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서론 : 고려중기 정치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 = 15
(1) 고려시대사의 시기 구분 = 15
(2) 중기(中期)의 설정 = 24
2. 정치사 연구의 방향과 논점 = 29
제1부 11세기 후반 사회 변화의 감지와 정치 동향
제1장 전성기의 정치 : 문벌의 강화와 문종의 리더...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서론 : 고려중기 정치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 = 15
(1) 고려시대사의 시기 구분 = 15
(2) 중기(中期)의 설정 = 24
2. 정치사 연구의 방향과 논점 = 29
제1부 11세기 후반 사회 변화의 감지와 정치 동향
제1장 전성기의 정치 : 문벌의 강화와 문종의 리더십 = 43
1. 문벌의 강화와 사(士)ㆍ서(庶)의 구분 = 43
2. 인사문제를 둘러싼 신분ㆍ계층 관련 논의 = 51
3. 사회 변화에 대응한 관료제도 정비와 왕의 위상 강화 = 58
4. 훈공(勳功)과 은사(恩), 그리고 목친(睦親)의 논리 = 68
제2장 다원적 국제정세와 외교 다변화 모색 = 73
1. 다원적 국제정세와 거란에 대한 사대외교 = 73
2. 왕이 주도한 외교 다변화 정책 = 79
제2부 12세기 초 개혁의 모색
제1장 부국강병을 향한 신법(新法)개혁 : 숙종∼예종 초의 개혁정책과 여진 정벌 = 99
1. 11세기 말의 정치적 위기와 숙종의 즉위 = 99
2. 공리주의적(功利主義的) 신법개혁의 추진과 여진 정벌 = 105
3. 개혁정책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 = 123
제2장 문예군주ㆍ구세군주를 지향한 정치 : 예종대 한안인파의 대두와 교단도교 수용 = 131
1. 여진 정벌 후유증의 수습과 정책 전환 = 131
2. 도가사상의 정치론 : ''은일(隱逸)''과 ''이술(理術)'' = 144
3. 한안인(韓安仁)파의 정치활동과 그 성격 = 154
제3부 12세기 중반 정치 갈등과 위기
제1장 외척세력의 대두 : 친위와 반역의 사이에 선 이자겸 = 171
1. 문벌의 인적 네트워크와 외척 = 171
2. 외척 우대와 집권의 명분 = 180
3. 이자겸의 정치활동과 독점적 권력 추구 = 189
제2장 금의 흥기와 국제관계의 재편 = 202
1. 금의 흥기에 따른 국제정세 변화 = 202
2. 대금 강경론과 온건론 = 209
제3장 유신정국의 갈등과 서경 반란 : 묘청파의 종교ㆍ풍수도참적 혁신책과 김부식파의 유교정치론 = 222
1. 이자겸의 난 직후의 정국과 수습방안 = 222
2. 묘청파의 혁신책 : 운명과 법술(法術), 그리고 공업(功業) = 230
3. 김부식파의 유교정치론 : 천견(天譴)과 수덕(修德)ㆍ인정(仁政) = 241
제4장 파국으로 치달은 정치 : 의종대의 정치 파행과 무신정변 = 253
1. 왕의 측근세력 강화와 정치적 갈등 = 253
2. 국정 인식과 정책의 한계 = 273
3. 무신정변의 원인과 성격 = 284
제4부 무신집권, 불안한 왕정의 한 세기
제1장 정치 불안의 심화 : 무신집권 초기 무신들의 권력 다툼과 왕정의 위기 = 295
1. 명종대 정치의 양상과 추이 = 295
2. 정치 현안에 대한 대응과 한계 = 314
제2장 불안한 안정 : 최씨 일가의 장기 집권 = 328
1. 보정(輔政)과 그 명분 = 328
2. 보정의 제도적 장치와 권력기반 = 339
3. 은사(恩賜)와 연회(宴會)의 정치성 = 352
제3장 무신정권 보위 중심의 외교와 국방 = 366
1. 국왕 폐립을 인정받기 위한 책봉외교 = 366
2. 외침에 대한 무신정권의 대응 = 380
결론 : 고려중기 정치사의 특징과 연구 전망
1. 국가적 위기의식의 대두와 거듭된 정치 변란 = 407
2. 정치세력 형성의 특징과 개혁의 모색 = 415
3. 다원적 국제관계의 변화와 대응 양태 = 425
4. 연구의 진전을 위하여 = 429
참고논저 = 437
찾아보기 = 44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