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출판 취지 = 5
서론 : 한문 학습의 목적과 방법 = 6
(1) 정신문화와 물질문화 = 6
(2) 위기적 병폐와 성현의 경고 = 6
(3) 숭고한 정신으로 한문을 배우자 = 8
(4) 한문 학습의 바른 길 = 9
제1편 한자(漢字)와 한자어(漢字語)
제1장 한자의 특성(特性) = 28
1.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
더보기
목차 전체
출판 취지 = 5
서론 : 한문 학습의 목적과 방법 = 6
(1) 정신문화와 물질문화 = 6
(2) 위기적 병폐와 성현의 경고 = 6
(3) 숭고한 정신으로 한문을 배우자 = 8
(4) 한문 학습의 바른 길 = 9
제1편 한자(漢字)와 한자어(漢字語)
제1장 한자의 특성(特性) = 28
1. 한자는 표의문자(表意文字) = 28
2. 단체자(單體字)와 합체자(合體字) = 29
(1) 단체자(單體字) = 31
(2) 합체자(合體字) = 31
(3) 같은 크기의 네모꼴 = 32
3. 한자의 「형ㆍ음ㆍ의」 = 33
4. 일자ㆍ일음ㆍ일사 = 33
[참고 보충] 한자의 깊은 뜻 = 34
제2장 한자의 원리 = 36
1. 육서(六書) = 36
(1) 상형자(象形字) = 37
(2) 지사자(指事字) = 37
(3) 회의자(會意字) = 38
(4) 형성자(形聲字) = 40
(5) 전주(傳注) = 41
(6) 가차(假借) = 41
2. 한자의 부수(部首) = 42
(1) 부수의 정의 = 42
(2) 부수의 위치 = 42
제3장 한자어의 기본구조 = 44
1. 한문의 다섯 가지 기본구조 = 44
2. 기본구조별 한자어 학습 = 45
(1) 병렬구조의 한자어 : ▨+▧ = 45
(2) 수식구조의 한자어 : ▨→▧ = 46
(3) 동빈구조의 한자어 : ▨ㅣ▧ = 48
[참고 보충] 「동사+빈어」의 여러 가지 뜻 = 49
(4) 보어구조의 한자어 : ▨←▧ = 50
(5) 주술구조의 한자어 : ▨-▧ = 51
3. 종합 한자어 해독 학습 = 52
4. 성어와 속담 = 53
(1) 사자성어(四字成語) = 53
(2) 고사성어(故事成語) = 63
(3) 한문속담(漢文俗談) = 70
제2편 한문 문법 개설(漢文文法槪說)
제1장 문법의 기본지식 = 76
1. 한문과 문법 = 76
2. 새 문법 용어 = 78
(1) 구자(句子)와 용어 = 78
(2) 품사 분류와 용어 = 80
[참고 보충]
「다양한 사(詞)의 뜻」 = 82
「품사와 성분의 관계」 = 83
복음절 단순사(複音節 單純詞) = 83
「구자성분(句子成分) = 84
「품사분류(品詞分類) = 84
3. 한문의 문법적 특성 = 85
(1) 단음절성(單音節性) = 85
(2) 어간사적 고립성(語幹詞的 孤立性) = 86
(3) 비종합적 분석성(非綜合的 分析性) = 87
(4) 한문의 문법적 특성 = 87
(5) 허사가 있는 문장 학습 = 89
제2장 단구와 그 유형 = 92
1. 단구의 구성 단위 = 92
(1) 구자의 정의 = 92
(2) 사(詞)ㆍ사조(詞組)ㆍ자구(子句) = 92
2. 구의 구조와 유형 = 94
(1) 미전개구의 학습 = 95
(2) 전개구의 유형과 학습 = 97
〈1〉 판단구(判斷句)의 학습 = 97
〈2〉 묘사구(描寫句)의 학습 = 99
〈3〉 서술구(敍述句)의 학습 = 101
「주어+동사」 = 101
「주어+동사+빈어」 = 102
「주어+동사+보어」 「주어+동사+빈어+보어」 = 103
「쌍빈어구(雙賓語句)」 = 104
「연동구(連動句), 「겸어구(兼語句)」 = 106
대사 빈어의 전치(前置) = 107
3. 구(句)와 어감 및 허사의 활용 = 109
(1) 긍정과 부정 표현 = 109
(2) 피동(被動) 표현 = 112
