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나를 키운 건 팔 할이『논어』 = 8
제1편 학이(學而) : 배움에 대한 ''마인드셋''이 천하를 다스린다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 논어 한 문장으로 인생의 변화가 시작된다 = 24
군자무본(君子務本) : 작은 습관의 경이로운 위력 = 32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 직장 상사의 표정만 살피는 부하를 멀리하라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나를 키운 건 팔 할이『논어』 = 8
제1편 학이(學而) : 배움에 대한 ''마인드셋''이 천하를 다스린다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 논어 한 문장으로 인생의 변화가 시작된다 = 24
군자무본(君子務本) : 작은 습관의 경이로운 위력 = 32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 : 직장 상사의 표정만 살피는 부하를 멀리하라 = 38
오일삼성오신(吾日三省吾身) : 마음을 울리는 세 가지 물음 = 44
경사이신(敬事而信) : 번잡한 마음을 정리하는 청소의 힘 = 52
행유여력, 즉이학문(行有餘力, 則以學文) : 내 자식을 타인처럼, 타인을 내 자식처럼 대하라 = 61
현현역색(賢賢易色) : 외면의 집착을 버리고 내면에 집중하라 = 67
부중즉부위(不重則不威) : 진중함과 위엄이 가진 위력 = 72
신종추원(愼終追遠) : 우주의 무한함, 삶의 유한함을 깨달을 때 마음이 온화해진다 = 79
온, 량, 공, 검, 양(溫, 良, 恭, 儉, 讓) : 평생 지향해도 얻지 못할 공자의 다섯 가지 덕목 = 83
삼년무개어부지도(三年無改於父之道) : 대대로 이어진 가업보다 가훈을 간직하라 = 89
예지용, 화위귀(禮之用, 和爲貴) : 유자의 레시피에서 찾은 일상의 조화로움 = 92
신근어의, 공진어례(信近於義, 恭近於禮) : 소인은 목숨 바쳐 약속을 지키고, 공자는 살아남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 = 96
거무구안(居無求安) : 욕구는 채워질지언정, 욕망은 채워지지 않는다 = 101
빈이락도, 부이호례(貧而樂道, 富而好禮) : 가난해도 비굴하지 말며, 부유해도 교만하지 말라 = 107
불환인지부기지(不患人之不己知) : 나쁜 씨앗을 뿌리고 훌륭한 결실을 바라지 마라 = 113
제2편 위정(爲政) : 북극성처럼 빛나는 리더가 되기 위한 스물 네 가지 이야기
비여북신(譬如北辰) : 북극성처럼 진중하게 빛나는 리더의 덕목 = 118
사무사(思無邪) : 시경에 담긴 순하고 조화로운 마음의 소리 = 124
도지이덕(道之以德) : 강요하지 않아도 규칙을 지키게 만드는 리더의 품격 = 128
삼십이립(三十而立) : 순차적으로 높여가는 인생의 경지 = 133
사지이례(事之以禮) : 효란 자고로, 예법을 어기지 않는 것이다 = 140
부모유기질지우(父母唯其疾之憂) : 효란 자고로, 내 인생을 온전히 책임지는 것이다 = 144
자유문효(子游問孝) : 효란 자고로, 공경하는 마음을 담아 부모를 대하는 것이다 = 149
색난(色難) : 효란 자고로, 웃는 얼굴로 부모를 바라보는 것이다 = 152
회야불우(回也不愚) : 문제 속에서 문제를 찾는 안회의 고찰 = 157
인언수재(人焉瘦哉) : 세 가지로 상대의 인품을 파악하는 공자의 통찰력 = 163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 우리 모두는 누군가의 스승이 된다 = 167
군자불기(君子不器) : 군자의 첫 번째 덕목, 단단함과 유연함을 동시에 갖춘 안티프래질 = 171
선행(先行) : 군자의 두 번째 덕목, 일은 민첩하게 말은 신중하게 = 178
