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이 책이 만들어지기까지 = 5
일러두기 = 7
1부 번역문화의 도래 = 11
시대상황을 생각한다 = 12
일본의 행운 = 15
양이론의 극적인 전환 = 20
근대저군대와 기술관료의 출현 = 24
막번제 국가와 영토의식 = 26
에도 시대의 번역론 = 30
중국어를외국어로 의식하다 = 35
비교의 관점 = 38
...
더보기
목차 전체
이 책이 만들어지기까지 = 5
일러두기 = 7
1부 번역문화의 도래 = 11
시대상황을 생각한다 = 12
일본의 행운 = 15
양이론의 극적인 전환 = 20
근대저군대와 기술관료의 출현 = 24
막번제 국가와 영토의식 = 26
에도 시대의 번역론 = 30
중국어를외국어로 의식하다 = 35
비교의 관점 = 38
소라이에서 노리나가로 = 41
왜 번역주의를 택했나? = 48
번역과 급진주의 = 53
『역서독법』에 대하여 = 57
2부 무엇을 어떻게 번역했나 = 65
왜 역사책이 많이 번역되었을까? = 66
역사를 중시한 것은 일본 유교의 특성일까? = 70
널리 애독된 역사책 = 73
유학이 도덕의 체계가 된 과정 = 76
''인''에서 ''인·의·예·지·신''으로 = 80
논리 용어와 그 어법 = 82
''개인''과 ''인민'' = 88
''만약''과 인과론 = 91
''논리''를 파고드는 자세 = 97
조어(造語)를 둘러싸고 = 101
번역어의 문제점 = 106
라틴어·그리스어에 대한 지식은 있었을까? = 108
3부 만국공법의 이모저모 = 113
막부 말기의 슈퍼 베스트셀러 = 114
영어·중국어·일본어를 대조하다 = 124
전통적인 용어는 어떻게 번역했을까? = 126
법의식의 문제 = 132
''국체''(國體)라는 말 = 135
번역하지 않는 것 = 139
4부 사회·문화에 끼친 영향 = 145
무엇을 번역했을까 = 146
왜 화학에 관심을 가졌을까? = 148
진화론의 수용 = 150
세계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 152
후쿠자와 유키치의 과학관 = 155
지식인에게 영향을 끼친 번역서 = 160
원서의 질 문제 = 162
후진국의 조숙성 = 164
번역에 적극 참여한 메이지 정부 = 166
문명 개화 : 민심과 정부 = 170
지은이 후기 / 가토 슈이치 = 177
옮긴이 주 = 181
옮긴이의 말 = 219
찾아보기(인명·서명) = 22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