(3) 의문(疑問) 표현 = 117
(4) 기사(祈使)ㆍ명령ㆍ감탄 표현 = 122
〈1〉 기사구ㆍ명령구ㆍ금지구 = 123
〈2〉 감탄구(感歎句) = 126
제3장 복구(複句)의 유형 = 129
1. 병렬복구(竝列複句)와 허사 = 129
(1) 대등ㆍ연속 = 130
(2) 선택ㆍ반전 = 133
2. 주종복구(主從複句) = 137
(1) 인과복구(因果複句) = 138
(2) 조건(條件) 및 가정복구(假定複句) = 142
(3) 양보복구(讓步複句) = 146
[참고 보충] 종합 복습 = 150
제3편 계몽한문(啓蒙漢文)과 명심보감(明心寶鑑)
제1장 삼자경 선독(三字經選讀) = 154
[참고 보충] 권학시(勸學詩) = 161
제2장 사자소학 선독(四字小學選讀) = 162
[참고 보충]
「덕숭업광(德崇業廣)」 = 176
「천도(天道)와 윤리(倫理)」 = 186
「삼강(三綱) 오륜(五倫)」 = 186
제3장 동몽선습(童蒙先習)ㆍ계몽편(啓蒙篇) 선독 = 190
[참고 보충]
「서로 지켜야 한다」 = 193
「본성과 윤리 도덕」 = 209
제4장 명심보감(明心寶鑑) 선독 = 211
[참고 보충]
「현부(賢婦)와 악부(惡婦)」 = 235
「자강불식(自强不息)」 = 236
제4편 단문 강독(短文講讀)
제1장 정치우화(政治寓話) = 238
1. 송유부인(宋有富人) : 한비자(韓非子) = 239
2. 알묘조장(알苗助長) : 맹자(孟子) = 240
3. 각주구검(刻舟求劍) : 여씨춘추(呂氏春秋) = 241
4. 수주대토(守株待兎) : 한비자(韓非子) = 242
5. 모순(矛盾) : 한비자(韓非子) = 243
6. 지록위마(指鹿爲馬) : 십팔사략(十八史略) = 244
7. 정중지와(井中之蛙) : 장자(莊子) = 245
8. 호가호위(狐假虎威) : 전국책(戰國策) = 247
9. 화사위족(畵蛇爲足) : 전국책(戰國策) = 248
10. 어부지리(漁父之利) : 전국책(戰國策) = 250
제2장 정략술책(政略術策) = 253
1. 진가벌야(陳可伐也) : 설원(說苑) = 254
[참고 보충] 「유세(遊說)의 어려움」 = 255
2. 세난(說難) : 한비자(韓非子) = 256
3. 불사지약(不死之藥) : 전국책(戰國策) = 257
4. 소진지초(蘇秦之楚) : 전국책(戰國策) = 259
5. 선종외시(先從외始) : 십팔사략(十八史略) = 261
[참고 보충] 명군(明君)과 현신(賢臣) = 262
6. 살인불의(殺人不義) : 묵자(墨子) = 263
7. 무오아(無汚我) : 장자(莊子) = 264
8. 새옹지마(塞翁之馬) : 회남자(淮南子) = 266
[참고 보충] 노자(老子)의 말 = 268
9. 화씨지벽(和氏之璧) : 한비자(韓非子) = 269
10.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예기(禮記) = 272
제3장 안빈낙도(安貧樂道) = 274
1. 빈이무굴(貧而無屈) : 공자가어(孔子家語) = 275
2. 자한(子罕) : 몽구(蒙求) = 276
3. 자사(子思) : 설원(說苑) = 277
4. 견금여석(見金如石) : 속해동소학(續海東小學) = 279
5. 형제투금(兄弟投金) : 여지승람(輿地勝覽) = 281
6. 유관루옥(柳寬漏屋) : 용재총화(용齋叢話) = 282
7. 백결선생(百結先生) : 삼국사기(三國史記) = 285
[참고 보충] 검약(儉約)과 절도(節度) = 287
8. 불언장단(不言長短) : 지봉유설(芝峯類說) = 288
9. 인욕이대(忍辱而待)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289
10. 차계기환(借鷄騎還) : 골계전(滑稽傳) = 291
제4장 지성감천(至誠感天) = 293
1. 전정송독(專精誦讀) : 몽구(蒙求) = 294
