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며 = 5
제1부 김수영과 번역, 번역과 김수영
제1장 번역과 김수영 문학의 문제성 = 15
제2장 김수영 문학과 번역의 도정 - ''오든 그룹''에서 ''하이데거의 릴케론'', ''반시론''까지 = 23
1. 경험의 ''극화(劇化)''와 ''현대성''의 모색 - 영미 비평의 수용과 시의 효용성에 대한 신뢰 = 23
2...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며 = 5
제1부 김수영과 번역, 번역과 김수영
제1장 번역과 김수영 문학의 문제성 = 15
제2장 김수영 문학과 번역의 도정 - ''오든 그룹''에서 ''하이데거의 릴케론'', ''반시론''까지 = 23
1. 경험의 ''극화(劇化)''와 ''현대성''의 모색 - 영미 비평의 수용과 시의 효용성에 대한 신뢰 = 23
2. 예술가로서의 자기 인식과 ''경험의 전체성''의 발현 양상 - ''바로 보기''의 태도와 이성적 사유의 추구 = 68
3. 실존적 죽음의 인식과 예술적 기투 = 84
4. 심미성의 심화와 생성의 시학 = 131
제3장 김수영 문학에서 번역의 의미 = 302
1. ''새로운'' 감각과 사유의 원천 - ''흥미와 영감을 주는 대상''과 ''연애''하기 = 302
2. ''텍스트''로 말하는 번역 - ''아무도 하지 못한 말'' 하기 = 311
3. 김수영, 번역, 한국 현대지성사 = 322
제4장 김수영의 번역가로서의 의식과 정치성 - 이중어 세대의 반란, ''번역''으로 시쓰기 = 325
1. 번역 풍토의 후진성 비판과 식민성의 인식 = 336
2. 이중어 세대의 자의식과 ''번역으로써의 글쓰기''의 정치성 -「시작노트 6」에 대한 단상 = 345
제2부 김수영 문학과 검열/섹슈얼리티
제1장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기 비하''의 심리학 - ''레드콤플렉스''를 넘어 ''시인''되기 = 363
1. 김수영 문학과 ''자기 비하''의 심리학 = 363
2. 김수영 ''자기 비하'' 시 분석 - 타자 혹은 ''선배 시인''의 존재성 = 368
3. ''레드콤플렉스''의 형성 - 이념에 대한 유토피아적 판타지와 그 좌절 = 373
4. ''시인'' 되기 - ''냉전'' 비판과 떠나지 않는 ''사회주의''라는 유령과의 대결 = 380
5. 이념적 ''타자''를 넘어 = 400
제2장 자본, 노동, 성(性) - ''불온''을 넘어,「반시론」의 반어 = 402
1. 검열과 김수영 = 403
2. 4ㆍ19혁명 - 정치 검열과의 싸움 = 415
3. 자본, 노동, 성(性) - 불온을 넘어,「반시론」의 반어 = 426
4. ''불온''을 넘어, 반검열의 수사학 = 459
제3장 김수영의 전쟁체험과 정치체에 대한 인식의 도정 = 462
1. 수용소의 난민들, 그리고 시인 김수영 = 462
2. ''국민되기''의 곤혹과 대안으로서의 ''자연'' = 466
3. 폭력을 넘어 코뮌적 상상력으로 = 490
4. 김수영의 정치체에 대한 상상이 갖는 의미 = 513
제4장 제3세계로서의 자기 정위(定位)와 ''신성(神聖)''의 발견 - 1960년대 참여시의 정치적 상상력 = 515
1. 들어가는 말 = 515
2. 지식 장(場)의 변동과 ''신성''의 발견 - 제3세계로서의 자기 정위(定位)와 ''신성'' 사회학의 등장 = 521
3. 혁명과 시, 그리고 ''신성성'' = 526
4. 1960년대 시와 신성성의 정치적 함의 = 564
제5장 한국 현대시 연구의 성과와 전망 - ''운명''과 ''혁명'', 왜, 아직도 ''임화''와 ''김수영''인가? = 567
1. 현대시 연구의 소외와 난관 = 567
2. 현대시 연구의 발자취 - ''소외''와 ''고투(孤鬪)''의 과정 = 575
3. 극복의 실마리 - 친일시 연구 그 이후, 김수영, 임화 시 연구의 현재성 = 582
4. 결론을 대신하여 = 595
참고문헌 = 597
출전 = 618
찾아보기 = 61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