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7
목차 = 13
감사의 말씀 = 21
기고자 명단 = 23
해제 에세이 : 정치와 법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한나 아렌트의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 25
서론 / 마르코 골도니 ; 크리스토퍼 맥코르킨데일 = 125
Ⅰ. 아렌트의 정치적 전환 = 127
Ⅱ. 법적 인격 = 135
Ⅲ. 공화국의 위기 = 140...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7
목차 = 13
감사의 말씀 = 21
기고자 명단 = 23
해제 에세이 : 정치와 법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한나 아렌트의 주요 저작을 중심으로 = 25
서론 / 마르코 골도니 ; 크리스토퍼 맥코르킨데일 = 125
Ⅰ. 아렌트의 정치적 전환 = 127
Ⅱ. 법적 인격 = 135
Ⅲ. 공화국의 위기 = 140
제1부 노모스와 렉스 사이에서 : 한나 아렌트 정치사상과 법 개념
제1장 명령을 넘어서는 법은? : 법에 대한 아렌트의 이해 / 케이드 브린 = 149
Ⅰ. 서론 = 149
Ⅱ. ''위대한 전통''의 편견 = 152
Ⅲ. 제한하는 성벽과 지속하는 유대 - 노모스와 렉스 = 158
Ⅳ. 절대자 없는 법, 계명 없는 기반? = 165
Ⅴ. 결론 = 179
제2장 법과 자유 사이에서 : 근대 혁명의 약속과 ''전통''의 부담 / 미카엘 윌킨슨 = 185
Ⅰ. 서론 = 185
Ⅱ. 전통에 대한 비판 : 아렌트의 정치적 자유 개념 = 188
Ⅲ. 전통으로부터의 이탈 : 근대 혁명의 상상에서 정치적 자유 = 195
Ⅳ. ''전통''의 부담 : 법적 상상력 속의 절대자의 지속 = 203
Ⅴ. 전통으로부터의 해방 : 근대 혁명과 제작인의 등장 = 211
Ⅵ. ''전통''을 넘어서 법을 개념화하며 : 노모스 또는 렉스? = 217
Ⅶ. 결론 : 정치적 자유와 입헌적 권위를 조화시키며? = 225
제3장 아렌트의 사상에 나타난 법과 현상 공간 / 요한 반 데어 발트 = 231
Ⅰ. 서론 = 231
Ⅱ. 현상ㆍ실재(현실)ㆍ진리 = 236
Ⅲ. 발현 : 현상의 나타남(phainesthai) = 245
Ⅳ. 아렌트의 그림자와 그 그늘 = 248
Ⅴ. 문학적 예외 = 255
Ⅵ. 문학적 심연과 법의 피상성 = 257
Ⅶ. 법의 전도된 심연 또는 부정적 심연 = 265
Ⅷ. 시작으로 돌아가기 = 276
제4장 ''법의 부재와 정지를 강조한'' 유산 : 한나 아렌트와 조르조 아감벤 / 비비안 리스카 = 279
제2부 입헌주의와 제도
제5장 아렌트의 헌법 문제 / 에밀리오스 크리스토두리디스, 앤드류 샤아프 = 297
Ⅰ. 헌법의 무거운 짐을 덜자 = 298
Ⅱ. 논쟁을 순화시키자 = 310
Ⅲ. 현상 공간의 부피를 줄이자 = 321
제6장 아렌트의 정치적 헌법에 나타난 대법원의 역할 / 마르코 골도니, 크리스토퍼 맥코르킨데일 = 327
Ⅰ. 권력과 권위 사이의 대법원 = 331
Ⅱ. 권력은 없는 종신직 대법관 = 337
Ⅲ. 리틀 록에 대한 성찰 = 342
Ⅳ. 시민불복종에 대하여 = 346
Ⅴ. 결론 = 352
제7장 시민불복종의 헌법적 지위와 적소는? : 아렌트에 대한 성찰 / 윌리엄 스미스 = 355
Ⅰ. 시민불복종과 혁명 정신 = 358
A. 시민불복종, 양심과 법 = 358
B. 시민불복종, 동의와 공화국 = 362
C. 혁명 정신 되찾기 = 365
Ⅱ. 시민불복종과 입헌국가 = 369
A. 시민불복종을 위한 공화주의적 포럼 = 370
B. 시민불복종에 대한 정치적 접근 = 374
C. 아렌트 제안의 폭넓은 매력 = 377
Ⅲ. 시민불복종의 제도화에 대한 반대 의견 = 379
Ⅳ. 결론 = 385
제8장 새로운 시작의 모색 : 서독 의회주의 비판자, 한나 아렌트와 카를 야스퍼스 / 카리 팔로넨 = 387
Ⅰ. 전후 독일의 지식인과 의회주의 = 387
Ⅱ. 탁월한 수사적 정치로서 의회주의 = 389
Ⅲ. 나치 지배의 여파에 대한 아렌트의 입장 = 392
Ⅳ. 연방공화국의 위기에 대한 야스퍼스의 입장 = 397
Ⅴ. 비판자들에 대한 야스퍼스의 반론 = 405
