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6
중국의 시대 구분 = 14
일러두기 = 16
1 서론(Introduction) = 17
중국이란 무엇인가 = 25
중국성에 대한 접근법들 = 29
전제적인 통치 형태 = 36
유교 = 40
유형학적 접근법 대 행위자 기반의 접근법 = 49
서사성 = 57
이야기 꿰미들 = 60
2 계몽된 관습...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6
중국의 시대 구분 = 14
일러두기 = 16
1 서론(Introduction) = 17
중국이란 무엇인가 = 25
중국성에 대한 접근법들 = 29
전제적인 통치 형태 = 36
유교 = 40
유형학적 접근법 대 행위자 기반의 접근법 = 49
서사성 = 57
이야기 꿰미들 = 60
2 계몽된 관습 공동체(Enlightened Customary Community) = 67
공자와 전통 = 72
공자의 전통관에 대한 기존 견해 = 74
''재현'' 개념과 공자의 비전 = 75
역사적 맥락 = 79
상나라 이데올로기와 그 해체 = 84
주나라의 천명 개념 = 86
서주 정치질서의 해체 = 88
신정정치 조직에서 계몽된 관습 공동체로 = 90
미시성의 정치 = 97
미셸 푸코의 미시성 = 98
미셸 드 세르토의 미시성 = 101
제임스 스콧의 미시성 = 102
예의 미시적 차원 = 105
무위와 미시성의 정치 = 108
해석 공동체와 예술적 차원 = 113
예와 인식 주체 = 118
술이부작의 재검토 = 120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 124
예와 정서 주체 = 132
정치 엘리트 = 135
권과 시중 = 139
작은 국가 = 145
3 정치 사회(Political Society) = 155
정치 사회의 개념 = 159
경쟁하는 비전들 = 162
묵자 = 164
순자 = 174
노자 = 180
한비자 = 186
양주 = 191
맹자 = 194
장자 = 217
4 국가(The State) = 229
제국의 형성과 궤적 = 235
한ㆍ당 제국 = 239
명ㆍ청 제국 = 246
후기 국가 성격과 지배층 = 251
사회경제사적 접근 = 253
지방사회론적 접근 = 262
국가론과 정치사상 = 268
대외 관계 = 271
흉노와 중국의 정체성 = 277
상앙의 개혁론 = 281
가의의 대안 = 285
황로 사상 = 287
염철론 = 292
5 귀족 사회(Aristocratic Society) = 301
새로운 역사적 조건들 = 307
당나라 질서 = 310
코즈모폴리턴 중국성 = 310
초월적 황제 = 311
종교적 관용 = 313
개방적 관료제 = 315
법적 체제 = 316
국가와 귀족의 공생 = 317
당나라 질서의 쇠퇴 = 320
정치 이데올로기로서 수동적 순응성 = 324
무위의 이상 = 327
귀족 = 329
불교 = 331
한유와 고문운동 = 338
『앵앵전』 = 343
사람 대 자아 = 350
6 형이상학 공화국(The Metaphysical Republic) = 353
북송의 성립과 새로운 정치적 환경 = 357
북송 엘리트의 등장 = 360
왕안석의 신법 = 364
왕안석의 반대편에 선 소식 = 371
「적벽부」의 독해 = 375
소식 사상에서 주체의 의미 = 388
남송의 성립과 중국 정체성 = 396
남송 엘리트의 등장 = 401
도학의 자아관 = 408
부분과 전체 = 414
도학자의「불인인지심」장 해석 = 419
담약수와 증패의 대화 = 426
형이상학 공화국 = 434
도학적 집단행동의 논리 = 438
7 혼일천하(The Greater Integrated World) = 447
조공체제 = 456
몽골 지배에 대한 여러 반응 = 466
야율초재의 제안 = 467
조창운과 조맹부 = 474
마치원의 중화질서 재해석 = 483
왕소군 이야기 = 486
『한궁추』에 담긴 정치사상 = 489
8 독재(Autocracy) = 503
중국사 속의 황제권 = 512
명나라 전제주의에 대한 접근법 = 518
대안적인 접근 = 524
『근사록』의 해석 = 531
왕정상의 군주론 = 536
왕정상의「불인인지심」장 해석 = 545
9 시민사회 혹은 정체?(Civil Society or Body Politic?) = 551
영어권 학계의 중국 시민사회 논쟁 = 554
중국 시민사회론의 반론들 = 563
결사체에서 친족 조직으로 = 568
팔조목에 대한 접근법들 = 576
정치 언어와 도식으로서 팔조목 = 580
군주를 위한 귀감서 = 585
보통 사람을 위한 귀감서 : 왕양명의 정치사상 = 589
왕양명의 ''외부 세계'' 재정의 = 593
지행합일 = 600
왕양명의 양지론 = 604
왕양명의 행위 이론 = 609
왕양명 사상과 전제국가론의 관계 = 614
10 제국(Empire) = 619
청나라 전제국가론 재고 = 624
청나라 통치자들의 정치적 정체성 = 629
옹정제의 비공식 초상화 = 635
건륭제의 비공식 초상화 = 638
청나라의 통일성 = 646
청대 지적 운동, 고증학 = 648
좋은 통치와 지방의 독자성 = 653
중국 맥락에서의 서양화 = 660
중체서용론 = 663
장지동 중체서용론의 논리 = 669
옌푸의 비판 = 671
담사동의 도기론 = 678
도기론의 역사적 이해 = 679
담사동 도기론의 논리 = 685
담사동 도기론의 기존 질서 비판 = 693
마오쩌둥주의 = 700
11 보다 넓은 맥락에서의 중국(China in Larger Contexts) = 705
조기 근대 동아시아 : 쟁점화된 중심성 = 709
조선 중화주의 담론 = 712
중화의 국적성과 종족성에 대한 기존 입장 = 716
중화의 초국적성/초종족성 = 722
픽션으로서의 중화 = 724
근대성에 대하여 = 734
파워 이론 = 737
국가 전략으로서의 중화 = 741
근대 동아시아의 중화 = 743
대한제국과 일본 = 750
글을 마치며 : 현대 세계의 중화 = 755
본문의 주 = 761
참고문헌 = 841
찾아보기 = 86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