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장『조선불교유신론』 해제
1. 저자 한용운(韓龍雲)에 대하여 = 9
2. 저술의 시대 상황적 배경 :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 = 12
3.『조선불교유신론』의 내용 = 14
4. 만해의 사상적 배경 : 량치차오(梁啓超)와 사회진화론 = 17
Ⅱ장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역주(譯註)
1. 서(序) = 21
2. 서론(緖...
더보기
목차 전체
Ⅰ장『조선불교유신론』 해제
1. 저자 한용운(韓龍雲)에 대하여 = 9
2. 저술의 시대 상황적 배경 :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 = 12
3.『조선불교유신론』의 내용 = 14
4. 만해의 사상적 배경 : 량치차오(梁啓超)와 사회진화론 = 17
Ⅱ장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역주(譯註)
1. 서(序) = 21
2. 서론(緖論) = 23
3. 불교의 성질을 논함(論佛敎之性質) = 29
4. 불교의 주의(主義)를 논함(論佛敎之主義) = 55
5. 불교의 유신(維新)은 먼저 파괴부터 해야 함을 논함(論佛敎之維新宜先破壞) = 64
6. 승려의 교육을 논함(論僧侶之敎育) = 68
7. 참선을 논함(論參禪) = 84
8. 염불당 폐지를 논함(論廢念佛堂) = 95
9. 포교를 논함(論布敎) = 106
10. 사원의 위치를 논함(論寺院位置) = 120
11. 불가(佛家)에서 숭배하는 소회(塑繪)를 논함(論佛家崇拜之塑繪) = 143
12. 불가(佛家)의 각종 의식을 논함(論佛家之各種儀式) = 161
13. 승려의 인권회복은 반드시 생산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임을 논함(論僧侶之克復人權必自生利始) = 169
14. 불교의 앞날이 승니(僧尼)의 결혼여부와 관련됨을 논함(論佛敎之前途가 關於僧尼嫁娶與否者) = 182
15. 사원 주직(住職)의 선거법을 논함(論寺院住職選擧法) = 206
16. 승려의 단결을 논함(論僧侶之團體) = 212
17. 사원의 통할을 논함(論寺院統轄) = 232
18. 결론(結論) = 238
Ⅲ장『조선불교유신론』의 번역과 그 연구 - 만해학(萬海學)의 ''빛과 그림자'' -
1.『조선불교유신론』새 번역의 필요성 = 245
2.『조선불교유신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248
3. 만해의 일본행과『조선불교유신론』의 관계 = 251
4. 본 번역본에 대하여 = 259
『조선불교유신론』 영인본/별면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