Ⅵ. 야스퍼스에 대한아렌트의 검토 = 409
Ⅶ. 슈미트와 아렌트에 대한 칼리바스의 입장 = 411
Ⅷ. ''국민''의 입헌적 해석에 대하여 = 416
제3부 국민국가를 넘어서? : 한나 아렌트와 국제법
A. 국제공법
제9장 심연을 대면하며 : 정치적인 것 앞의 국제법 / 프로리안 호프만 = 425
Ⅰ. 위기의 학문 = 425
Ⅱ. 진흙에서 벗어나? : (신)형식주의 대 (신)자연주의 = 439
Ⅲ. 심연을 대면하며 : 국제적인 것을 다시 정치화하며 = 450
제10장 전체주의 그림자 속의 국제법과 인간의 다원성 : 한나 아렌트와 라파엘 렘킨 / 세일라 벤하비브 = 459
Ⅰ. 서론 = 459
Ⅱ. 아렌트 사상 속의 반유대주의와 국민국가 = 468
Ⅲ. 아렌트의 입장 : 무국적, 소수민족 조약과 ''권리를 가질 권리'' = 474
Ⅳ.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집단학살 협약까지 = 480
Ⅴ. 아렌트 저서의 기본 범주로서 다원성 = 492
Ⅵ. 간단한 에필로그 : 보편적 관할권에 대한 아렌트와 렘킨의 입장 = 496
제11장 한나 아렌트의 사상 : 권력과 법치 / 하우케 브룬크호르스트 = 501
Ⅰ. 권력 = 503
Ⅱ. 구조적 억압 권력 = 505
Ⅲ. 제국 권력 = 508
Ⅳ. 입헌주의 = 511
Ⅴ. 헌법 제정권을 보존하는 헌법 = 515
Ⅵ. 항구적인 법적 혁명 = 518
Ⅶ. 입헌주의에 대한 일관된 집착 = 520
Ⅷ. 민주적 포용 = 521
제12장 한나 아렌트와 글로벌 거버넌스 언어 / 얀 크라버스 = 525
Ⅰ.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특징 = 528
Ⅱ.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위험 = 535
Ⅲ. 글로벌 거버넌스의 일부 개념 = 542
Ⅳ.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일부 인권 = 548
Ⅴ. 일부 가능한 결론 = 557
B. 국제형법
제13장 무고함이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가 : 아렌트의 전쟁사상과 법사상 / 패트리셔 오웬스 = 561
Ⅰ. 서론 = 561
Ⅱ. 정치, 법과 팽창 = 566
Ⅲ. 국제관계이론의 몇 가지 문제 = 576
Ⅳ. 우발적 사고와 민간인 사망 = 588
Ⅴ. 결론 = 591
제14장 관료제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판단 / 레오라 빌스키 = 595
Ⅰ. 첫 번째 만남 : 아렌트와 아이히만 재판 = 597
Ⅱ. 두 번째 만남 : 아렌트와 프랑크푸르트 아우슈비츠 재판 = 607
Ⅲ. 뉘른베르크 재판 이후 잔혹 행위에 관한 국제형법 = 613
Ⅳ. 개인 사업과 기업 책임 문제 = 617
Ⅴ. 관료제를 판단하며 : 구경꾼과 판사 사이에서 = 621
제15장 예루살렘의 아렌트, 뮌헨의 데마뉴크 / 로렌스 더글라스 = 627
Ⅰ. 뮌헨에서 예루살렘으로, 다시 뮌헨으로 = 627
Ⅱ. 아렌트와 잔혹 행위의 표현 양식 = 634
Ⅲ. 데마뉴크 재판과 판단의 표현 양식 = 642
Ⅳ. 방조자 이반 데마뉴크 = 649
제4부 권리를 가질 권리
제16장 정치와 법 사이에서 : 한나 아렌트와 권리의 주체 / 찰스 바버 = 655
Ⅰ. 서론 = 655
Ⅱ. 행위와 법 = 658
Ⅲ. 권리의 항구성 = 667
Ⅳ. 결론 = 675
제17장 시민과 인간 : 한나 아렌트에서 법적 지위와 인권 / 제임스 보만 = 679
Ⅰ. 서론 = 679
Ⅱ. 칸트, 아렌트와 비지배 = 686
Ⅲ. 법적 지위로서 인격성 = 694
Ⅳ. 권리를 가질 권리를 넘어서 = 700
제18장 권리를 가질 권리 : 인권과 시민권의 상호연관성 / 사만타 베손 = 705
Ⅰ. 서론 = 706
Ⅱ. 인권 : 도덕적 차원과 법적 차원 = 714
A. 인권의 도덕성 = 715
B. 인권의 합법성 = 721
Ⅲ. 국내인권과 국제인권 = 725
A. 권리를 가질 권리 = 725
B. 국제인권법과 국내인권법 = 731
C. 인권에서 시민권으로, 시민권에서 인권으로 = 733
Ⅳ. 결론 = 735
찾아보기 = 73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