2. 형설지공(螢雪之功) : 진서(晉書) = 295
3. 단기지교(斷機之敎) : 열녀전(列女傳) = 297
4. 맹모삼천(孟母三遷) : 열녀전(列女傳) = 298
[참고 보충] 늙은 맹자의 어머니 = 300
5. 사렴제공(師廉弟恭) : 창석이문록(蒼石異聞錄) = 301
[참고 보충]
「입지(立志)와 학문정신(學問精神)」 = 303
「주자(朱子)의 근학시(勤學詩)」 = 303
6. 손순득석종(孫順得石鐘) : 명심보감증보(明心寶鑑增補) = 304
7. 상호양보(相互讓步) : 명심보감증보(明心寶鑑增補) = 306
[참고 보충] 옛 선비의 기질 = 308
8. 도씨효성(都氏孝誠) : 명심보감증보(明心寶鑑增補) = 309
9. 감화도적(感化盜賊) : 명심보감증보(明心寶鑑增補) = 311
10. 효녀지은(孝女知恩)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315
제5편 역사(歷史)ㆍ인물(人物)
제1장 입지학문(立志學問) = 322
1. 입지(立志) / 김성일(金誠一) = 322
2. 근학(勤學) / 주희(朱熹) = 323
3. 교학(敎學) / 유형원(柳馨遠) = 324
4. 진충보국(盡忠報國) : 성호사설(星湖僿說) = 326
[참고 보충] 「진충보국(盡忠報國)」 = 327
5. 난신패자(亂臣敗子) : 자치통감(資治通鑑) = 328
6. 분발(奮發) / 이이(李珥) = 329
7. 강학(講學) / 박지원(朴趾源) = 331
8. 독서궁리(讀書窮理) / 이이(李珥) = 334
9. 학문역행(學問力行) / 이이(李珥) = 336
10. 국가설학(國家設學) / 이황(李滉) = 339
제2장 애국열사(愛國烈士) = 341
1. 을지문덕(乙支文德)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342
[참고 보충] 충신(忠信) = 351
2. 김유신(金庾信)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352
[참고 보충] 유신참마(庾信斬馬) = 361
3. 화랑검군(花郎劍君)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362
[참고 보충] 염치(廉恥) = 366
4. 성삼문(成三問) : 장릉지(莊陵誌) = 367
5. 정몽주(鄭夢周) :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 = 374
[참고 보충]「여말삼은(麗末三隱)」 = 376
6. 길재(吉再) : 대동기문(大東奇聞) = 377
7. 이순신(李舜臣) : 대동기문(大東奇聞) = 380
8. 결고동포(訣告同胞) / 민영환(閔泳煥) = 386
9. 경고국민(警告國民) / 조병세(趙秉世) = 389
10. 안중근(安重根) / 박은식(朴殷植) = 392
제3장 성군현신(聖君賢臣) = 400
1. 단군개국(檀君開國) : 삼국유사(三國遺事) = 401
[참고 보충] 「천손(天孫)이 세운 나라 = 406
2. 동명성제(東明聖帝) 주몽(朱蒙) 삼국유사(三國遺事) = 407
[참고 보충] 동명왕편서(東明王篇序) = 413
3. 진흥왕(眞興王)ㆍ화랑(花郎) : 삼국사기(三國史記) = 414
4. 만파식적(萬波息笛) : 삼국유사(三國遺事) = 422
5. 온달(溫達)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427
6. 도미(都彌) : 삼국사기열전(三國史記列傳) = 433
7. 태조조일사(太祖朝逸事) : 대동기문(大東奇聞) = 439
[참고 보충]
태조의 아들 = 443
함흥차사(咸興差使) = 444
설중매(雪中梅) = 445
8. 세종조일화(世宗朝逸話) : 해동야언(海東野言) = 447
9. 정조호독(正祖好讀) : 홍재전서(弘齋全書) = 453
