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 21세기 한국 차(茶)와 원천적 힐링을 위한 제언, 나는 왜 ''한국수양다도(韓國 修養茶道)''를 말하는가 = 4
Ⅰ 동양 사상 수양론
1. 수양, 동양 사상 마음 비우기ㆍ채우기ㆍ기르기 = 13
2. 동양 사상의 ''수양'', 서양 종교의 ''구원'' = 24
3. 유ㆍ도ㆍ불가(儒ㆍ道ㆍ佛家)의 수양론 = 48
1) 유가(...
더보기
목차 전체
서문 : 21세기 한국 차(茶)와 원천적 힐링을 위한 제언, 나는 왜 ''한국수양다도(韓國 修養茶道)''를 말하는가 = 4
Ⅰ 동양 사상 수양론
1. 수양, 동양 사상 마음 비우기ㆍ채우기ㆍ기르기 = 13
2. 동양 사상의 ''수양'', 서양 종교의 ''구원'' = 24
3. 유ㆍ도ㆍ불가(儒ㆍ道ㆍ佛家)의 수양론 = 48
1) 유가(儒家)의 수양(修養) = 48
2) 도가(道家)의 수양(修養)과 양생(養生) = 82
3) 불가(佛家)의 수행(修行) = 104
4) 도교의 내단(內丹) 성명쌍수(性命雙修) = 126
4. 유ㆍ도ㆍ불가(儒ㆍ道ㆍ佛家) 수양론의 같고 다른 결 및 ''깨달음''의 이해 = 153
5. 예술과 수양 = 163
6. 동북아 사상의 도가(道家) 중심설 = 182
Ⅱ 동양 사상 수양론과 차(茶)
1. 기론(氣論), 동양 사상 수양론의 현철(賢哲)한 기반 = 195
2. 다도(茶道), 차(茶)와 수양(修養)의 만남 = 206
3. 차향(香氣)의 수양론적 이해 = 217
4. 차맛(氣味)의 수양론적 이해 = 235
5. 차색(氣色)의 수양론적 이해 = 249
Ⅲ 한국수양다도(韓國修養茶道)
1. 한국 차의 현실과 한국 다도 개념 인식 추이 = 255
2.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특별한 관계 = 271
3. 한국수양다도의 연원과 전개 = 276
4.『다부(茶賦)』에 표출된 한국수양다도의 ''경지'' = 293
1)『다부』의 한국 차문화사적 의의 = 293
2)『다부』의 수양론적 구조 = 300
3) ''오심지차(吾心之茶)''의 수양론적 이해 = 318
4) ''오심지차(吾心之茶)''와 ''허실생백(虛室生白)'' = 328
5.『동다송(東茶頌)』에 규정된 한국수양다도의 ''과정'' = 340
1) 한국 차문화사에서『동다송』의 자리 = 340
2)『동다송』의 수양론적 구조 = 350
3)『동다송』의 다도정신 ''성(誠)'' = 372
4) ''독철왈신(獨啜曰神)''과 ''신(神)'' = 384
5) 초의의 불가다도 정신 ''묘원무착바라밀(妙原無着波羅蜜)'' = 395
6. 한국수양다도의 완성과 생활화 = 399
7. 한국수양다도와 일본다도의 수양론 = 415
참고 문헌 = 42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