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전언(前言) = 1
서론 = 9
1. 중국 지주제 경제의 기본 특징 = 9
2. 지주제 경제의 변화 발전과 봉건사회의 역사적 시기구분 문제 = 14
3. 각 시기 종법종족제의 변화 발전에 대한 문제 = 20
4. 각 시기 반봉건 농민운동의 문제 = 24
5. 생산에 대한 농민의 적극성 및 사회발전의 원동력에 대한 문제 = 29
...
더보기
목차 전체
전언(前言) = 1
서론 = 9
1. 중국 지주제 경제의 기본 특징 = 9
2. 지주제 경제의 변화 발전과 봉건사회의 역사적 시기구분 문제 = 14
3. 각 시기 종법종족제의 변화 발전에 대한 문제 = 20
4. 각 시기 반봉건 농민운동의 문제 = 24
5. 생산에 대한 농민의 적극성 및 사회발전의 원동력에 대한 문제 = 29
6. 상품경제와 지주제 경제의 밀착관계에 대한 문제 = 33
7. 지주제 경제와 고용관계의 변화 및 농업자본주의 맹아에 대한 문제 = 39
8. 봉건사회의 장기지속문제 = 46
9. 이외의 논점 = 49
상편 : 봉건영주제 경제에서 지주제 경제로의 이행
제1장 서주(西周) 영주제 경제의 발전 = 55
제1절 고대 사회성격 논증의 기준으로서의 경제관계 = 55
제2절 영주 경제의 발전 = 58
1. 개별 농가 경제의 봉건성 = 58
2. 조법의 봉건성 - 노동지대의 반영 = 63
3. 생산노동자의 사회적 지위에 나타난 봉건성 = 68
제3절 신분적 정치구조ㆍ전형적 종법제와 봉건영주제의 관계 = 73
제2장 동주(東周)시기 봉건 영주제에서 지주제 경제로의 이행 = 79
제1절 과도적 발전과정 = 79
제2절 과도기 토지소유관계의 변화 = 85
1. 토지사유제의 발전 = 85
2. 구귀족(舊貴族) 유형 지주의 발전과 쇠퇴 = 88
3. 신흥 관료군공유형(官僚軍功類型) 지주의 흥기와 발전 = 94
4. 자영농[自耕農]의 발전과 서민지주의 맹아 = 98
제3절 과도기 신분ㆍ계급 관계의 변화 및 개별 농민 경제의 독립성 증가 = 102
1. 귀천 신분관계의 약화 = 102
2. 계급 모순의 심화와 개별 농가경제의 독립성 강화 = 108
하편 : 지주제 경제의 발전과 변화
제3장 지주제 경제의 초보적 발전과 퇴보(진ㆍ한∼남북조) = 121
제1절 진∼서한시기 지주제 경제의 정상적인 발전 = 121
1.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한 농민소유제 = 123
2. 권귀지주(權貴地主)의 토지 겸병과 서민지주의 발전 = 127
3. 농민호(農民戶) 및 권귀호족지주(權貴豪族地主)에 대한 국가의 엄격한 통제 = 134
4. 여러 농민들의 사회 지위 : 자유로운 신분과 신분관계의 약화 = 138
5. 농민 경제의 개선과 시장과의 밀착 = 143
제2절 동한에서 삼국에 이르는 시기 지주제 경제의 기형적 발전과정 = 152
1. 서한 중ㆍ후기 토지소유관계의 변화 = 152
2. 권귀호족지주의 토지겸병 = 155
3. 토지소유권과 정치권력의 밀착, 권귀지주의 지방권력 장악 = 164
4. 봉건적 신분관계의 심화와 농민의 사회적 지위 하락 = 170
5. 간략한 결론 = 176
제3절 양진남북조시기 기형적 지주제 경제의 전형화 = 178
1. 시대적 특징을 가진 정치체제와 종법종족제 = 178
2. 세족ㆍ강종 대지주의 발전 = 188
3. 사회적 신분관계의 심화와 농민의 예속화 = 202
제4절 결론 = 222
제4장 기형적 상태에서 벗어나 정상화 된 지주제 경제(수ㆍ당시기) = 235
제1절 수에서 당전기, 세족지주에서 서족지주제로의 이행 = 235
1. 수 문제(文帝)에서 당 태종(太宗)시기 구세족 억압정책의 시행 = 235
2. 무조집권기 신ㆍ구 문벌 귀족에 대한 억압정책의 강화 = 238
3. 세족지주제에서 서족지주제로의 이행 = 240
제2절 세제개혁을 통해 구현된 지주제 경제의 정상화 = 243
1. 수ㆍ당 균전제와 농민의 차등적 토지 소유 = 243
2. 가혹한 조용조 징세와 농민의 도망 = 247
3. 당 중기 조용조제도에서 양세법으로의 이행 = 250
제3절 토지매매에서 확인된 서족지주의 발전과 지주제 경제의 정상화 = 254
