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제1부 한용운의 근대인식 방법
1장 자유에서 자존으로, 평등에서 평화로 = 17
1. 자기시대를 살아간다는 것 = 17
2. ''진화(進化)''와 ''변화(變化)''의 낙차 = 23
3. ''자유(自由)''와 ''평등(平等)''의 절합 = 32
4. 침묵의 탄생이 의미하는 것 = 44
2장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제1부 한용운의 근대인식 방법
1장 자유에서 자존으로, 평등에서 평화로 = 17
1. 자기시대를 살아간다는 것 = 17
2. ''진화(進化)''와 ''변화(變化)''의 낙차 = 23
3. ''자유(自由)''와 ''평등(平等)''의 절합 = 32
4. 침묵의 탄생이 의미하는 것 = 44
2장 ''문명''과 ''민족''을 통해 본 만해의 근대 이해 = 47
1. 문명의 위계화와 내면화 = 47
2. ''문명화=불교화''라는 전제와 문명의 이상(理想) = 49
3. 민족의 내면화 방식 = 55
4. 본성으로서의 민족과 민중적 민족의 발견 = 58
5. 근대 너머로 가는 길 = 64
3장 한용운의 근대불교 인식과 그 의미 = 66
1. 근대와 불교의 만남 = 66
2. 한용운의 근대불교 인식 = 70
3. 맺음말 = 89
4장 ''사랑''을 통해 본 한용운의 근대인식 = 92
1. 근대적 문화기획과 한용운 = 92
2. 사랑의 근대적 함의 = 95
3. 만해문학에 나타난 ''사랑''과 근대인식 = 101
4. 맺음말 = 119
5장 만해문학과 생명가치의 구현 방식 = 121
1. 생명담론의 지형과 만해 한용운 = 121
2.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극복 = 126
3. 분별지(分別智)를 넘어서 = 131
4. 자비와 정의의 딜레마 = 138
5. 만해문학이 놓인 자리 = 147
6장 한용운의 만주 체험과 그 의미 = 149
1. 연구의 현황과 공백지점 = 149
2. 회고문과 증언 사이의 균열 = 154
3. 소설『1945년 여름』을 통해 본 해방 전후 선학원의 실상 = 165
4. 향후 연구 과제 = 171
제2부 근대 문화지형과 한용운의 위치
1장 만해시와 당대시의 영향관계 = 175
1. 문제 제기 = 175
2. 당대 시단 지형과 시집『님의 침묵』 = 178
3. 만해시와 당대시의 영향관계 = 187
4. 맺음말 = 203
2장 시집『님의 침묵(沈默)』의 창작 동기와 한글체 습득 과정 = 205
1. 선승은 왜 시를 써야 했을까? = 205
2. ''유신(維新)''과 불교대중화의 길 = 208
3. 잡지『유심(惟心)』과 수양주의 = 215
4. 한시 창작과 문학적 자부심 = 219
5. 한글체 습득 과정 = 226
6. 맺음말 = 237
3장 한용운 문학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인식 = 239
1. 반식민주의(反植民主義)와 탈식민주의(脫植民主義) = 239
2. 한용운 사상의 탈식민주의적 성격 = 242
3. 만해문학과 탈식민주의 = 248
4. 나오며 = 263
4장 구세주의와 문화주의 : 만해(萬海)와 육당(六堂) = 265
1. 존재방식 혹은 선택 = 265
2. 육당과의 인연 = 267
3.「기미독립선언서」와 공약삼장 = 269
4. 시집『님의 침묵』과 시조집『백팔번뇌』 = 273
5. 구세주의의 길과 문화주의의 길 = 276
5장 님과 얼, 매운 정신의 만남 : 만해(萬海)와 위당(爲堂) = 278
1. 민족의 매운 기운 = 278
2. 위당의 ''얼''과 만해의 ''유심'' = 281
3. 만해와 위당의 ''님'' = 287
4. 민족의 이름으로 = 292
제3부 한용운을 기억하는 몇 가지 방식
1장 한용운 평전의 과거ㆍ현재ㆍ미래 = 295
1. 평전, 한용운 신화의 진원지 = 295
2. 한용운 평전의 발간 현황 = 302
3. 한용운 평전의 서사전략들 = 307
4. 만해 한용운, 그 인간의 얼굴을 찾아서 = 318
2장 한용운 시의 정전화 과정 = 321
1. 인식의 공백을 찾아서 = 321
2. 문학선집을 통해 본 정전화 과정 = 325
3. 문학사를 통해 본 정전화 과정 = 335
4. 국어교과서 및 문학교재를 통해 본 정전화 과정 = 340
5. 맺음말 = 344
3장 조지훈의 한용운 인식 방법 비판 = 347
1. 만해와 지훈 = 347
2. 순일한 정신과 시인지사론(詩人志士論)의 논리 = 351
3. 민족시의 논리와 시인의 사명 = 361
4. 다른 ''님''을 찾아서 = 370
4장『증보한용운전집』에 수록된 몇 편의 글에 대한 재고 = 373
부록
1. 한용운 연보 = 379
2. 한용운의 작품, 논설, 설문, 인터뷰 목록 = 395
3. 한용운 친필 이력서 = 412
초출일람 = 4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