10. 퇴계(退溪)ㆍ율곡(栗谷) : 퇴계율곡전집(退溪栗谷全集) = 456
[참고 보충] 「도(道)와 덕(德)」 = 469
제6편 한시 감상(漢詩鑑賞)
제1장 중국의 오언절구(五言絶句) = 472
1. 녹시(鹿柴) / 왕유(王維) = 472
2. 죽리관(竹里館) / 왕유(王維) = 472
3. 잡시(雜詩) / 왕유(王維) = 473
4. 숙건덕강(宿建德江) / 맹호연(孟浩然) = 474
5. 춘효(春曉) / 맹호연(孟浩然) = 474
6. 정야사(靜夜思) / 이백(李白) = 475
7. 강설(江雪) / 유종원(柳宗元) = 476
8.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 가도(賈島) = 477
9. 옥계원(玉階怨) / 이백(李白) = 477
10. 절구(絶句) / 두보(杜甫) = 478
11. 야우(夜雨) / 백거이(白居易) = 479
12. 송영철(送靈澈) / 유장경(劉長卿) = 480
제2장 한국의 오언절구(五言絶句) = 481
1.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 / 을지문덕(乙支文德) = 481
2. 추야우중(秋夜雨中) / 최치원(崔致遠) = 481
3. 한송정곡(寒松亭曲) / 장연우(張延祐) = 482
4. 우음(偶吟) / 송한필(宋翰弼) = 483
5. 금강산(金剛山) / 성석린(成石린) = 484
6. 금강산(金剛山) / 송시열(宋時烈) = 484
7. 춘흥(春興) / 정몽주(鄭夢周) = 485
8. 수기(睡起) / 서거정(徐居正) = 486
9. 한산도야음(閑山島夜吟) / 이순신(李舜臣) = 486
10. 빈녀음(貧女吟) / 난설헌(蘭雪軒) 허씨(許氏) = 487
11. 빈녀음(貧女吟) / 임벽당(林碧堂) 김씨(金氏) = 488
12. 도손녀(悼孫女) / 곽씨(郭氏) = 489
13. 경신음(敬身吟) / 장씨(張氏) = 489
14. 산사야음(山寺夜吟) / 정철(鄭澈) = 490
15. 산방(山房) / 이인로(李仁老) = 491
16. 임사부절명시(臨死賦絶命詩) / 성삼문(成三問) = 492
17. 즉사(卽事) / 길재(吉再) = 492
18. 설중방우불우(雪中訪友不遇) / 이규보(李奎報) = 493
19. 여등(旅燈) / 신흠(申欽) = 494
20. 산조(山鳥) : 대동시선(大東詩選) = 495
21. 송하독서(松下讀書) / 이서구(李書九) = 495
제3장 중국의 칠언명시(七言名詩) = 497
1. 회향우서(回鄕偶書) / 하지장(賀知章) = 497
2.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 / 왕유(王維) = 497
3. 부용루송신점(芙蓉樓送辛漸) / 왕창령(王昌齡) = 498
4. 규원(閨怨) / 왕창령(王昌齡) = 499
5. 양주사(凉州詞) / 왕한(王翰) = 500
6. 송맹호연지광릉(送孟浩然之廣陵) / 이백(李白) = 501
7. 조발백제성(早發白帝城) / 이백(李白) = 502
8. 강남봉이귀년(江南逢李龜年) / 두보(杜甫) = 503
9. 풍교야박(楓橋夜泊) / 장계(張繼) = 504
10.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 / 왕유(王維) = 505
11. 제야작(除夜作) / 고적(高適) = 506
12. 산행(山行) / 두목(杜牧) = 507
13. 우성(偶成) / 주희(朱熹) = 508
제4장 한국의 칠언명시(七言名詩) = 509
1. 우음(偶吟) / 길재(吉再) = 509
2. 술지(述志) / 길재(吉再) = 510
3. 방김거사야거(訪金居士野居) / 정도전(鄭道傳) = 510
4. 읍별자모(泣別慈母) / 신사임당(申師任堂) = 511
5. 몽혼(夢魂) / 이옥봉(李玉峯) = 512
