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들어가는 말 = 3
Ⅰ. 한반도시민 : 분단현실 극복을 위한 새로운 주체 = 11
제1장 한반도 시민론(論) : 분단극복 및 남북통합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실천 주체의 모색 / 선우현 = 13
제2장 민족국가 정체성의 역학 :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비교 / 권수현 = 57
제3장 독일의 통일담론에서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더보기
목차 전체
들어가는 말 = 3
Ⅰ. 한반도시민 : 분단현실 극복을 위한 새로운 주체 = 11
제1장 한반도 시민론(論) : 분단극복 및 남북통합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실천 주체의 모색 / 선우현 = 13
제2장 민족국가 정체성의 역학 :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비교 / 권수현 = 57
제3장 독일의 통일담론에서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긴장 : 한반도 통일론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 노현종 = 89
제4장 북한 난민들의 초국적 이동성과 인권 및 시민권 / 이지연 = 135
Ⅱ. 열광과 혐오 : 한국의 ''시민''과 조선의 ''인민''의 조우 = 173
제5장 분단 70년, 북한이탈주민과 남북관계 : 역사적 추이와 교훈 / 박영자 = 175
제6장 북한 주민과 임수경, 그 열광의 도가니 : ''집단주의 인간''과 ''자본주의 개인''의 뜻밖의 조우 / 김윤희 = 231
제7장 탈북민을 보는 한국 사람의 사회적 감정 : 분단적대성과 혐오 / 남경우 = 287
Ⅲ. 허상과 실제 : 사라진 ''먼저 온 통일''의 신화 = 325
제8장 ''배제적 통합''의 영속화에 대한 비판 : 탈북모자 사망사건을 둘러싼 행위자간 갈등과 전말 / 김화순 = 327
제9장 탈북민 정착지원제도의 실제 : 사회복지 시각에서의 검토 / 이민영 = 375
제10장 보편적 인권/복지 정책을 향해 : 재영 북한이주민의 난민정책 경험과 그 함의 / 이수정 = 405
Ⅳ. 분단경계를 넘는 행위자의 이동과 변화하는 남과 북의 공간들 = 453
제11장 남한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장소 만들기 : 바다 일 경험과 노동 적소의 탄생 / 최선경 = 455
제12장 탈북자 송금은 북한사람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 김화순 = 483
Ⅴ. ''한반도시민''의 일상적 평화실천과 치유 = 529
제13장 (탈)경계인의 자기서사 : 김정은 시대에 탈북한 청년들의 문학치료 활동을 중심으로 / 박재인 = 531
제14장 나의 수업일지 : 평화가 삶인 한반도시민의 탄생 / 안지영 = 575
저자 소개 = 609
더보기 닫기