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추천사: 게르첸 평전의 기념비적 역작_유종호
서문 ― 놀라운 삶의 궤적
1. 기본 문제의식
2. 전체 구성
2.1. 1부의 내용
2.2. 2부의 내용 ―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의 보완
3. 이 글을 마치기까지
4. 감사의 말
1부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 ― 게르첸의 『나의 과거와 사상』 읽기
1장 시작하면서
1. 자서전이라는 형...
더보기
목차 전체
추천사: 게르첸 평전의 기념비적 역작_유종호
서문 ― 놀라운 삶의 궤적
1. 기본 문제의식
2. 전체 구성
2.1. 1부의 내용
2.2. 2부의 내용 ―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의 보완
3. 이 글을 마치기까지
4. 감사의 말
1부 자서전과 반성적 회고 ― 게르첸의 『나의 과거와 사상』 읽기
1장 시작하면서
1. 자서전이라는 형식
1.1. 문학은 은폐된 자서전
1.2. 주체의 객관화 ― 공감의 심화이자 확대
1.3. 글쓰기 ― 진리의 윤리적 변형
2. 게르첸의 경우
2.1. 게르첸은 누구인가
2.2. 사회개혁과 개인의 자유 사이에서
보론 1: 진보 신화 비판 ― 존 그레이
3. 『나의 과거와 사상』
3.1. 혁명의 실패와 개인적 상실
3.2. 모든 시대는 그 자신의 문제를 지닌다
3.3. 차이 감각의 현실주의
3.4. ‘자기 삶을 산다’는 것의 예증
2장 가족관계
1. 아버지의 네 형제들
1.1. 적(敵)이자 형인 알렉산드르
1.2. 셋째 큰아버지 레프
1.3. 게르첸의 아버지
2. 집안에서의 ‘기이한’ 위치
3. 농부와 농노의 삶
3.1. 모든 압제에 대한 증오
3.2. 농민 공동체의 비전 ― 빛과 그늘
4. 삶의 조건에 대한 성찰
4.1. 공감 = 아포리아의 직시
4.2. 탁월성과 깊이의 결합
5. 이 인간을 보라
5.1. 스테파노프 노인 ― 미치광이인가 성자인가
5.2. 요리사 알렉세이 ― 빛나는 몸에 사는 우중충한 영혼?
6. 책 읽기와 자연 체험
6.1. 읽고 생각하기
6.2. 시골집에서의 나날
6.3. 자연 ― 쇄신의 원천
3장 대학 시절 ― 20세 무렵
1. 참새 언덕에서의 맹세
2. 폴레자예프
3. 바딤
4. 육체의 구제 ― 여성해방
4.1. 여성 - 육체 - 건강 - 도덕성
4.2. 여성해방에서 인간해방으로
4장 감옥과 추방, 귀환과 또 한 번의 추방(1834~1847)
1. 체포와 수감 그리고 유배의 나날
2. 관료 계급 비판
3. 비트베르크
4. 동시대의 거장들
4.1. 벨린스키 ― 검투사의 정신
4.2. 차다예프의 우울
5장 혁명의 현장(1847~1852)
1. 혁명 성가 대원의 허풍스러운 쇼
2. 우쭐댐과 기고만장
3. 프티 부르주아 비판
3.1. 새로 태어난 아이의 멍청함
3.2. 부르주아 ― 돈을 위한 항구적 투쟁
3.3. 사회적 의무의 외면
4. 자유에의 무능
4.1. 새로운 우상 ― 거대 추상물의 위험
4.2. 균열 의식은 현실 감각
4.3. 진리의 자기희생적 수용
5. 프루동과의 만남
5.1. 대담한 개작(改作) 능력
5.2. 평등화와 군대적 대열에 대한 편애
5.3. 탁월성과 평등 ― 그 모순
5.4. ‘정의’라는 차가운 신 ― 프루동의 한계
6. 감정과 시와 색채와 음조 ― 개인적인 것의 옹호
6장 영국에서의 언론 활동(1852~1862)
1. 과오 후의 ‘자기 혁명’
2. 상처 입은 자만심의 쩨쩨함
3. ‘범속성(凡俗性)’ 비판 ― 밀
3.1. 당신의 영혼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
3.2. 얄팍해진 도덕과 정신
4. ‘60년’의 헌신 ― 오언
4.1. 단순한 태도와 강인함
4.2.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
5. 젊은 망명객들과의 이질감
6. 바쿠닌
6.1. 집요한 사고의 재능
6.2. 사자가 걸음을 낭비하듯이
6.3. 바쿠닌과 게르첸의 공통점과 차이
6.4. 혁명가의 초연함과 천진함과 고독
보론 2: 게르첸과 마르크스의 관계
7. 인간과 역사와 자연에 대하여
7.1. 인간의 불합리성
7.2. 역사의 불합리성과 즉흥성
7.3. 자연의 무심함
7장 삶의 막바지(1860~1870)
1. 인간 품위의 감정 ― 데카브리스트 운동의 유산
2. 모든 것의 통속화 ― 근대 비판
2.1. 소유의 폭정
2.2. 덩어리진 범속성의 독재적 군중
8장 남은 것들 ― 결론
1. ‘자유주의적 인문주의’ ― 게르첸의 유산
1.1. 6가지 덕목
1.2. 자유에의 무능력과 몇몇 사람들
2. 자서전 쓰기 ― ‘자기 자신의 친구 되기’
3. 고매한 정신은 어떻게 계승될 수 있는가
2부 시민적 자유를 위한 헌신 ― 언론 활동
9장 1850년대의 현실
1. 개인적·실존적 위기
2. 사회정치적 상황
2.1. 구타와 매질
2.2. 울리지 못한 메아리
3.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차이
10장 혁명적 저널리즘(1857~1867)
1. 강압·편견·광기에 거슬러 ― 기본원칙
1.1. 자유로운 의사 표현
1.2. 농노해방
2. 살아 있는 자를 소환한다(Vivos voco)
3. 인간 권리의 보편주의
3.1. 반(反)테러주의
3.2. 이견(異見)과 반발과 오해
3.3. 진실한 관점에 더 가까이
4. 방법 ― 개인적인 것들의 역사성
4.1. 간결성과 정확성
4.2. 다채로운 서술방식
4.3. 웃음과 풍자
4.4. ‘공적 봉사’로서의 글쓰기
5. 젊은 재능이 침묵을 깨도록 ― 마지막 호
11장 개혁적 자유주의자
1. 좌파적 열망을 지닌 모스크바 자유주의자
1.1. 애국주의와의 거리두기
1.2. 계몽된 자유주의적 인문주의
1.3. 볼콘스키 공작 ― 개인적 자유와 정의
1.4. 이것과 저것, 그리고 그 너머 ― 변증법
2. 미르 ― 러시아 농민 공동체
2.1. 영국에서의 생활 체험
2.2. 코뮨적 자기 통치
3. 진실한 자아와 교양
3.1. ‘역사의 느린 잉태’
3.2. 황제·황후에게 보내는 편지
보론 3: 1800년대 러시아 차르의 통치 방식
3.3. 인간 행동의 학교 ― 배우 ㅤㅅㅖㅂ킨
보론 4: 게르첸-벌린의 방법
12장 서글픈 유산 ― 결론
1. ‘적’이 아니라 ‘우리’로부터
2. ‘정체성 망상’에 거슬러
3. 살아 있는 몇몇 영혼의 개입
참고문헌
찾아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