6. 대장부(大丈夫) / 남이(南怡) = 513
7. 낙화암(落花巖) / 홍춘경(洪春卿) = 514
8. 대동강(大同江) / 정지상(鄭知常) = 515
9. 숙산사(宿山寺) / 신광한(申光漢) = 516
10. 배소만처상(配所輓妻喪) / 김정희(金正喜) = 516
11. 소상야우(瀟湘夜雨) / 이인로(李仁老) = 517
12. 산객(山客) / 석해원(釋海源) = 518
제5장 율시(律詩)와 고시(古詩) = 519
1. 화석정(花石亭) / 이이(李珥) = 519
2. 사친(思親) / 신사임당(申師任堂) = 520
3. 과낙동강상류(過洛東江上流) / 이규보(李奎報) = 521
4. 독좌(獨坐) / 서거정(徐居正) = 522
5. 감로사차운(甘露寺次韻) / 김부식(金富軾) = 523
6. 결기궁(結綺宮) / 김부식(金富軾) = 525
7. 우야유회(雨夜有懷) / 인의(印毅) = 526
8. 송인(送人) / 정지상(鄭知常) = 527
9. 촉규화(蜀葵花) / 최치원(崔致遠) = 528
10. 억종성종본량아(憶宗誠宗本兩兒) / 정몽주(鄭夢周) = 529
11. 홍무정사봉사일본(洪武丁巳奉使日本) / 정몽주(鄭夢周) = 530
12. 등전주망경대(登全州望京臺) / 정몽주(鄭夢周) = 531
13. 하종남산(下終南山) / 이백(李白) = 533
14. 월하독작(月下獨酌) / 이백(李白) = 535
15. 증위팔처사(贈衛八處士) / 두보(杜甫) = 538
16. 가인(佳人) / 두보(杜甫) = 541
제7편 특강 : 사서집주 강의(四書集註講義)
제1 대학장구(大學章句) 선독 = 549
제1과 삼강령(三綱領) = 551
[참고 보충]
「대인(大人)의 깊은 뜻」 = 553
「주자가 풀이한 명덕(明德)의 깊은 뜻」 = 554
「허령불매(虛靈不昧)」의 깊은 뜻 = 554
「구중리(具衆理)ㆍ응만사(應萬事)」 = 554
「명덕(明德)ㆍ심(心)ㆍ성(性)ㆍ이(理)」 = 555
명덕(明德)의 종합적 도표 = 555
명덕을 저해하는 기품(氣稟)과 인욕(人欲) = 556
명덕(明德)은 항상 살아 있다 = 557
명덕(明德)을 되찾는 학문공부 = 557
이(理)와 기(氣) 및 인욕(人欲) = 557
「혁신(革新)의 참뜻」 = 559
「추기급인(推己及人)」 = 559
「지(止)」와 「지선(至善)」 = 560
「태극(太極)과 사물(事物)의 이(理)」 = 561
「털끝의 사욕도 없다(無一毫人欲之私)」 = 561
「명덕(明德)과 인욕(人欲)은 반비례」 = 561
「멈출 지(止)」의 뜻 = 563
「정(定)ㆍ정(靜)ㆍ안(安)ㆍ여(慮) 득(得)」의 뜻 = 563
「사물에 있는 합당한 도리」 = 564
「지지(知止)에서 능득(能得)까지」 = 564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의 관계 = 566
본말(本末), 시종(始終), 선후(先後)의 뜻 = 566
제2과 팔조목(八條目) = 567
[참고 보충]
대학의 팔조목(八條目) = 569
「명명덕어천하(明明德於天下)」의 깊은 뜻 = 569
「마음이 몸의 주체(心者身之主)」 = 571
「심통성정(心統性情) = 571
「궁리(窮理)와 격물(格物)」 = 572
제2 논어집주(論語集註) 선독 = 578
학이편(學而篇) = 579
[참고 보충]
「입도지문(入道之門」 「적덕지기(積德之基)」 = 579
논어 선독 1 : 제1편 제1장 〈총3절〉 = 579
[참고 보충] 「학(學)의 깊은 뜻과 학문정신」 = 584
논어 선독 2 : 제1편 제2장 〈총2절〉 = 585
[참고 보충]
「인자(仁者) 애지리(愛之理) 심지덕(心之德)」 = 587
공자가 높인 인(仁)과 효제(孝弟=悌) = 589
논어 선독 3 : 제1편 제3장 〈총1절〉 = 591
[참고 보충] 「교언영색(巧言令色)」 = 592