군자주이불비(君子周而不比) : 군자의 세 번째 덕목, 독립적이지만 조화를 이루는 현명한 단결력 = 181
사이불학즉태(思而不學則殆) : 배우되 부지런히 생각하고, 생각하되 배움을 게을리하지 마라 = 184
공호이단(攻乎異端) : 숲을 친구 삼는 장자도, 자연의 순리를 아는 노자도 친구이거늘 = 190
부지위부지(不知爲不知) :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아는 것이 진정한 지식인이다 = 193
자장학간록(子張學干祿) : 승진을 원한다면 말은 신중히, 행동은 후회가 없도록 하라 = 198
거직조저왕(擧直錯諸枉) : 한자 ''들 거(擧)''에서 배우는 인재 선발 방식 = 204
거선이교불능(擧善而敎不能) : 난세일수록 경(敬)과 충(忠)과 권(勸)을 기억하라 = 209
효호유효(孝乎惟孝) : 정치는 권력을 누리는 것이 아닌, 영향력을 펼치는 일이다 = 214
인이무신, 부지기가야(人而無信, 不知其可也) : 외롭다고 느낄 때 신용의 쐐기를 박아라 = 217
수백세가지야(雖百世可知也) : 민족 문화의 자신감으로 미래를 예견한다 = 219
견의불위, 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 마땅히 나서야 할 일에는 칼을 뽑아라 = 222
제3편 팔일(八佾) : 마음이 불안할 때 되돌아보는 예법, 그리고 음악
시가인, 숙불가인(是可忍, 孰不可忍) : 선한 본성의 의지를 막지 말라 = 226
삼가자이〈옹〉철(三家者以『雍』徹) : 권력이 예법을 바꾸지 못하는 법이거늘 = 230
인이불인여례하(人而不仁如禮何) : 마음이 둔한 사람에게 예법은 의미가 없다 = 233
여기사야, 영검(與其奢也, 寧儉) : 예의 근본은 온화하고 자애로운 마음 = 236
이적지유군(夷狄之有君) : 진정한 나라는 통치자가 없어도 예악이 이를 대신할 수 있다 = 239
계씨려어태산(季氏旅於泰山) : 순수하게 공경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조상 앞에 예를 갖춰라 = 242
군자무소쟁(君子無所爭) : 군자답게 경쟁하는 세 가지 원칙 = 247
오하이관지재(吾何以觀之哉) : 리더가 피해야 할 세 가지 그릇된 예절 = 252
오불욕관지의(吾不欲觀之矣) : 실용주의자들의 예식에 대한 공자의 탄식 = 256
혹문체지설(或問禘之說) : 호모 사피엔스를 잇는 제사 지내는 인간 = 259
획죄어천, 무소도야(獲罪於天, 無所禱也) : 염라대왕은 만나기 쉬워도 잡귀는 상대하기 어렵다 = 263
애이불상(哀而不傷) : 순수히 즐거워하고 진솔하게 슬퍼하라 = 268
족, 즉오능징지의(足, 則吾能徵之矣) : 전수하고 지켜야 할 예(禮)와 악(樂) = 272
악기가지야(樂其可知也) : 음악 평론가이자 연주자였던 공자의 음악 사랑 = 275
진선진미(盡善盡美) : 음악을 빗대어 군왕을 비평한 공자의 평론 = 278
천장이부자위목탁(天將以夫子爲木鐸) : ''온, 량, 공, 검, 양''으로 무장한 공자의 인기 = 282
매사문(每事問) :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는 것, 이것이 예이다 = 287
사부주피(射不主皮) : 원시성이 사라진 스포츠를 통해 예절을 배우다 = 293
사군진례, 인이위첨(事君盡禮, 人以爲諂) : 예와 아첨은 근본이 다르다 = 297
군사신이례, 신사군이충(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 합리적인 리더는 직원들에게 충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300
아애기례(我愛其禮) : 시대가 바뀌어도 예절의 본질은 지켜야 한다 = 306
맺는말 :『논어』에서 답을 얻으니 기쁘지 아니한가? = 31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