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들어가며 = 1
1. 사회-생태계적 접근 = 3
2. 사회-생태계의 지속가능성 = 6
3. 회복탄력성 자원으로서의 전통생태지식 = 8
4. 전통생태지식의 특성 = 12
제2장 시민과학으로서 전통생태지식의 가능성과 과제 = 17
1. 사회-생태계 개념틀로 해석하는 시민과학 = 19
1) 사회-생태계의 다양한 시공간...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들어가며 = 1
1. 사회-생태계적 접근 = 3
2. 사회-생태계의 지속가능성 = 6
3. 회복탄력성 자원으로서의 전통생태지식 = 8
4. 전통생태지식의 특성 = 12
제2장 시민과학으로서 전통생태지식의 가능성과 과제 = 17
1. 사회-생태계 개념틀로 해석하는 시민과학 = 19
1) 사회-생태계의 다양한 시공간 규모 = 21
2) 적응주기와 교란 = 24
2. 보은 개안마을의 물길 복원 사례 = 27
1) 마을숲의 형성 = 28
2) 물길의 인위적 변화 = 29
3) 1980년과 1998년의 큰 홍수 = 29
4) 1999년 물길 복원 사업 = 29
3. 전통생태지식의 시민과학적 요소와 과제 = 31
제3장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교육적 접근을 위한 현장조사 = 35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37
2. 연구 방법 = 41
1) 반구조화된 면담과 사회생태기억 모형의 활용 = 41
2) 참여관찰 = 42
3.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 = 42
1) 제도권 교육 = 42
2) 대안적 삶에 대한 관심 = 43
3) 부모의 영향 = 44
4) 전공의 영향 = 44
4.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전과 후 = 45
1) 경관 요소에 대한 인식의 확장 = 46
2) 경계를 지닌 공간으로서 전통마을 = 49
5. 전통생태지식 연구의 교육적 의의 : 장소성 형성과 관찰의 일상화 = 50
1) 장소성 = 50
2) 일상에서의 관찰 = 51
제4장 정규 수업과정으로서 전통생태지식 교육 = 53
1. 생태학 교과과정의 한계 = 55
1) 생태 교과 이론의 한계와 전통생태지식의 상호 보완적 역할 = 55
2) 실내학습의 한계와 야외학습의 필요성 = 58
2. 전통생태지식 교육을 위한 학습모형 개발 = 60
1) 교과목과 교재 선정 = 61
2) 실내학습 : 역전학습 방식을 통한 생태 지식 습득 = 62
3) 야외학습 : 세대 간 소통을 장려하는 현지조사와 성찰적 글쓰기 = 63
3. 학습모형 적용의 소결과 = 65
1) 실내학습 결과 = 65
2) 야외학습 결과 = 70
3) 개인 답사기 분석결과 = 72
4. 종합적 고찰 = 79
1) 학습모형과 에세이 쓰기를 통한 학습 효과와 생태소양의 고취 = 79
2) 회복탄력성과 학습, 환경교육의 연결 = 81
제5장 전통생태지식 학습모형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 9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95
2. 이론적 배경 = 99
1) 지속가능발전 교육과 문화유산교육 = 99
2) 생태학과 전통생태지식 = 100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02
1) 연구 대상 = 102
2) 연구 절차와 방법 = 102
4. 결과 및 논의 = 106
1) 개인 차원의 학습 효과 = 106
2) 집단적 차원에서의 학습 효과 = 113
5. 문화유산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적 접근 방안의 교육적 의의와 종합적 고찰 = 120
6. 결론 및 제언 = 123
제6장 나가며 = 125
참고문헌 = 1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