논어 선독 4 : 제1편 제4장 〈총1절〉 = 593
[참고 보충] 「진기지위충(盡己之謂忠) 이실지위신(以實之謂信)」 = 595
논어 선독 5 : 제1편 제5장 〈총1절〉 = 595
[참고 보충]
「도(道)ㆍ치(治)」 = 598
「주일무적(主一無適)」 = 598
「경사이신(敬事而信)」 = 599
논어 선독 6 : 제1편 제6장 〈총1절〉 = 599
[참고 보충] 「선덕후학(先德後學)」 = 601
논어 선독 7 : 제1편 제7장 〈총1절〉 = 601
[참고 보충] 「현현역색(賢賢易色)」 = 604
논어 선독 8 : 제1편 제8장〈총4절〉 = 605
[참고 보충]
「충신(忠信)과 성(誠) = 606
「인을 도와주는 벗(友所以輔仁)」 = 607
「중후(重厚)ㆍ주충신(主忠信)ㆍ무우불여기(無友不如己)ㆍ개과(改過)」 = 609
논어 선독 9 : 제1편 제9장 〈총1절〉 = 609
[참고 보충] 「신종추원(愼終追遠) 민덕귀후(民德歸厚)」 = 610
논어 선독 10 : 제1편 제14장〈총1절〉 = 611
[참고 보충] 「도를 따라야 바르다」 = 613
제3 맹자집주(孟子集註) 선독 = 614
양혜왕(梁惠王) 상 제1장 : 인의장(仁義章) = 615
[참고 보충]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임금」 = 615
「맹자의 알현은 답례다」 = 616
「왕도덕치(王道德治)를 모르는 임금들」 = 617
「인의덕치(仁義德治)의 이득」 = 620
「인의(仁義)의 현대적 의미」 = 620
「병거일승(兵車一乘)」 = 624
「불탈불염(不奪不염)」 = 625
「맹자의 예리한 논리」 = 625
「인의(仁義) 인심지고유(人心之固有)」 = 627
「이심(利心) 인본무지(人本無之)」 = 629
「인욕(人欲)과 수심(獸心)」 = 629
「맹자의 역설적 설득」 = 630
「순인의(循仁義) 이자무불리(而自無不利)」 = 631
「진짜 큰 이득」 = 632
「오늘의 인류도 맹자에게 배우자」 = 633
양혜왕 상 제2장 : 왕립장(王立章) = 634
[참고 보충]
「부(富)만 알고 덕(德)을 모르는 왕」 = 634
「맹자의 논리 전개법」 = 635
「백성들이 자진해서 만든 영대(靈臺)」 = 637
「현군(賢君)과 폭군(暴君)」 = 640
「군여민동락(君與民同樂)」 = 643
「현군(賢君)이라야 즐길 수 있다」 = 644
양혜왕 상 제3장 : 과인장(寡人章) = 646
[참고 보충]
「준절애양(준節愛養)」 = 652
「재성보상지도(財成輔相之道) 이좌우민(以左右民)」 = 658
제4 중용장구집주(中庸章句集註) 선독 = 663
중용장구(中庸章句) 집주(集註) = 664
[참고 보충]
「중용(中庸)」의 현대적인 뜻 = 664
심법(心法) :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 666
중용 제1장 제1절 = 667
중용 제1장 제2절 = 670
[참고 보충] 「계신호기소부도(戒愼乎其所不睹)」 「공구호기소불문(恐懼乎其所不聞)」 = 671
중용 제1장 제3절 = 673
[참고 보충]
「암처(暗處)의 미세한 것(事)」 = 674
「계구(戒懼)」「신독(愼獨)」 = 674
중용 제1장 제4절 = 675
[참고 보충]
「희노애락지미발(喜怒哀樂之未發) 위지중(謂之中)」 = 676
「발이개중절(發而皆中節) 위지화(謂之和)」 = 677
「중야자(中也者) 천하지대본야(天下之大本也)」 = 677
「화야자(和也者) 천하지달도야(天下之達道也)」 = 677
「달도자(達道者) 순성지위(循性之謂)」 = 678
중용 제1장 제5절 = 678
[참고 보충]
중용(中庸)과 유교사상(儒敎思想) = 680
도(道)와 학문(學問) = 683
색인(索引) = 68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