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4
서론 _ 이데올로기 장치로서의 플롯 = 14
제1부 젠더화된 플롯의 재생산과 전환
제1장 가부장적 서사 장치의 강화 :〈김현감호〉 = 33
1. 여기 두 이야기가 있다 = 33
2. 두 서사의 경합과 일연의 선택 = 37
3.〈김현감호〉의 젠더화된 플롯 = 49
4. 일연의 가부장적 독법과 가...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4
서론 _ 이데올로기 장치로서의 플롯 = 14
제1부 젠더화된 플롯의 재생산과 전환
제1장 가부장적 서사 장치의 강화 :〈김현감호〉 = 33
1. 여기 두 이야기가 있다 = 33
2. 두 서사의 경합과 일연의 선택 = 37
3.〈김현감호〉의 젠더화된 플롯 = 49
4. 일연의 가부장적 독법과 가부장적 서사 장치의 강화 = 57
제2장 전기소설의 젠더화된 플롯 :〈최치원〉,〈이생규장전〉,〈주생전〉 = 60
1. 전기소설과 연애 서사의 플롯 = 60
2. 젠더화된 플롯의 반복/재생산 = 63
3. 젠더화된 플롯의 전환 지점 = 97
4. 비극적 미학에 대한 재성찰 = 102
제3장 여성 서술자의 등장과 전기소설의 플롯 전환 :〈운영전〉 = 105
1. 여성 서술자의 등장 = 105
2. 서술자로서의 운영의 위상 = 109
3. 여성이 이야기하는 연애담 = 113
4. 전기소설에서의 욕망의 주체와 여성 서술자의 의의 = 131
5. 여성 서술자가 확보한 서사 공간의 의미 = 135
제4장 사랑의 양식화로서의 전기소설의 플롯 = 138
1. 사랑의 양식화와 전기소설 = 138
2. 전기소설이 양식화한 사랑의 플롯 = 145
3. 사랑의 양식화의 역사적 의미 = 154
제5장 일상적 사랑에 대한 욕망 :〈심생전〉 = 160
1. 집 밖으로 나온 남녀 주인공 = 160
2. 만남의 과정의 확장 = 163
3. 여전히 차이를 드러내는 남녀 주인공의 사랑과 현실에 대한 태도 = 168
4. 젠더화된 플롯의 반복, 그리고 차이 = 172
제6장 재능과 우정, 두 여자의 서사 :〈매죽당 이씨전〉,〈한사인처〉 = 177
1. 여성 재능과 인정 = 177
2. 여성 재능과 사귐을 다룬 두 여자 이야기,〈매죽당 이씨전〉과〈한사인처〉 = 180
3. 여성 재능-불운, 여성 지기(知己)-죽음의 플롯 = 187
4. 여성 지기-죽음 플롯의 전복성 = 192
제7장 성체계의 위반에 대한 새로운 상상 :〈방한림전〉 = 194
1. 성체계의 위반이라는 새로운 플롯 = 194
2.〈방한림전〉에 재현된 젠더 위반의 표지들 = 198
3. ''동성 결혼'' 설정을 통한 성체계 흔들기와 ''동성애''의 자리 만들기 = 207
4. 동성애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방한림전〉 = 215
5. 성체계에 대한 도전의 의미 = 219
제2부 가족, 국가, 인간 중심 플롯의 재생산과 전환
제8장 국가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가족 서사 :〈최척전〉,〈김영철전〉 = 223
1.〈최척전〉과〈김영철전〉다시 읽기 = 223
2. 가족과 국가 사이에서 가족 서사 다시 쓰기,〈최척전〉 = 226
3. 가족과 국가의 경계에서 흔들리는 가족 서사,〈김영철전〉 = 237
4. 국가 이데올로기로 환원되지 않는 서사 공간의 창출 = 242
제9장 전쟁이 낳은 경계인의 서사 :〈강세작전〉 = 248
1. 명 유민(遺民)과 강세작 = 248
2. 명 유민에 대한 기록과〈강세작전〉 = 251
3. 경계인 강세작의 국가에 대한 태도 = 256
4. 조선의 명 유민 서사에 대한 명 유민의 대항 서사, 안과 밖의 경계 변환 = 265
제10장 ''버려진 딸''에 대한 기억의 장 :〈숙향전〉 = 270
1. 전쟁 고아, 숙향 = 270
2. 버림받은 딸의 플롯에서 부모 잃은 딸의 플롯으로 = 273
3. 숙명이라는 플롯 = 280
4. 보은이라는 플롯 = 288
5. 버려진 딸에 대한 죄의식과 무마의 장 = 291
제11장 타자의 서사, 타자화의 서사 :〈홍길동전〉 = 293
1. 타자의 관점으로 읽는 홍길동 = 293
2. 타자의 서사에서 (불완전한) 대항의 서사로 = 297
3. 타자의 서사에서 타자화의 서사, 정복의 서사로 = 303
4. 조선 후기 사회의 ''외부'' 인식과〈홍길동전〉 = 312
5. 타자에 대한 공감과 타자화에 대한 욕망을 동시에 보여주는 거울 = 317
제12장 관계로서의 동물, 동물의 문학적 재현 : 동물전을 중심으로 = 319
1. 동물로의 전환 = 319
2. 조선 후기 동물에 대한 기록의 증가 = 324
3. 동물전의 플롯과 재현의 양상 = 327
4. 동물의 발견, 타자의 위치에서 교감하는 존재들 = 344
참고문헌 = 348
찾아보기 = 36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