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면서 = 4
제1장 시민성과 공간
1. 시민성과 시민권 = 10
2. 소속감과 정체성 = 13
3. 시민성의 구성요소로서 ''공동체''와 ''시민'' = 19
4. 시민성의 유형 = 22
5. 시민성의 공간 = 26
제2장 국가시민성
1. 국가 = 30
2. 국민/민족 = 34
3. 국민국가/민족국가 ...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면서 = 4
제1장 시민성과 공간
1. 시민성과 시민권 = 10
2. 소속감과 정체성 = 13
3. 시민성의 구성요소로서 ''공동체''와 ''시민'' = 19
4. 시민성의 유형 = 22
5. 시민성의 공간 = 26
제2장 국가시민성
1. 국가 = 30
2. 국민/민족 = 34
3. 국민국가/민족국가 = 36
4. 국가시민성/민족정체성 = 37
5. 국가시민성과 제국주의 = 47
6. 국가시민성 함양을 위한 영토교육 = 49
7. 한일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 52
제3장 글로벌 시민성
1. 세계화와 상호의존 = 70
2. 글로컬화와 탈국가적 시민성의 대두 = 71
3. 글로벌 시민성의 의미 탐색 = 77
4. 글로벌 시민성 교육과 지리교육 = 82
5. 글로벌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99
6. 글로벌 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 103
7. 글로벌 차원의 정의를 지원할 지리교육의 방향 = 121
8. 글로벌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수업 방안 = 138
제4장 다문화시민성
1.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 = 160
2. 문화적 다양성과 시민성의 문화적 접근 = 162
3. 새로운 시민성의 공간 등장 : 문화적 시민성 = 164
4.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시민성 = 171
5.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 176
6. 다문화공간 인정을 위한 상호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 = 180
7. 소수자의 편견 및 차별 해소를 위한 반편견교육 = 184
8. 다문화교육의 장소에 대한 비판교육학적 접근 = 194
9.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 = 206
10. 지역 다문화 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 = 220
제5장 생태시민성
1. 전 지구적 환경문제와 대안적 시민성 = 242
2. 환경시민성에서 생태시민성으로 = 243
3. 환경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 248
4. 환경문제와 환경이슈 그리고 생태시민성 = 260
5. 사회적 자연의 지리환경교육적 함의 = 273
6. 동물지리와 지리교육의 관계 : 생태정의와 동물권 = 295
7. 인류세의 지리교육적 함의 = 305
제6장 로컬 시민성
1. 지역화와 로컬 시민성 = 318
2. 능동적 시민과 능동적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 = 321
3. 음식을 매개로 한 로컬 및 능동적 시민성 교육 = 336
4. 공간적 네트워크와 윤리적 시민성 그리고 활동주의 = 348
제7장 다중시민성
1. 관계적 스케일과 다중시민성 = 356
2. 다중시민성이란 무엇인가? = 358
3. 글로컬 시대의 시민성과 지리교육의 방향 = 361
제8장 지리교육과 시민성 교육
1. 지리와 시민성의 관계 탐색 = 366
2. 지리 교과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 372
3. 지리를 통한 시민성 교육의 새로운 방향 = 384
4. 지리교육의 도덕적 전환과 시민성 교육 = 388
5. 비판교육학의 공간적 관심과 지리교육 = 412
6. 사회적 관심 지향 지리교육과 비판교육학 = 429
참고문헌 = 442
찾아보기 = 50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