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간행사 = 4
서문 = 6
1부 ''난민''으로 본 우리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 김진선 = 15
Ⅰ. 머리말 = 15
Ⅱ. 난민 개념의 국제적 형성과 발전 = 18
Ⅲ. 한인(韓人) 정체성과 난민 인식 = 23
Ⅳ. 국가와 인권의 범주에서 난민 인식 = 30
Ⅴ. 자연상태의 난민 개념과 인...
더보기
목차 전체
간행사 = 4
서문 = 6
1부 ''난민''으로 본 우리
한국 사회에서의 난민 인식의 문제 / 김진선 = 15
Ⅰ. 머리말 = 15
Ⅱ. 난민 개념의 국제적 형성과 발전 = 18
Ⅲ. 한인(韓人) 정체성과 난민 인식 = 23
Ⅳ. 국가와 인권의 범주에서 난민 인식 = 30
Ⅴ. 자연상태의 난민 개념과 인식 = 35
Ⅵ. 맺음말 = 39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 트러블과 제주의 쿰다 문화 / 김준표 = 43
Ⅰ. 머리말 : 하나의 현상, 상반된 인식 = 43
Ⅱ. 단일 정체성 비판 = 46
Ⅲ. 다중 정체성의 다문화 사회 = 51
Ⅳ. 정체성 트러블 = 55
Ⅴ. 제주의 쿰다 문화 = 59
Ⅵ. 맺음말 = 64
난민의 출현과 대응에 대한 철학의 문제들 / 김치완 = 67
Ⅰ. 머리말 : 난민에 대한 철학적인 질문의 전제 = 67
Ⅱ. 월경(越境), 타자의 출현 = 70
Ⅲ. 봉쇄(封鎖), 타자의 배제 = 78
Ⅳ. 추방(追放), 타자의 상실 = 86
Ⅴ. 맺음말 : 면역(免疫, im-munitas)의 시간과 난민 = 94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 / 서영표 = 99
Ⅰ. 머리말 = 99
Ⅱ. 공포와 혐오에 대한 이론적 가설 = 103
Ⅲ. 타자와 공포, 그리고 대중 - 철학적 회고 = 108
Ⅳ. 우리시대 공포와 혐오 - 포스트모던 시대의 혐오정치 = 113
Ⅴ. 공포의 긍정적 정치화 - 이론적 탐색 = 121
Ⅵ. 맺음말 = 129
정치적 난민과 월경(越境)의 문학 : 김시종의 경우 / 김동윤 = 133
Ⅰ. 머리말 = 133
Ⅱ. 4ㆍ3항쟁의 정치적 난민 = 135
Ⅲ. 유민으로서의 재일 = 145
Ⅳ. 월경의 상상력 = 152
Ⅴ. 맺음말 = 160
2부 ''난민''으로 읽는 타자
삼국시대 ''難民''의 발생 배경과 동향 / 장창은 = 165
Ⅰ. 머리말 : 古代的 ''難民''의 개념과 유형 = 165
Ⅱ. 자발적 移住 난민의 유형과 사례 = 170
Ⅲ. 타율적 徙民 난민의 유형과 사례 = 190
Ⅳ. 복합적 난민으로서의 유민 사례 = 210
Ⅴ. 맺음말 = 215
10∼12세기 고려의 渤海難民 수용과 주변국 同化政策 / 전영준 = 223
Ⅰ. 머리말 = 223
Ⅱ. 고려전기 발해 난민 발생과 수용 = 226
Ⅲ. 고려 전기 대외정책과 주변국 포섭 = 236
Ⅳ. 맺음말 = 251
조선전기 제주도 출륙 포작인, 문명 전환기의 遺民 혹은 難民 / 양정필 = 255
Ⅰ. 머리말 = 255
Ⅱ. 포작인의 특징 = 258
Ⅲ. 포작인의 기원 = 267
Ⅳ. 포작인의 출륙 배경 = 278
Ⅴ. 맺음말 = 288
제주(濟州)ㆍ유구(琉球) 표류 난민의 신분 위장과 경계인 의식 / 김치완 = 291
Ⅰ. 머리말 = 291
Ⅱ. 유구 표착 제주인과 출신지 휘칭 = 294
Ⅲ. 조선 표착 유구인과 국적 위장 = 302
Ⅳ.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의 경계인 의식 = 311
Ⅴ. 맺음말 = 320
국민국가의 틈새에서 - 대만2ㆍ28사건의 외국인 ''수난자''를 사례로 / 고성만 = 325
Ⅰ. 머리말 : 초국가적 상흔의 일국적 처방전 = 325
Ⅱ. 대만2ㆍ28사건의 외국인 = 327
Ⅲ. 안주의 땅을 찾아서 = 331
Ⅳ. ''수난자'' 되기 = 338
Ⅴ. ''수난자'' 이후 = 347
Ⅵ. 맺음말 = 351
초출일람 = 353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75
필자소개 = 38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