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들어가며 = 3
서장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 공통기반과 차이 = 13
1.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이란 무엇인가 = 17
2. 일본에서의 제도적 위상 = 19
3.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자료관리 = 25
4. 전문직원 문제 = 30
5. MLA 연계에 대하여 = 36
6. 신공공경영과 디지털 아카이브 = 41
7. 문화행정의 추진방...
더보기
목차 전체
들어가며 = 3
서장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 공통기반과 차이 = 13
1.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이란 무엇인가 = 17
2. 일본에서의 제도적 위상 = 19
3.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자료관리 = 25
4. 전문직원 문제 = 30
5. MLA 연계에 대하여 = 36
6. 신공공경영과 디지털 아카이브 = 41
7. 문화행정의 추진방향 = 47
제1부 MLA란 무엇인가
1장 도서관은 무엇을 지키려고 해왔는가 = 57
1. 자료의 취급과 문헌정보학 = 59
2. 서양의 도서관 : 독일을 중심으로 = 63
3. 일본의 도서관 현황 = 74
4. 전문직원의 양성 = 86
5. 지식정보 관리의 과제 = 90
2장 대학박물관 : 박물관공학과 복합교육 프로그램 = 92
1. 대학박물관(University Museum, UM) = 93
2. 박물관공학(Museum Technology, MT) = 96
3. 박물재(博物財) = 100
4. 실험 전시 = 103
5. 모바일 뮤지엄(Mobilemusuem, MM) = 118
6. 복합교육 프로그램 = 123
7. ''인터미디어테크(Intermediatheque, IMT)'' = 126
8. 통합적 역량 강화를 위하여 = 128
3장 기록관과 역사자료의 활용 : 운영자 관점과 이용자 관점에서 = 130
1. 수집 및 선별과 가이드라인 = 133
2. 보존 및 정리에서 공개 및 활용으로 = 137
3. 지식창성(知識創成) 기반으로서의 기록관 = 141
4. 역사자료의 검색과 접근에 관하여 = 45
5. 목록표준에 대해 : ISAD(G)를 재고하다 = 150
6. 기록관 데이터 시스템과 지식 = 153
제2부 MLA 연계를 생각하다
4장 고구려 고분벽화의 모사자료 = 161
1. 세키노 다다시 자료와 벽화모사도 = 163
2. 고구려와 벽화고분 = 172
3. 벽화모사의 공개와 전시 = 174
4. 쌍영총 벽화모사의 3D 복원 = 184
5. 모사의 새로운 자원화 = 194
5장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지식복합체로 : 세 가지 기반으로 보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재와 미래 = 197
1.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과 가능성 = 197
2.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 204
3. 문화자원 통합 디지털 아카이브 = 215
4. 디지털 아카이브의 과제와 전망 = 225
6장 학술활동 지원을 위한 지식의 구조화 = 230
1. ''지식의 구조화''의 필요성 = 231
2.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기록관의 현황 :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233
3. ''사료편찬소''의 목적 = 236
4. ''역사지식학'' 창성(創成) 연구에서 본 ''지식의 구조화'' 필요성 = 238
5. ''지식의 구조화''를 위한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기록관의 역할 = 246
6. 심포지엄의 역할 = 262
7장 문화자원학 입장에서의 제언 = 264
1. 통합이 갖는 권력 = 266
2. 모사하는 경험에 대한 주목 = 269
3. 손을 통한 복제와 눈을 통한 복제 = 270
4. 관계의 설정 = 273
5. 인터페이스 공간 설계 = 275
6. 자원이라는 사상 = 277
7. 구조화의 난점 = 279
8. 자원화한다는 것 = 280
제3부 과제와 제언 : MLA의 공통기반 구축
1. 일본의 현황과 과제 = 285
2. 자료 정보의 통합 관리 = 289
3. 인재 양성 현황 : 도쿄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290
4. 제언 : ''지식의 구조화''를 위한 인재육성체계 = 299
옮긴이 후기 = 307
찾아보기 = 31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