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글을 엮어 내며 = 13
1부 북한 고고학의 형성 과정 시론
구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 25
Ⅰ. 머리말 = 25
Ⅱ. 해방 이후∼1950년대 = 26
Ⅲ. 1960년대 초 : 구석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 31
Ⅳ. 맺음말 = 38
신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 ...
더보기
목차 전체
글을 엮어 내며 = 13
1부 북한 고고학의 형성 과정 시론
구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 25
Ⅰ. 머리말 = 25
Ⅱ. 해방 이후∼1950년대 = 26
Ⅲ. 1960년대 초 : 구석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 31
Ⅳ. 맺음말 = 38
신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 43
Ⅰ. 머리말 = 43
Ⅱ. 해방 이후∼1956년 : 고고학적 인식의 한계 = 44
Ⅲ. 1957년 : 신석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 48
Ⅳ. 1960년대 초의 학계 동향 = 63
Ⅴ. 맺음말 = 67
청동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 73
Ⅰ. 머리말 = 73
Ⅱ. 해방 이후∼1956년 : 고고학적 인식의 한계 = 74
Ⅲ. 1957년 : 청동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 80
Ⅳ. 1960년대 초의 학계 동향 = 95
Ⅴ. 자연 유물 연구 = 110
Ⅵ. 맺음말 = 122
고조선 고고학의 형성 과정 - 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 132
Ⅰ. 머리말 = 132
Ⅱ. 해방 이후∼1950년대 중반의 학계 동향 = 133
Ⅲ. 고조선 고고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 138
Ⅳ. 맺음말 = 161
종합 검토 : 북한 고고학의 형성기 설정과 관련하여 = 184
2부 연구 동향, 연구사
북한 고고학계의 구석기시대 연구 동향 - 제4기의 연구와 구석기시대의 시대 구분을 중심으로 = 201
Ⅰ. 문제의 제기 = 201
Ⅱ. 구석기시대 유적의 조사 = 203
Ⅲ. 제4기의 연구 = 206
Ⅳ.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 = 211
Ⅴ. 맺음말 = 216
선사시대의 존재 양태와 겨레의 기원 문제 = 221
Ⅰ. 시대 구분의 체계와 그 배경의 검토 = 221
Ⅱ. 겨레의 기원 문제 = 230
초기(1945∼1950년)의 북한 고고학 = 233
Ⅰ. 머리말 = 233
Ⅱ. 문화재 관계 법령의 제정 = 234
Ⅲ. 유적 조사와 발굴 = 236
Ⅳ. 학술지(『문화유물』) 간행 = 238
Ⅴ. 한흥수와 도유호 = 241
Ⅵ. 맺음말 = 248
북한의 구석기문화 연구 30년 = 252
Ⅰ. 머리말 = 252
Ⅱ. 1960년대의 연구 = 254
Ⅲ. 1970년대의 연구 = 258
Ⅳ. 1980년대의 연구 = 264
Ⅴ. 1990년대 초반의 연구 = 270
Ⅵ. 맺음말 = 276
최근 북한의 청동기시대 연구 동향 = 278
Ⅰ. 머리말 = 278
Ⅱ. 무덤 = 280
Ⅲ. 성터 = 289
Ⅳ. 집자리 = 294
Ⅴ. 앞날의 과제와 전망 = 300
Ⅵ. 맺음말 = 305
195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311
Ⅰ. 머리말 = 311
Ⅱ. 당시 북한 사회와 고고학계의 동향 = 312
Ⅲ. 원시문화의 연구와 시대 구분 = 318
Ⅳ. 초기 금속문화와 고조선 = 327
Ⅴ. 고구려 = 330
Ⅵ. 맺음말 = 333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 339
Ⅰ. 머리말 = 339
Ⅱ. 당시 북한 사회와 고고학계의 동향 = 341
Ⅲ. 원시문화의 연구와 계승성 문제 = 345
Ⅳ. 청동기시대와 고조선 = 353
Ⅴ. 고구려 = 363
Ⅵ. 맺음말 = 367
한국의 선사시대에 대한 북한 고고학계의 동향과 시각 -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 374
Ⅰ. 머리말 = 374
Ⅱ. 구석기시대 = 375
Ⅲ. 신석기시대 = 379
Ⅳ. 민족의 기원 문제 = 384
Ⅴ. 맺음말 = 386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 388
Ⅰ. 머리말 = 388
Ⅱ. 북한 고고학계의 시기 구분 = 389
Ⅲ. 시기 구분론의 검토와 과제 = 403
Ⅳ. 맺음말 = 418
북한 고고학에서 보는 요서 지역의 신석기문화 = 424
Ⅰ. 머리말 = 424
Ⅱ. 1960년대∼1980대 = 425
Ⅲ. 1990년대 이후 = 428
Ⅳ. 맺음말 = 433
3부 구석기시대 유적, 유물
굴포리 구석기 유적을 다시 논함 = 437
Ⅰ. 문제의 제기 = 437
Ⅱ. 발굴과 층위 = 439
Ⅲ. 석기의 분석 = 444
Ⅳ. 유적의 연대 = 448
Ⅴ. 맺음말 = 452
용곡 동굴유적을 다시 논함 = 455
Ⅰ. 문제의 제기 = 455
Ⅱ. 발굴과 층위 = 457
Ⅲ. 사람 화석 = 461
Ⅳ. 동물 화석 = 462
Ⅴ. 홀씨와 꽃가루 = 465
Ⅵ. 문화 유물 = 467
Ⅶ. 맺음말 = 471
용곡 제1호 동굴유적의 시기 구분과 문제점 = 477
Ⅰ. 문제의 제기 = 477
Ⅱ. 유적에 대한 몇몇 견해의 검토 = 478
Ⅲ. 퇴적층의 형성 시기 = 482
Ⅳ. 동식물 화석과 시기 구분 = 487
Ⅴ. 글을 맺으며 = 490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 494
Ⅰ. 문제의 제기 = 494
Ⅱ. 한데유적의 검토 = 496
Ⅲ. 동굴유적의 검토 = 501
Ⅳ. 맺음말 = 510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 513
Ⅰ. 머리말 = 513
Ⅱ. 유적 개관 = 514
Ⅲ. 석기의 제작 수법과 분류 = 529
Ⅳ. 맺음말 = 540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용어 고찰 = 544
Ⅰ. 머리말 = 544
Ⅱ. 제작 수법에 관한 용어 = 545
Ⅲ. 석기 분류에 관한 용어 = 550
Ⅳ. 맺음말 = 555
황해도 지역의 구석기 유적 = 562
Ⅰ. 머리말 = 562
Ⅱ. 평산 해상 동굴유적 = 564
Ⅲ. 황주 청파대 동굴유적 = 566
Ⅳ. 태탄 냉정 동굴유적 = 574
Ⅴ. 종합 고찰 = 578
Ⅵ. 맺음말 = 582
찾아보기(유적 지명) = 58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