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낮은 목소리의 이야기를 따라 = 6
서장. 10월 항쟁은 무엇이었는가 = 13
1부 10월 항쟁
1장. 건국의 푸른 꿈 = 26
1. 건국운동의 열기 = 28
해방 직후 건국운동의 조직 = 28
노동자의 조직 과정 = 30
학생운동과 청년운동의 활기 = 32
빈민조직의 부재 ...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낮은 목소리의 이야기를 따라 = 6
서장. 10월 항쟁은 무엇이었는가 = 13
1부 10월 항쟁
1장. 건국의 푸른 꿈 = 26
1. 건국운동의 열기 = 28
해방 직후 건국운동의 조직 = 28
노동자의 조직 과정 = 30
학생운동과 청년운동의 활기 = 32
빈민조직의 부재 = 35
정당과 통일전선조직 = 37
경북정치학교, 건국의 푸른 꿈과 지역운동의 도전 = 41
농촌조직의 영향력과 폐쇄성 = 45
2. 되풀이되는 식민지의 악몽 = 49
점령군의 등장, 친일파의 귀환 = 49
지방 보수세력의 형성 = 52
식량난과 사회ㆍ경제적 불안정성 = 54
대중투쟁의 폭발 = 56
좌우 합작과 대구공동위원회 = 59
미군정의 탄압과 9월 총파업 = 61
3. 혼돈 속의 건국운동과 항쟁 전야 = 64
2장. 대구, 10월 항쟁의 서막 = 68
1. 대구역 광장 시위와 경찰의 발포 = 70
10월 1일 : 노동자ㆍ시민이 연대한 시위 그리고 경찰의 발포 = 70
10월 2일 : 시위의 전개와 경찰의 발포 시점 = 75
10월 1일 경찰 발포 피살자는 누구인가 = 79
10월 2일 경찰 발포 피살자의 신원 추정 = 81
2. 청년ㆍ학생 연합 시위와 시민 항쟁 = 85
시신 시위의 조직과 청년ㆍ학생 연합 시위의 지도부 = 87
시위의 실질적 지도부는 누구였는가 = 89
10월 2일 오전 : 청년ㆍ학생 연합 시위, 시민 항쟁으로의 전환 = 90
10월 2일 오후 : 지도부 없는 기층 민중의 봉기, 사회적 트라우마의 폭발 = 93
10월 2일 조선공산당 중앙조직의 반응 = 998
3. 시민 항쟁으로서의 대구 항쟁의 의의와 한계 = 101
3장. 농촌으로 간 10월 항쟁 = 104
1. 경북 전역으로 번지는 항쟁 = 106
제2의 3ㆍ1운동 = 106
항쟁의 지역별 양상과 전개 과정 = 107
2. 농민 항쟁으로서의 영천 항쟁 = 116
항쟁의 배경과 원인 = 116
영천읍, 항쟁의 폭발 = 121
면 단위로 확산되는 항쟁 = 123
항쟁의 전파 경로 = 132
항쟁을 주도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 133
3. 항쟁의 조직 기반과 농민 항쟁의 역사적 계승 = 137
하층민 조직 : 계급적 동질성에 의한 결합 = 137
친족 관계 : 일가주의적 동질성에 의한 결합 = 139
마을 자치조직의 전통 : 마을공동체의 동질성에 의한 결합 = 141
19세기 농민 항쟁의 역사적 계승 = 143
4. 10월 항쟁, 도시에서 농촌으로 = 147
2부 작은 전쟁과 학살
4장. 삐라를 뿌리는 소년들 = 152
1. 항쟁의 진압과 민간인 학살 = 154
2. 항쟁 이후의 사회운동 = 158
남로당의 결성과 민전의 활동 = 159
노동운동의 탄압과 학생운동의 성장 = 163
이름도 무덤도 없는 청년ㆍ학생 운동가들 = 168
대중화하는 농민운동과 학생운동 = 171
3. 대중운동의 탄압과 무장투쟁의 발전 = 176
당국의 탄압과 통제 = 176
지방 보수세력의 강화 = 178
남한 단독선거와 단독정부 반대 운동 = 180
무장투쟁의 발전, 야산대에서 유격대로 = 184
4. 대중운동의 재편과 좌우의 분열 = 187
5장. 산으로 간 청년들과 작은 전쟁 = 190
1. 대중운동에서 무장투쟁으로 = 192
대구 제6연대 사건과 유격대의 형성 = 192
군경의 빨치산 토벌 = 195
1949년 대구 지역의 투쟁 활동 = 196
1949년 무장투쟁기의 남로당 = 198
2. 빨치산과 군경 사이에서 = 200
산사람과 들군 = 200
빨치산의 생활과 활동 = 202
낮에는 군경이 밤에는 빨치산이 = 207
3. 빨치산에 대한 기억과 집단적 트라우마 = 212
''빨갱이 고수''와 ''지방 빨갱이'' = 212
똑똑하고 말 잘하고 잘생긴 = 214
우익이 좋은동, 좌익이 좋은동, 알아야 뭘 하지요 = 220
4. 반공의 사회심리와 냉전 통치성 = 227
6장. 학살과 통제 = 230
1. 민간인 학살과 체제 통제 = 232
정부 수립기 대구 지역의 민간인 학살 = 232
정부 수립기 경북 지역의 민간인 학살 : 영천의 사례 = 234
국민보도연맹과 한국전쟁 시기의 민간인 학살 = 236
2. 기록으로 본 학살 사건 = 242
경주ㆍ월성 = 244
경산ㆍ청도ㆍ영일 = 245
칠곡ㆍ고령ㆍ성주ㆍ군위ㆍ김천ㆍ금릉 = 247
영덕 = 247
영양ㆍ안동ㆍ영주ㆍ예천ㆍ의성ㆍ봉화ㆍ문경 = 249
학살의 유형 = 251
3. 피학살자들은 누구인가 = 255
얼마나 많은 민간인이 학살되었나 = 256
언제, 어떤 지역에서 학살되었나 = 259
피학살자의 사회인구학적 구성 = 263
4. 학살, 진보의 절멸과 국가 권력의 토대 강화 = 267
에필로그 : 10월 항쟁의 유산 그리고 남겨진 이야기 = 270
1. 10월 항쟁, 미완의 시민혁명 = 271
노동자ㆍ시민이 연대한 대중운동이자 사회운동 = 271
항쟁 지도부와 조직 역량의 부족 = 273
전통적 농민 항쟁의 전승이자 현대 민중 항쟁의 원형 = 274
2. 남겨진 이야기 : 전쟁 후의 또 다른 전쟁 = 277
아홉 살 ''이쁜이''는 왜 ''10ㆍ1폭동 처형자''로 기록되었나 = 277
학살 후 홀로 된 여성들 = 284
70년간의 기다림 = 289
미주 = 296
참고문헌 = 320
찾아보기 = 3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