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 책머리에 : 농업대국 중국에서 향촌사회의 중요성
제1장 신해혁명 전후의 향촌사회 변동
1. 향신과 청나라 말기 민란 : 향신과 향민 충돌의 역사 추세 및 시대 원인
1) 민란이라는 격랑 속 향신과 향민의 충돌
2) 민란 속의 사족과 향신:라이양 민란에서 창사 민란까지
3) 청나라 말기 신정과 향신권력의 체제화
4) 향신과 향민 관계:...
더보기
목차 전체
■ 책머리에 : 농업대국 중국에서 향촌사회의 중요성
제1장 신해혁명 전후의 향촌사회 변동
1. 향신과 청나라 말기 민란 : 향신과 향민 충돌의 역사 추세 및 시대 원인
1) 민란이라는 격랑 속 향신과 향민의 충돌
2) 민란 속의 사족과 향신:라이양 민란에서 창사 민란까지
3) 청나라 말기 신정과 향신권력의 체제화
4) 향신과 향민 관계:신분 차이에서 이익 충돌에 이르기까지
2. 신해혁명과 향촌 공공재산 : 후난(湖南)·후베이(湖北)를 중심으로
1) 공공재산 운영의 역사적 발자취
2) 공공재산 운영의 체제 요인
3) 공공재산 기능 변화의 현실적 효과
4) 권력 재편과 공공재산 관리
제2장 향촌제도의 교체와 향촌사회 변천
1. 향촌제도의 재구성 : 자치에서 보갑에 이르기까지
1) 제도 변혁과 보갑의 폐지
2) 보갑제의 부흥
3) 자치를 본체로, 보갑을 응용으로
4) 전통과 현대의 이중 곤경
2. 진쑤이 변구의 토지 관계와 사회구조 변동: 1930~40년대 향촌사회 변동의 개별 사례 분석
1) 향촌 사회구조 상황
2) 토지개혁의 세 가지 유형
3) 계급 구분과 ‘좌경’ 영향
4) 향촌 토지개혁의 역사적 교훈
제3장 현대화 발전 과정에서의 향촌사회 변천
1. 근대 중국의 도시화와 현대화 발전 과정
1) 근대 중국의 도시화와 근대화의 발생
2) 산업화와 도시화의 급속한 발전
3) 20세기 전기 경제형태의 새로운 발전
2. 향촌교육 현대화의 역사적 과오 : 서당과 신식학당
1) 문제 제기
2) 촌민 시각으로 본 서당과 학당
3) 향촌 교육개혁의 역사적 과오
제4장 향촌 사회구조와 사회계층의 역사적 변동
1. 20세기 전기의 향촌 고공(雇工):산시성 향촌을 중심으로
1) 향촌 고공 개황
2) 향촌 고용 관계 분석
3) 임금과 식사 제공:고공의 수익 문제
4) 사회계층에서의 고공
2. 부농층의 사회 이동:1930~40년대 화베이 향촌을 중심으로
1) 부농층의 세대 내 이동 추세
2) 부농층의 세대 간 이동 상황
3) 부농층 사회 이동의 특징과 유형
4) 부농의 역사적 운명:역사에 대한 경험적 사고
3. 지주 개념의 역사적 전환:물권 개념에서 계급 개념까지
1) 전주(田主)와 업주
2) ‘대혁명’ 시기의 지주
3) 계급혁명 환경에서의 지주
4) 현대 역사의 구축
제5장 향촌 권력구조의 역사적 변천
1. 청말민초의 향신권력 변천:사신(士紳)에서 권신(權紳)으로
1) ‘사민의 으뜸’에서 ‘악질적이지 않은 향신은 있을 수 없다’에 이르기까지
2) 향신권력 확대에서의 ‘민중 기억’
3) 사회구조 재편에서의 권신(權紳)
4) 이익 요구에서 향신의 궐위
2. 항일전쟁 시기 향촌 권력구조의 역사적 변천:진시베이(晉西北) 근거지를 중심으로
1) 혁명 동원과 향촌 정권 재편
2) 농촌 선거:향촌 정권제도의 개조
3) 노동영웅과 노동모범:향촌 신식 권위의 재편
제6장 1930년대 향촌 위기 및 그 구급책
1. 도농 괴리화 과정에서의 향촌 위기
1) 향촌 위기의 제반 요인 분석
2) 도농 발전의 괴리화 과정
3) 향촌 위기의 시대적 특징
4) 향촌 위기의 심층적 원인
2. 향촌 위기의 변화 발전과 대책
1) 연장과 변이:향촌사회 충돌의 역사적 변화
2) 심층적 원인:도농 일체화 과정의 단절
3) 시대적 특징:‘이중 위기’의 형성
4) 역사적 곤경:각각의 해결책
5) 역사적 성찰
3. 20세기 초기 농업입국론의 형성
1) 농정 정비와 농학 흥기
2) ‘농업·상공업 중시’설
3) ‘농업 근본설’의 제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