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4
들어가는 말 = 6
서언 = 22
제1장 고조선 이해를 위한 핵심개념과 주요쟁점
대고조선론과 소고조선론 = 36
고조선 논쟁과 만리장성의 동단 = 41
''환단고기'' 문제 정리 = 42
고조선 논쟁과 윤내현이라는 학자 = 48
또 하나의 거목, 원로 사회학자 신용하 = 56
북한의 고대사학자들 - 리지...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4
들어가는 말 = 6
서언 = 22
제1장 고조선 이해를 위한 핵심개념과 주요쟁점
대고조선론과 소고조선론 = 36
고조선 논쟁과 만리장성의 동단 = 41
''환단고기'' 문제 정리 = 42
고조선 논쟁과 윤내현이라는 학자 = 48
또 하나의 거목, 원로 사회학자 신용하 = 56
북한의 고대사학자들 - 리지린, 김석형, 조희승 = 60
제2장 고조선 논쟁의 역사
1988년, 이기백과 서영수 = 72
1988년, 이기동과 조인성 = 93
1990년, 노태돈 = 97
2003년, 송호정 = 112
2006년, 오강원 = 120
2007∼2010년, 서영수 그리고 김정배 = 128
1994년, 윤내현 그리고 전후 30년 = 130
2002년, 복기대 = 135
2005년, 박선희 = 136
2005년, 성삼제 = 137
신채호 = 138
정인보 = 147
제3장 고조선 논쟁 관련 주요 사건들
1981년, 국사 교과서에 대한 공청회 - 깡패와 더 큰 깡패 = 154
1995년, 이형구의 논문 - 윤내현 학살극 = 157
2016년, 동북아역사재단의 EKP 지원 중단, 마크 바잉턴 한국 고대사 연구 중단 = 159
2016년,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지도'' 출판 불가 판정 = 165
제4장 재야사학계 비판
이덕일 = 174
이문영 = 192
김종서, 심백강 = 195
제5장 진보사학계 비판
강만길 = 202
이이화 = 204
2000년,『역사비평』겨울호 = 209
2016∼2017년,『역사비평』광풍의 1년 = 212
제6장 사이비역사학자들의 아성, 주류 고대사학계 비판
공석구 = 220
윤용구 = 227
주류 고대사학계 젊은 학자들 = 235
제7장 대고조선론의 도약
고구려 장수왕의 평양은 어디인가? = 253
압록강은 어디인가?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은? = 256
평양연구팀의 성격과 의미 = 258
복기대의 빛과 그림자 = 261
제8장 고조선론 주변의 수상한 사람들
이형구 = 272
우실하 = 276
결론과 전망
정말로 중요한 것은 과정이다 = 283
고조선 논쟁을 해결하는 방법 = 285
고조선 논쟁의 시금석, 윤내현 간첩 및 표절자 조작사건 = 286
고조선 논쟁의 전망 = 28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