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ⅴ
서론 / 김성도 = 1
제1장 생태복원 담론의 개념적 구조 / 김성도 = 43
1. 생태복원의 개념 정의 = 43
1) 개념의 발생과 진화 = 43
2) 생태복원의 현대적 정의 = 45
2. 생태복원 주요 문헌 검토 = 53
3. 자연훼손과 생태복원 = 62
1) 훼손과 재전용(reaffectat...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ⅴ
서론 / 김성도 = 1
제1장 생태복원 담론의 개념적 구조 / 김성도 = 43
1. 생태복원의 개념 정의 = 43
1) 개념의 발생과 진화 = 43
2) 생태복원의 현대적 정의 = 45
2. 생태복원 주요 문헌 검토 = 53
3. 자연훼손과 생태복원 = 62
1) 훼손과 재전용(reaffectation) = 65
2) 훼손의 생태학적 파급 결과들 = 67
4. 생태계의 회복 = 69
5. 생태복원의 가치론 = 74
1) 가치론과 과학론의 논쟁 = 75
2) 생태학적 가치들 = 78
3) 개인의 심미적ㆍ영적 가치들 = 80
4) 경제적 가치들 = 82
5) 문화적 가치들 = 87
제2장 생태복원 담론의 인식론적 토대 / 김성도 = 91
1. 복원의 의미론과 세계관 : 어원과 시간적 유추 = 91
2. 생태복원의 모델과 은유 : 공학에서 예술까지 = 98
1) 공학과 사이버네틱스 = 99
2) 예술과 미학 = 107
3. 생태복원의 인간학적 의의 : 기술 중심적 생태복원에서 인문적 생태복원으로 = 118
제3장 생태복원의 인문학적 상상력과 문명사적 전환의 모색 / 김동윤 = 131
1. 생태복원과 인문학적 상상력 = 136
2. 생태복원과 지속가능성 = 140
3. 생태복원과 인간중심주의 = 142
4. 아르네 네스와 심층생태학 = 149
5. 인본주의(휴머니즘)와 생태학 : 뤽 페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 152
제4장 생태복원의 미학적 윤리적 토대 / 김성도 = 163
1. 자연 미학과 환경 미학 : 예술적 감식력과 심미적 공동체 = 165
1) 자연의 문화 : 자연의 구성 = 165
2) 환경 미학의 개념 = 168
3) 예술 감상과 자연 감상 = 174
2. 생태예술 = 184
1) 생태예술 = 184
2) 공적 공간과 공유지(commons) = 193
3) 생태복원과 예술 = 195
3. 생태복원의 윤리적 토대 = 199
1) 아름다움에서 의무로 : 생태복원의 윤리적 토대 = 199
2) 생태복원의 의례적 차원과 이타성 = 206
3) 생태복원의 진정성에 대한 윤리적 성찰 = 211
제5장 개발 이데올로기와 농적 기반의 생태복원 / 김동윤 = 217
1. 개발의 논리와 생태복원 = 219
2. 생태복원과 기술문명비판 = 225
3. 작은 것이 아름다운 공생사회 = 230
4. 소농ㆍ생태경관ㆍ고향의 시학 = 234
5. 흙ㆍ토양의 상상력과 외쿠메네 = 248
제6장 생태적 마음과 심미적 감수성 / 김동윤 = 253
1. 생태적 언어와 녹색문학 = 253
2. 자연과 회화의 풍경 = 258
3. 세잔 - 회화와 생태복원 = 262
4. 자연과 시적 세계 = 266
5. 생태복원의 문학 - 지오노의 ''생태주의'' = 273
6. 문학의 언어와 생태적 근원 = 279
7. 슈바이처의 생명의 외경 = 283
8. 온생명과 누스페어 = 287
제7장 생태복원의 시간성과 서사성 / 김성도 = 293
1. 시간, 서사, 집단 기억 = 296
2. 과거에 대한 향수와 서사적 연속성 = 304
3. 장소의 서사와 시간의 깊이 = 312
4. 역사적 진정성과 준거 = 322
5. 자연의 진정성 = 330
제8장 생태복원의 기호학적 상상력 / 김성도 = 339
1. 생태복원의 기호학적 토대 : 자연, 생명, 기호 = 340
1) 생태기호학 : 이론적 배경과 주요 흐름 = 340
2) 생태기호학의 주요 핵심 개념 = 347
2. 경관의 생태기호학적 접근 = 355
1) 경관의 기호학적 차원 = 356
2) 경관의 판독가능성과 기호학적 독법 = 363
3. 쓰레기의 생태기호학적 시론 = 368
제9장 생태복원의 사회학 : 사회와 생태 이론의 재구성 / 김철규 = 387
1. 들어가며 = 387
2. 생태복원의 개념 = 390
3. 생태복원의 사회적 재구성 = 393
1) 발전주의를 넘어 생태주의로 = 393
2) 공진화와 신진대사 균열론 = 404
3) 생태민주주의 = 410
4. 결론 = 415
제10장 하천복원과 한국의 4대강 사업 : 사례 연구 / 김철규 = 419
1. 들어가며 = 419
2. 하천복원의 개념과 역사 = 420
3. 한국의 개발주의와 하천의 변형 = 429
4. 4대강 사업 : 개발인가 복원인가? = 432
1) 4대강 사업 개요 및 현황 = 432
2) 4대강 사업에 대한 평가 = 434
3) 4대강 사업과 팔당 유기농 공동체 = 441
5. 외국의 하천복원 사례들 = 453
6. 결론 = 463
결론을 대신하여 : 절제와 균형의 사회를 향하여 / 김동윤 = 467
참고문헌 = 475
찾아보기 = 49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