1. 빈번한 토지매매와 토지겸병 = 254
2. 각종 서족지주의 발전 = 258
제4절 농민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대한 지주제 경제의 영향 = 263
1. 조전농(租田農)의 확대와 사회적 지위 상승 = 263
2. 자영농의 상대적 감소와 자유로워진 신분제 = 268
제5절 결론 = 274
제5장 지주제 경제의 진일보한 발전(양송시기) = 285
제1절 지주제 경제발전을 촉진한 북송의 정책 = 285
1. 농민의 토지소유권 보호 = 286
2. 경감된 농민의 부역 부담 = 290
제2절 북송시기 농민계급구성의 변화 및 자영농의 확대 = 297
1. 자영농 계층의 점진적 확대 = 297
2. 각종 민호 가운데 자영농이 차지하는 비중 = 299
3. 자영농의 토지소유 규모 = 303
제3절 북송시기 지주계급 구성의 변화와 서민지주의 발전 = 308
1. 토지 소유의 기본적 상황과 토지의 겸병 집중에 대한 논의 = 308
2. 권귀ㆍ강종지주의 지속과 사원지주의 확대 = 309
3. 서민지주와 상인지주의 발전 = 312
제4절 남송시기 봉건적 토지소유관계의 역전 = 317
1. 권귀관료형지주의 세력 확장과 토지 겸병 = 318
2. 농민 소토지소유제의 위축 = 326
제5절 농민계급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관계의 변화 = 334
1. 북송시기 비교적 자유로워진 자영농 = 335
2. 북송시기 조전(租佃)관계의 변화 = 338
3. 남송시기 봉건적 신분관계의 강화와 농민계급의 저항 = 347
제6장 지주제 경제의 역전(원) = 363
제1절 특권지주의 권익을 옹호한 몽고ㆍ한족 권귀의 연합정치체제 = 363
제2절 권귀관료와 사원 등 특권지주의 확대 = 364
1. 신흥 권귀관료지주의 형성 = 364
2. 특권을 가진 사원지주의 팽창 = 368
3. 남부의 구권세강종지주의 지속 = 370
제3절 특권적 지주의 침탈과 부역제의 문란 = 372
1. 지주계급의 이익을 보호하는 부역제 = 372
2. 지주의 토지세 은닉과 경리(經理)개혁정책의 실패 = 376
제4절 농민계급의 사회적 지위 하락과 신분적 예속관계의 강화 = 379
1. 농민계급의 사회적 지위 하락을 초래한 특권지주의 성장 = 379
2. 자영농의 사회적 지위 하락 = 381
3. 더욱 많은 신분적 자유를 상실한 조전농(租田農) = 382
제7장 토지소유관계의 해체와 자본주의 맹아, 지주제 경제의 고도발전(명ㆍ청시기) = 393
제1절 명ㆍ청시기 토지소유 양상의 변화 = 394
1. 국유토지의 감소 = 394
2. 지주계급의 토지 겸병 = 411
3. 토지 지분소유제[股份所有制]의 발전과 토지 소유권의 분할 = 415
4. 민전에서 지주계급과 농민계급의 소유지 증감 = 449
제2절 토지매매의 자유화 추세 = 488
1. 규제가 풀린 토지매매 및 친척과 이웃에게 먼저 판매하던 관습의 해체 = 488
2. 토지매매에 나타난 종법종족관계의 해체 = 492
3. 토지상품화의 심화 = 502
제3절 부역제도개혁과 봉건적 관계의 약화 = 518
1. ''일조편법''과 ''탄정입지''의 출현 = 518
2. 시장경제 발전을 촉진한 부역제도의 개혁 = 526
3. 신분적 예속관계의 해체를 촉진한 부역제도의 개혁 = 533
제4절 서민지주의 발전 = 534
1. 진신(縉紳)지주의 쇠락 = 535
2. 서민지주의 발전 = 540
3. 서민지주의 발전이 사회변화에 미친 영향 = 550
제5절 민전지주와 생산노동자의 상호관계 및 지대형태의 변화 = 556
1. 민전지주와 생산노동자의 상호관계 변화 = 557
2. 조전제도의 변화 = 593
3. 일전다주제(一田多主制) 아래 경영관계의 변화 = 621
제6절 자본주의 맹아의 발생에 대하여 = 626
1. 자본주의 맹아의 표식은 무엇으로 삼을 것인가? = 629
2. 자본주의 맹아 발생의 과정과 발전경로 = 635
3. 자본주의 맹아가 발생했으나 발전하지 못한 원인에 대한 탐색 = 641
후기 = 676
찾아보기 = 67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