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통일(通一)의 사회이론으로서 하나논리
1. 하나논리에서 ‘논리’의 의미
2. 하나논리에서 ‘하나’의 의미
3. 유불도선: 『천부경』과 선가의 재인식
제1장 후천 정신개벽과 천지인합일: 하나논리의 이론적 배경과 전망
1. 후천 정신개벽 문명론
2. 천지인합일
1) 인간의 천지인합일 파괴: 문명전환의 배경
2)...
더보기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통일(通一)의 사회이론으로서 하나논리
1. 하나논리에서 ‘논리’의 의미
2. 하나논리에서 ‘하나’의 의미
3. 유불도선: 『천부경』과 선가의 재인식
제1장 후천 정신개벽과 천지인합일: 하나논리의 이론적 배경과 전망
1. 후천 정신개벽 문명론
2. 천지인합일
1) 인간의 천지인합일 파괴: 문명전환의 배경
2) 천지인합일의 회복: 문명전환의 토대
3) 탈물질주의 가치혁명: 정신적 풍요의 마음 세계
3. 후천 정신개벽을 위한 깨달음
1) 지금 여기의 현실로서 깨달음: 깨달음의 일상화
2) 자유해방의 탈현실로서 깨달음: 쾌락의 재구성
3) 신인합일의 초현실로서 깨달음: 유아유심의 무한 세계
제2장 하나논리의 형성: 나의 이론사적 맥락
1. 1960년대 초반부터:
실존주의 수용과 비판 → 자유주의와 개인적 책임성과 주체성 인식
1970년대 초반부터:
구조주의 수용과 비판 → 구조적 결정론과 이분법적 도식 비판
2. 1970년대 초중반부터:
토착 이론의 추구 → 동아시아형/한국형 이론 모색과 유불도 재인식
3. 1980년대 초반부터:
맑스주의 대안 모색 → 결정론과 적대적 투쟁 비판과 체용(일여)론 인식
4. 1980년대 초중반부터:
중산층/시민사회론 수용/보완 → 아나키즘 수용, 선거민주주의 비판
1980년대 중반부터: 정보/지식혁명 연구 → 문명전환의 필요성 인식
5. 2000년대 초반부터:
탈근대 아나키스트 사회이론 제시 → 탈서구 사회학의 필요성 절감
1) 서구 이론의 헤게모니 혹은 수용자 콤플렉스?
2) 탈서구 사회학의 기본 정신
3) 서구 이론의 동아시아적 차원
6. 2010년대 초반부터:
잡종화/잡종사회 개념 수용 → 아나키스트 자유주의 문명전환론 제안
2010년대 초중반부터: 동아시아 개인주의 탐구 → 유아유심 개인주의 제안
1) 유아유심 개인주의
2) 개인 중심의 마음사회학
3) 사회의 개인화
4) 리기심 일원의 심주도 마음사회학
7. 2010년대 중반부터:
카프라 재독 → 동아시아 신비주의의 유용성 확인
2010년대 후반부터: 『천부경』 및 유불도 연구 →
하나논리의 가능성과 선가의 독자성 확신
1) 카프라의 재인식
2) 최치원의 삼교포함과 『천부경』
제3장 하나논리의 구축: 자료, 가치전제, 분석틀
1. 연구 자료
1) 문명론
2) 유가, 불가, 도가
3) 『주역』
4) 『천부경』 및 선가 연구
2. 가치전제: 천지인합일로서 하나
1) 삼일논리: 존재론적 동등성과 일체성으로서의 합일
2) 통일논리: 소통과 연결로서의 합일
3) 귀일논리: 깨달음으로서의 합일
3. 이론적 분석틀: 체용론적 존재론
1) 체용론
2) 하나의 본체론: 리기심 혼연일체 일원론
3) 하나의 변용론: 형성적 수준과 경험적 수준
제4장 하나논리의 동아시아적 토대
1. 하나의 본체론
1) 선가(『천부경』과 『삼일신고』)와 하나
2) 『주역』(「계사전」)/유가와 하나
3) 도가(『도덕경』/『장자』)와 하나
4) 불가와 하나
2. 하나의 변용론
1) 음양오행 잡종화론 혹은 상잡론
2) 유아유심 개인주의론
3) 중도자비 수신수행론
제5장 하나논리의 이론적 특성과 지향
1. 이론적 특성
1) 유아유심주의와 탈물질주의
2) 개인주의와 주체성/책임성
3) 허무주의, 비관주의, 신비주의
4) 중도자비와 통일(通一)
5) 자유해방의 안락주의
2. 실천적 지향: 문명전환을 위한 대안
1) 인구 감소: 천지인의 양적 균형 추구
2) 폭력으로서의 부정부패 제거: 폭력 사회의 제도적 근절
3) 선거민주주의 축소와 현능 정치:
정치적 폭력성/비합리성의 제도적 개선
4) 신법가주의: 폭력에 대한 엄중한 제도적 응징
5) 자유권의 지속적 확대: 자주인의 주체적 책임 강화
제6장 문명전환의 길: 후천 정신개벽을 느껴보자
1. 전체 논의 요약
2. 통일(通一) 하나: 최치원의 포함삼교와 풍류
3. 통일(通一) 둘: 성철과 비트겐슈타인의 동서 논리 합일
에필로그: 구름 요리와 신선놀음
참고문헌
찾아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