의 공감대와 사상적 연대 = 73
5. 「광인일기」 번역의 양상과 그 의의 = 79
제2부 1930년대 한국과 루쉰
제3장 양백화의 「아Q정전」 번역과 그 반응 = 85
1. 1930년대의 중국 현대문학 소개 = 85
2. 양백화의 중국문학 소개와 루쉰 문학 비평 = 90
3.「아Q정전」의 번역과 그 오역에 대한 비판 = 96
4. ''역술(譯述)''의 번역 관습과 근대적 번역 관습의 충돌 = 108
5. 중역(重譯)과 오역의 극복 = 115
제4장 정래동과 김태준의 루쉰 문학 비평과 사상적 계보 = 119
1. 정래동의 중국 현대문학 비평 = 119
2. 정래동의 「루쉰과 그의 작품」 = 124
3. 정래동의 『야초』 비평 = 131
4. 동시기 한ㆍ중ㆍ일의 『야초』 비평의 양상 = 137
5. 아나키즘사상과 루쉰 문학 비평 = 143
6. 김태준의 루쉰 문학의 이해 = 152
7. 김태준의 좌익 문학비평의 주체적 수용 = 160
8. 사상적 계보와 비평적 입장의 차이 = 165
제5장 신언준과 카라시마 타케시의 루쉰 방문과 루쉰 형상화 = 170
1. 사진으로 실린 루쉰의 편지 = 170
2. 신언준과 루쉰의 대좌(對坐) = 176
3. 프롤레타리아작가로서 루쉰의 형상화 = 184
4. 카라시마 타케시의 루쉰 방문과 중국 신문예의 소개 = 189
5. 카라시마 타케시에 대한 평판과 ''국책(國策)'' 선전 = 193
6. 차이와 대화 = 200
제6장 이육사와 루쉰이 도달한 문학정신 = 203
1. 이육사와 루쉰의 만남과 문학적 모색 = 203
2. 국민성개조 담론과 투철한 자기인식 = 210
3. 문학과 정치의 관계 및 창작 ''모랄'' = 218
4. 강인한 정신의 소유자 형상과 시의 사상성 = 229
5. 동궤에 놓인 문학정신 = 239
제3부 1940년대 한국과 루쉰
제7장 김광주의 현대 중국문예 비평과 루쉰 소설 번역 = 245
1. 의학의 포기와 문예활동의 시작 = 245
2.『보헤미안』 문예동인지와 아나키즘적 문예의식 = 252
3. 1930년대 중국문단 비평과 한국문단 소개 = 262
4. ''루쉰 정신''의 환기와 「루쉰과 그의 작품」 = 274
5.『루쉰단편소설집』의 출간과 번역의 양상 = 285
6. 한ㆍ중 문단의 상호 이해 = 292
제8장 이명선의 학문 형성과 ''루쉰 연구'' = 296
1. 한국 최초의 중국 현대문학 전공자 = 296
2.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과 민족적 자의식 = 297
3. 김태준으로부터의 사상적ㆍ학문적 영향 = 306
4. ''민중''의식과 사상적 계보 = 314
5. 경성제대 중국어문학과의 강의 내용과 ''루쉰 연구'' = 321
제9장 이명선의 루쉰 비평과 루쉰 문예 입장의 수용 = 329
1. 루쉰 연구의 두 시기 = 329
2. 대학 재학 시기의 루쉰 비평과 『중국현대단편소설선집』의 번역 = 331
3. ''신문학혁명''론과 문학의 대중성 지향 = 344
4. 중국 문예논쟁과 ''민족혁명의 대중문학'' 주장 = 351
5. 루쉰 잡감문의 번역과 ''전투적인 비판정신''의 수용 = 357
6. 당대 현실에 밀착된 루쉰 연구 = 362
부록 = 365
루쉰과 그의 작품 / 정래동 = 367
중국의 대문호 루쉰 방문기 / 신언준 = 425
루쉰 추도문 / 이육사 = 431
상하이를 떠나며 : 유랑(流浪)의 항구에서 / 김광주 = 447
루쉰의 미성작품(未成作品) / 이명선 = 460
저우쭤런론(周作人論) / 이노부 = 464
루쉰과 그의 작품 / 김광주 = 470
참고문헌 = 476
찾아보기 = 48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