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1부_통사: 전통의 성숙과 새로운 시대로의 항해
(14~19세기 전반)
1장 14세기 동아시아의 정치 변동
왕조교체, 정권교체의 파도
원에서 명으로|강남의 경제력과 북경 천도|조선 왕조와 무로마치 막부
주자학 이념에 기반한 국가체제
주자학의 새로움|과거 관료제와 사대부|한국과 일본의 주자학 수용과 비수용
동아시아 국...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1부_통사: 전통의 성숙과 새로운 시대로의 항해
(14~19세기 전반)
1장 14세기 동아시아의 정치 변동
왕조교체, 정권교체의 파도
원에서 명으로|강남의 경제력과 북경 천도|조선 왕조와 무로마치 막부
주자학 이념에 기반한 국가체제
주자학의 새로움|과거 관료제와 사대부|한국과 일본의 주자학 수용과 비수용
동아시아 국제 교역 체제
조공 체제의 재확립|정화의 남해 원정|북방 지역의 동정
류큐 왕국의 성립과 번영
2장 생산·생활 혁명
집약도작의 보급
동아시아 도작의 특징|중국의 집약도작 확립 과정|한국과 일본의 집약도작의 길
생활혁명과 문화교류의 양상
옷감 혁명|전통적 생활양식의 성립|문화교류의 여러 양상
3장 16세기 유동하는 동아시아
유럽 세력의 등장과 은의 비등
조선과 일본의 은|포르투갈의 동아시아 무역 참여|아메리카 대륙의 은과 스페인
동아시아 사회의 유동화
16세기 명의 화폐경제와 양명학|조선 사회의 계층화 현상|일본의 센고쿠 시대
도요토미 정권의 조선 침략과 동아시아
왜구와 도요토미 정권|임진·정유왜란=분로쿠·게이초의 역=만력조선역
동아시아의 구조 변동
4장 17세기 해금의 시대로
화이변태
만주족의 대두|명·청 교체와 동아시아의 변동|화기와 동아시아 대변동
화이변태
동아시아 삼국의 국가체제
국가 틀의 강화|국경의 획정|다민족 국가로서의 중국
경제적 아우타르키
청의 무역 체제|청의 조공 체제|조일 국교 회복과 조선통신사
도쿠가와 정권의 네 개의 창구|자급자족적 경제 체제|문화적 교류의 심화
5장 전통사회의 성숙
사대부, 양반, 무사
사대부와 양반|도쿠가와 일본의 무사|동아시아 전통사회의 특질
종족, 문중, 이에
부계 혈연 원리의 강화|가족·친족 결합의 확산
도시와 농촌
인구 동태|촌락의 변모|도시의 발전|화폐제도와 화폐경제의 침투
새로운 사상의 영위와 문화 기반의 확대
주자학의 지배와 그에 대한 비판|천주교와 서학의 영향
새로운 사상 조류와 문제점|문화기반의 확대
류큐와 베트남의 ‘중국화’
류큐와 베트남의 위치|일본 지배하의 류큐와 ‘중국화’|베트남의 동아시아화?
6장 변화의 징조와 근대로의 전망
사회 불안의 증대와 민중 반란
백련교의 반란과 지방 세력|천변지이와 민중 반란
살며시 다가오는 서양
근대로의 전망
2부_주제사: 동아시아의 새로운 이해
1장 동아시아 연구사
동아시아 연구의 특수한 위치
한국 연구 - 내재적 발전론의 함정
일본 연구 - 이데올로기로서의 일본 봉건제론
중국 연구 - 전제국가론
2장 정치 이노베이션
중국의 정치 이노베이션: 집권적 국가체제와 주자학 이데올로기
정치 이노베이션을 파악하는 틀|과거제도의 확립과 집권적 국가체제
주자학의 탄생과 명대 국가교학의 확립
한국과 일본의 정치 이노베이션
역사적 전개|한국의 정치 이노베이션|중국과 조선의 과거제도 비교
중국의 서리와 조선의 향리|일본의 막번체제와 이노베이션의 한계
조선과 일본의 유교 수용 비교 : 『소학』 수용을 중심으로
3장 동아시아 족보 비교
신분제와 가족?친족 조직의 결절점, 족보
중국에서의 족보 편찬과 그 의미|동아시아 각 지역의 족보|조선의 족보
4장 동아시아 경제혁명과 집약도작
동아시아 집약도작의 위치
농업생산력의 파악 방법|현대 세계의 농업과 동아시아의 위치|도작의 여러 형태
중국의 집약도작 확립
화북의 전작에서 강남의 도작으로|화북 건지농법의 유산|명대 이후의 델타 개발
조선·일본으로의 집약도작 전파
조선의 전작형 도작의 전통과 극복|일본의 대개발과 도작사회화
전작에 대한 평가
동아시아의 농서
동아시아 농서의 원천으로서 중국 농서|관찬 농서 중심의 한국 농서
농서의 후발 주자 일본
5장 한반도의 도작 전개
15세기의 도작법과 『농사직설』
도작 전개의 역사 연구와 그 현황|15세기의 수전과 한전 비율
조선 최고의 농서, 『농사직설』|직파법 주체의 도작|건경법와 묘종법
『농가월령』의 도작법
고상안과 『농가월령』의 무대|묘종법의 위험 회피책|시비 기술의 발전
묘종법의 보급-17세기 이후
『농가월령』 도작법의 전국화|『산림경제』와 묘종법의 전국 확산
묘종법의 우월함과 ‘번답’ 현상
근대로의 전망: 건전직파법의 재평가
6장 소농사회의 형성과 국가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국가의 토지 파악 전통
한국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신라·고려 시대의 토지 파악|조선 전기 국가의 토지 파악|전환기로서 16세기
17세기 양전 방식의 변화|특권적 토지 소유의 해체
중국과 일본의 토지 파악 방식의 변화
중국의 토지 파악 방식|일본의 토지 파악 방식|결부·세무·석고
국가 토지 파악의 새로운 단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